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의 발전과 연구자의 가치

2025.06.19

13

1709

저는 연구를 하고싶은 대학교 1학년생입니다. AI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고 저도 AI들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지만서도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습니다. AI에 관한 여러 인터뷰를 찾아보면, AI의 발전을 보며 대학교수들이 자신들의 일자리를 걱정하고, 곳곳에서 AI를 활용한 연구들이 나오면서 제가 석사과정 혹은 박사과정을 밟을쯤엔 AI가 더 발전하면서 인간이 할 일이 거의 없어지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듭니다. 물론 그때도 상위 10% 정도는 살아남겠지만 그건 저에게는 너무 높은 벽 같습니다.
글의 요지는 이렇습니다. 현재 석사과정 박사과정 혹은 연구자의 길을 걷는 분들은 AI가 더 발전할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그저 유튜브나 단편적인 책들만 보고 잘못 판단하는 것인지, 너무 부정적으로만 보고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이 글에 잘못된 점이 있다면 수용하여 수정하고 반성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6.19

연구자는 지식을 생산하는 직업이라, 다른 직업보다는 비교적 타격이 적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저도 스스로의 밥그릇에 관한거라 완전히 객관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을 수 있겠네요.

2025.06.19

AI쪽 연구하는 사람입니다. 앞으로는 단언할 수 없겠지만, 미디어에서 이야기하는 AI의 연구 관련 능력은 확실히 과장된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화제가 되는 모델의 절대 다수는 Transformer구조를 기초로 그동안 인간이 만든 패턴을 학습합니다.
반면 연구는 하다 보면 남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계속 도전해봐야 하고 과거의 패턴학습만으로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죠.
또 이전의 결과들을 잘 조합해서 가설까지는 쉽게 도달하더라도 실제로 그걸 증명하는 실험을 AI가 직접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오히려 개발해야 하는 대상이 명확한 개발자 같은 직업이 연구원 같은 직업보다 훨씬 위험하다고 봐요.

대댓글 1개

2025.06.19

사실 순수 코딩 능력만 봐도 미디어에서 이야기하는 건 상당히 과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ython이라던지 웹 관련 코드 기가막히게 짜는 것도 맞는데 그쪽 분야를 워낙 사람들이 많이 해서 잘 짜는 것도 있습니다. 저는 분야 특성상 인터넷에 그리 자료가 많지 않은 코드들도 많이 작성하고 있는데, ChatGPT가장 최신 모델을 쓰더라도 현재 제가 하는 분야에 대해 오류가 있는 코드를 자주 내놓거든요.

2025.06.19

신임교수나 교수 임용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걱정하는건 AI가 아니라 학령인구 감소입니다..
AI는 옛날옛적 인터넷이 없는 시절에서 인터넷이란게 생긴 시절의 변화정도나 좋게봐도 그 이상이지 순수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없앨정도는 아니구요...
교육 측면에서는 AI 활용이 매우 유용하므로, 강의 때 AI의 의존도가 높아지긴 하겠죠. 그렇다고 교수를 짜르고 AI가 대신하는 건 적어도 가까운 미래는 아니지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6.19

인터넷이 교수들의 지적노동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인가요? 적절한 비교는 아닌거같습니다

2025.06.19

개인적으로 교수급으로 디렉팅이 가능한 사람은 대체되진 않을거같습니다. 아직 아이디어 내는 수준이 그리 높진않고 논문조합해서 종합적으로 그 필드를 이해하는 능력은 부족한거같아서요. 근데 그냥 시키는 일 하는사람은 필요한 숫자가 많이줄겟죠

2025.06.19

컴퓨터가 처음 나왔을 때 많은 학과가 할 일이 사라질 것 이라고 걱정했지만, 컴퓨터를 쓰는 직무로 대체되었습니다. 지금 발전하고 있는 기술의 한계를 가늠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본인이 하고 싶은 일들에 최신의 기술들을 잘 활용한다는 마인드만 되어도 충분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25.06.20

윗 댓글들 말처럼 AI발전이 그렇게 단기간안에 사람 대체할만큼 빠르진 않습니다.
참고로 AI가 뜨고나서 학회 논문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죠, 단편적으론 더 할게 많다는겁니다.

2025.06.20

MS, Meta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서 개발자를 대량 해고 있다고 하죠. 이게 과연 소프트웨어 개발에만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하나요?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제조업도 마찬가지이고 , 연구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미 AI, 기계학습, 로봇 기술 기반 무인화 자율화가 진행중입니다. 단기적으로 데이터를 모으는 인력 수요가 늘어날 수 있으나 데이터 기반 모델이 완성되면 더 이상 인력이 필요 없습니다. 기업 입장에서 빠르게 무인 자율화 기반 제조업으로 변화지 않으면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바뀔 겁니다.

무엇이 중요한지 질문할 수 있는 사람, 연구 방향성을 설정 할 수 있는 사람은 AI 도움으로 생산성이 말도 안되게 증폭되어 보상을 훨씬 많이 받을 것이며, 모든 직군에서 중간 관리층, 업무관리 등은 서서히 소멸할 것입니다. 연구직도 마찬가지 이구요.

2025.06.20

동감입니다

2025.06.20

기계는 인간의 육체노동을 대체할 수 있지만
AI라고 잘못 불리우는 그것은 지능이 없다

2025.06.21

개인적으로는 그래서 1) 좋은 질문을 많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연구자가 각광받는 시대가 될것으로 보이며 2) 반대로는 실험기반 학문하는 사람들이 실험 테크닉을 자산으로 말할 수 있는 시대가 올것 같아요. 교수보다 ai가 아는게 많고 똑똑할 수 있으니, 아주아주 깊은 통찰력과 현장경험 능력이 앞으로 중요할것 같기도 하구요

2025.06.23

ai는 사람이 연구한 거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