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37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54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32 - 부럽다
우리 교수는 내가 가르쳐주고, 다음 미팅 때 백지화 되있어서 또 설명해주고 반복임, 피드백도 오! 너무 좋네! 끝. 연구적인 피드백 전혀 없음.
연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혼자 학교에서 자습하는 것 같음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36 - 건설한 토론과 정당한 의문과 비판적인 자세는 연구자에게 좋으나 너무 교수를 무시하진 말아주세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5 - 인건비는 논문이 아니라 과제 수행의 대가로 받는 것입니다. 물론 우수 논문의 경우 향후 새로운 과제를 위한 세일즈에 활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랩에 따라 내부적으로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도 있으나 단순히 논문 몇 개를 게재했느냐로 인건비를 이야기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입니다. 오히려 apc 비용도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중간한 논문만 많이 발표하는 것은 연구실 운영 측면에서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는 생각입니다.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13 - 한국 문제 심각한것도 맞지만 니가 뭐 깨닫은거마냥 꼴갑떠는것 보기 역겨운 것도 사실임.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1 - 근데 원래 토론은 그렇게 하는거에요. 꼭 개긴다고 표현하는 건 우리나라 안좋은 문화이고, 본인의견을 모두말하고 또 받고 하면서 서로 성장하는것. 그나저나 건설적인 좋은 대화를 받을수 있는 자세가 두분에게 되있는것 같아 보기좋네요. 자기의견이랑 다르면 얼굴바로 어두워지면서 대화가 아예 안되고 심지어 자기의견 맞는거 보여주고 싶어서 학생 연구나 실험 안되기를 바라는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도 있어요. 전형적인 소인배 열등감 우물안 개구리로 자란 교수들이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9 - 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7 - 밑에서 3번째 줄이 핵심.
여기 김학사넷에 올라오는 대부분 저격글 똥끌은 쓰는놈이 폐급일 확률이 매우 높다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20 - 정치적인 이유같은 소리하네 소부장, 뿌리기술 이전부터 소재공학은 항상 강세였음. 이게 화공, 공정 등을 아예 포괄하다보니 너무 큰 테마가 되어버리면서 제조업에 필요한 기술이 접목되어버림
이러한 이유때문에 재료공학박사는 많아도 좆도 모르는 물박사 또한 넘쳐나는 분야임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2 - 학교 레벨에따라 다릅니다
상위권학교고 교수목표로하는 애들이 많이 올거같으면 실적어필이구요
그 외에는 돈+교수인성+취업알선 이게 90%입니다
그런데 임용 초반이시니까 소위 교수를목표로하는 양질의 학생이 들어올거라는 기대는 하지 마시구요...
10년은 존버하세요
-현 학부생-
학생들이 랩을 선택하는 기준 (머신 러닝 분야)
10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6
대학원 조직관리의 원칙
2025.06.21

이상론과는 거리가 멀고, 지극히 현실적일 수 있으나, 미국 / 일본 / 유럽 및 한국의 대학원생들을 보며, 각각의 장점을 취합한 방식입니다.
1. 대학원은 회사와 다르다.
- 회사처럼 정시출근, 정시퇴근 시키지 마라
- 대학원생은 아직 배우는 입장이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 함
- 즉, 효율있게 일하고 일찍 퇴근한다는 개소리는 받아주지 마라; 효율있게 일할 거면, 업무 및 공부 시간도 늘려서 output을 늘리도록 교육 시켜야 함
* 즉, 근태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말출근 및 야근을 시켜라
* 대학원생 전체가 5분 안에 교수 방으로 집합할 수 있는 조직이 최고의 조직이다.
2. 업무와 책임은 최대한 많이
- 대학원생은 기본적으로 성인이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한다.
- 즉, 한국 학생들에게는 미국이나 유럽 학생들처럼 개인의 책임감을 배양해야 한다.
- 행정 업무나, 문서 작업은 전부 대학원생 시키고, 그 업무가 잘못되었을 때 책임을 지게 하라
- 처음에는 고달플 것이지만, 얘네가 성장하면 서로에게 win-win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 행정이나 잡무가 많아서 연구를 못한다는 개소리는 받아주지 마라.; 회사가서도 그딴 소리하면 짤린다.
* 대학원생에게 최대한 많은 업무와 책임을 부여하면, 학생 개인의 성장 측면에서 엄청난 이득이며, 본인도 편해진다.
3. 연구실 자원관리
- 학생들이 연구실의 자원을 낭비하면, 그 것은 우리가 일궈온 조직의 무너짐을 의미한다.
- 연구실의 돈은 단 1원도 허투루 쓰지 못하게 해야한다.
- 근태 관리만큼이나, 연구비 소비 내역을 철저하게 관리 해야한다.
- 대학원생의 인건비는 최소로 책정해라
- 돈이 많으면, 인간 특성상 하고 싶은게 많아지고, 그것은 연구가 아닌 다른 소모적인 추태다.
- 일본이나 유럽처럼 인건비가 최소로 책정되었을 때, 학생 개개인이 돈에 연연하지 않고 연구를 하게되어 motivation이 증가한다.
4. 대학원생 정신 무장
- 대학원생들은 보통 naive하고 수동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음
- 따라서, 얘네들을 족쳐서 미국 대학원생처럼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아이디어가 맘에 안 들면, 최대한 논리적으로 공격을 한 다음에 인신공격으로 넘어가라
- 랩 미팅이든 뭐든 언제나 대학원생을 잡아서 혼내라; 쳐 맞으면서 학생 개인의 내적인 성장이 발생한다.
- 대학원생 전부가 맘에 안 들수 있지만, 그 중에서 제일 맘에 안 드는 녀석 한 놈 잡아서 족쳐라
- 전부 다 족치면, 교수에 대한 원망이 늘 수도 있기 때문에, 한 사람에게 공분이 집중되도록 해야한다.
-
165 30 44910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301 23 58403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32 20 5547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6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9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6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09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9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36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49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70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박사논문 연구사 7p 쓰는데 12시간 이거 맞나유
5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7 - 아니 ㅅㅂ 연합동아리에서 대체 뭘하는거예요?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15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42 - 카이 떨어지면 어디가 좋을까요
10 -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2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0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3 - 카이스트 화생공 면접
9 - 교수님이 이상한 것 같아요.
18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19 - 고등학생 연구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장문)
9 - 학생들이 랩을 선택하는 기준 (머신 러닝 분야)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6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9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6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09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9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36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49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70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박사논문 연구사 7p 쓰는데 12시간 이거 맞나유
5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7 - 아니 ㅅㅂ 연합동아리에서 대체 뭘하는거예요?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82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3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15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42 - 카이 떨어지면 어디가 좋을까요
10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0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3 - 카이스트 화생공 면접
9 - 교수님이 이상한 것 같아요.
18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19 - 고등학생 연구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장문)
9
2025.06.21
대댓글 1개
2025.06.21
2025.06.2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