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ssh 3학년에 주전공은 문과고, 제2전공이 IT계열입니다. 학점은 GPA 기준 전체 4.3, 주전공 4.1, 제2전공이 4.5 가까이 됩니다. 제2전공의 경우 한 과목을 제외하고 전부 A+를 받았습니다.
컴퓨터과 교수님과 면담한 결과 제2전공이라 해도 그 점은 부정적 요소가 되지 않고 전공 성적이 아주 좋은 편이라 대학원 진학에 있어 유리한 상황이라는 말씀을 주셔서 IT 분야로 대학원을 진학하고자 합니다. 주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기도 하고요. 관심 분야는 컴퓨터 아키텍처나 블록체인을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변동의 여지가 많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미박을 가서 NIW 등으로 신분 문제를 해결하고 미국에서 취업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병역은 마쳐서 관련 문제는 없습니다. 덕분에 유학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탤 돈도 좀 모았고요.
다음 학기부터 자대에서 학부연구생을 할 예정이고, 학점을 저학년부터 미리 많이 들어놔서 7학기 조기졸업을 하여 미국 대학원과 입학 시기를 맞추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타임라인이 아래처럼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26년 8월 학부 졸업, 26년 9월 석사 시작, 28년 8월 석사 졸업, 28년 9월 미박 시작
미박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석사를 자대에서 하는 것이 유학 준비 측면에서는 유리하다는 의견이 있고, 이 학점을 들고(물론 졸업까지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자대는 아까울 뿐더러 논문 실적을 내기 위해서는 SPK에 도전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제가 지방 생활에 딱히 호불호가 없어서 P와 K도 괜찮습니다.
각자 가지고 계신 생각대로 제가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유리할 지에 대해서 의견 나누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키배 적극 환영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6.19
미국 취업이 목적이라면 당연히 미박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다만 한국에서 박사를 마치고도 미국 영주권 및 취업이 막혀 있는건 아니니 유연하게 판단해 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6.19
미박은 가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대학원을 자대와 SPK 중 어디로 가는 것이 좋을지, 조기졸업을 하는 것이 좋을 지를 결정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글을 잘 못 써서 오해하셨나봅니다 죄송합니다
2025.06.19
미박이면 우선순위가 연구 실적이랑 추천서임. 위 두개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곳으로 가시는게 좋아요.
대댓글 4개
2025.06.19
추천서는 미국인의 것을 받지 못하면 거의 의미가 없다고 알고 있어서 그건 고려 사항으로 두지 않고 있었습니다
연구 실적이라면 보다 양질의 논문이 나올 수 있는 SPK가 나을까요?
2025.06.19
그건 전혀 아니에요. 한국 교수분들 중에도 세계적으로 알려지거나 커넥션 있는 분들 것들 받으면 충분히 도움됩니다.
실적은 각자 하기 나름이지만 애초에 실적이 잘 나오는 랩, 지도를 잘 해주는 교수 밑에 있는게 더 좋은거 같아요.
2025.06.19
답변 감사합니다 추천서 차원에서는 SPK가 나을 것 같기도 하면서 실적과 지도 측면에서는 자대가 나을 것 같기도 하네요 ㅜ
2025.06.19
전 지금 교수님이 엄청 좋지 않는 이상 SPK 추천하는게 같이 지내는 사람들도 실적내는데 중요합니다
2025.06.19
다이렉트 박사
대댓글 1개
2025.06.19
이거 저도 알아보긴 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어려워서 그만뒀습니다...
2025.06.19
SPK 간다고 양질의 논문 나온다는 보장 없습니다. ssh면 충분히 실적 잘 만드실 수 있구요. 학교보단 교수님이 잘 서포트를 해주냐가 더 중요합니다. 자대에서 학부연구생하면서 논문 쓸 수 있을 데이터 확보되는거 같으면 자대에 남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렇게 진행하면서 최대한 공동연구 기회만들어서 추천서 확보하시구요
대댓글 1개
2025.06.19
아... 학교 차원보다는 연구실 차원이 좀 더 중요한 요소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5.06.19
자대가 YK면 자대 석사 후 미박도 아주 좋은 선택인데, 자대가 SSH면 SPK 석사 후 미박을 권할 거 같아요. 학교 서열화랑은 전혀 상관없이 주위 분들 보고서 말씀드리는 거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6.19
SPK 보다도 SSH 자대에서 좋은 논문이나 해외 인턴 기회가 더 있다면 SSH 자대도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5.06.19
답변 감사합니다 타대까지도 열어보고 발품을 팔아서 연구실 분위기를 파악해봐야겠네요
2025.06.19
블록체인은 일단 학계에서 유의미한 연구가 얼마나 이뤄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컴퓨터 아키텍처는 제가 하고 있는데 말씀드리기가 쉽지 않긴 하네요. 1. 일단 교수님 추천서는 굉장히 유의미합니다. 학계 네트워크가 생각보다 좁고, 외국 경험 있는 교수님들 많아서요. 2. 컴퓨터 아키텍처로 석사 때 1저자 논문 쓰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다이렉트 박사가 차라리 가장 좋은데, 석사를 하셔야 한다면 학부연구생을 일단 열심히 하면서 미리 연구실에서 뭘 하는지를 빨리 배워야 할 것 같아요. 3. 국내 컴퓨터 아키텍처 잘하는 교수님이 제한적이십니다. 서강대는 아예 못본 것 같고 성균관대에 한 2분, 한양대에 1분정도가 가끔 학회에서 이름 봤던 것 같고요. 거의 상위권 학교에 그나마 아키텍처 좀 하는 랩이 모여있습니다. 그래서 입학 자체만 놓고 보면 학교 올리는 거 추천 드립니다.
학부연구생 때 자대든 타대든 가서 좀 기초 지식을 쌓고, 같은 주제 하는 연구실로 타대로 진학해서 교수님께는 미리 석졸 의지를 밝히시고, 일찍 독립해서 혼자 연구시작하세요. 실패하면 어쩔 수 없는거고요. 그나마 석사 때 논문 실적 만들어볼 수 있는 방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6.19
답변 감사합니다 정답이 없는 문제라는 생각이 드네요...
2025.06.20
자대 교수님들이랑 면담 해보고 만약 미박 확실하게 밀어주겠다는 교수님 있으면 자대로 가고 없으면 설카 가세요. 그리고 미국인 추천서 아니면 의미 없다는거는 좀 케바케예요. 정말 추천서만 띡 써주는거면 그냥 입시를 위한 추천서가 되는거지만, 교수님이 인맥이 좀 있고 신경 써주시면 미박 쉽게 뚫어버립니다. 후자의 경우를 꽤 봤어요.
2025.06.19
대댓글 1개
2025.06.19
2025.06.19
대댓글 4개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19
대댓글 1개
2025.06.19
2025.06.19
대댓글 1개
2025.06.19
2025.06.19
대댓글 2개
2025.06.19
2025.06.19
2025.06.19
대댓글 1개
2025.06.19
2025.06.20
대댓글 1개
202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