다른 랩 상황이 궁금해서 여쭈어보았습니다. 선배도 없고 물어볼 데가 마땅히 없어서 여쭤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6.11
랩실 자원 하나도 안쓰고 혼자 연구한 건가요?
대댓글 1개
언짢은 밀턴 프리드먼작성자*
2025.06.12
구체적으로 어떤 자원을 말씀하시는지요? 저희는 각자 개별연구라 연구 주제도 다 다르고 이름만 랩이지 공동으로 연구하는게 없습니다. 제 개인 노트북 전기랑 책상, 의자는 사용했습니다.
2025.06.12
대학원생은 원래 그런게 아니라 교수님이 꾸린 연구실 소속으로 학교 자원을 쓰면서 월급 받아 연구하면 공동저자로 넣는게 맞는겁니다.
대댓글 3개
언짢은 밀턴 프리드먼작성자*
2025.06.12
학교 자원이란 예를 들어 어떤 것들일까요? 그리고 월급 안 받습니다. 각자도생입니다.
2025.06.12
월급도 없고 장학금도 없으신가요? 유감스럽긴 합니다만, 연구실 가면 본인 자리가 있으실거고, 학교에서 구독하는 논문을 읽으셨을거고.. 교수님이 이미 연구하시던 주제가 있으니 그거 관련해서 찾아보면서 본인 연구 주제도 생각하셨을거고. 그리고 자연인 아무개로 제출했으면 accept 되었겠습니까? 분명한 소속이 있고 학계에 족적이 있는 교수가 저자로 이름이 올라가 있으니 받아주지요.
2025.06.12
지도교수에게 적절한 지도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하지만 정말 본인 집에서, 학교 계정이나 학교에서 여는 세미나 한번 안가고 지도교수나 선배 얼굴 한번, 메일 한번 주고받지 않고 연구 하신게 아니라면 조금 더 겸손하시지요.
2025.06.12
정신나간 소리하지말고 똑같은 말 너희 교수님한테 그대로 말해라.
2025.06.12
교신저자 말하는건가요?
2025.06.12
교신저자로 지도교수 넣는건 당연한거 아닌가? 학술대회면 구두발표, 포스터 아닌가요? 그거로 씩씩 거릴 필요는 없다고 보는데..
2025.06.12
- 연구실에 앉아서 연구함 -> 연구 공간 지원 받음 - 화장실/전등/에어컨/히터 씀 -> 연구 환경 지원 받음(당연한거 아닙니다. 그 연구실 소속이라 학교의 재원을 쓸 수 있는거) - 연구에 필요한 유료 논문들 읽음 -> 완벽한 연구 지원 - 연구에 필요한 유료 프로그램 사용(워드 엑셀 등도 무료버전 아닌거 포함) -> 완벽한 연구 지원
그리고 애초에 대학원생이 어떻게 되셨나요? 지도교수님 논문 한번도 안읽어보셨나요? 읽으면서 그 분야 공부되시지 않았나요? 졸업은 어떻게 할건가요? 지도를 좀 덜해주고 관심이 적을 뿐이지 교수의 역할이 0이라는건 말도 안되는겁니다.
철없는 생각 그만하고 대학원생이면 지도교수는 무조건 교신저자입니다. 포닥이라도 지도교수님은 이름 넣어야하고, 교신여부는 정중하게 부탁드려서 경험을 위해 가져올 때도 있고 그런겁니다. 본인이 교신할때는 박사받고 포닥이 아닌 교수 임용이 되던가 연구소에 선임으로 임용 되시던가 이후에 하세요 좀
2025.06.11
대댓글 1개
2025.06.12
2025.06.12
대댓글 3개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