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공 최적화 쪽 대학원 알아보고 있는데 분야 자체가 인기 있는 편인가요..? 컨텍을 설대부터 해보려고 하는데 많이 빡셀까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10.14
최적화 안 돌리는 곳이 있나요? 그리고 최적화 쪽은 일은 편한데 나중에 잡 구할 때 자리가 많지는 않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5개
2025.10.14
잘 모르시는 말씀을 하시네요. 산공에서 배우는 최적화는 무슨 단순히 돌리는 개념이 아니고 현실 문제를 모델링하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그게 훨씬 어려운 거예요. 그리고 산공 최적화 전공하시면 취업 잘 됩니다. 특히 물류 쪽에서는 A급 최적화 전공자는 모셔가려고 난리입니다.
2025.10.14
최적화 랩실 인기랩인가요??
2025.10.14
죄송한 말씀이지만 관련 분야라 잘 알지만 애초에 수학적 모델링 자체가 여러 인원이 동원되는 작업이 아니기도 하지만 decomposition을 사용하여 구현하려고 해도 현장에선 간결한 걸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렇게 많은 인원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메타휴리스틱이나 강화학습 같은 대체 가능한 접근법이 많은 것도 있고요. 워라밸은 확실히 좋지만 생각한 것 만큼 모셔가려고 난리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2025.10.14
인기랩실은 아닌 거 같은데 그냥 좀 편합니다. 애초에 이론 비중이 높은 분야기도 하고 검증도 시뮬레이션 위주인데, 모델링만 잘 하면 어디서든 결과를 금방 뽑을 수 있으니까요. 물론 이쪽도 고일 만큼 고인 분야라 논문이 많이 나오는 편은 아니지만 연구실 생활 자체는 여유로우실겁니다.
2025.10.14
모델링하는데 인원이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걸 진정으로 잘 하는 사람이 별로 없기에 대충 수요와 공급이 그럭저럭 유지됩니다. 현장에서 더 간단한 모델을 선호할 수 있다는 말은 어느 정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그런 경우는 그때 뿐이고 결국에는 문제가 생겨서 다시 찾아옵니다. 목욕물 버리다가 애까지 버렸으니 당연히 현실을 추상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요소를 생략하게 되고, 그것이 나비효과가 되어 경영활동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생기니까요. 그래서 어떤 영향요소가 중요한지 통찰력 있고 분석할 수 있는 A급 최적화 전공자는 늘 기업에서 환영받아 왔습니다. 메타휴리스틱이든 강화학습이든 대안들은 있을 수 있으나 최적화 전공자라면 그것들도 타전공자들보다 더 잘할 수 있어야 합니다.
2025.10.14
최적화 제대로 연구하려면 Operations Research 쪽으로 유학 나가셔야됩니다.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분야는 아니에요. 질문해주신 설대 최적화 랩실은 거의 대부분 자대생으로만 채웁니다.
대댓글 3개
2025.10.14
해외석사 말씀하시는건가요??
2025.10.14
해외 박사과정 말씀드린겁니다.
2025.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OR 좋죠.. 산공에서도 경영학에서도 쓰고 원래 군사작전에서 나온거라 실용성도 크고
2025.10.15
박사과정이 다 그렇겠지만, 특히 최적화 분야는 자기가 재밌어서 해야지, 인기 좋은지 안 좋은지 판단하고 하면 힘들 거 같네요.
근데 아마 인기 여부를 물어보는건 진학 가능성 알아보시려는 거겠죠? 어느 학교든 최적화 분야는 재밌어서 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충분히 있는 거 같긴 하네요.
대댓글 1개
2025.10.16
아직 박사까지는 생각이 없어서요 ㅠ 한국에서 시스템 최적화 쪽 석사 나와도 취직 잘 안되나요?
2025.10.14
대댓글 5개
2025.10.14
2025.10.14
2025.10.14
2025.10.14
2025.10.14
2025.10.14
대댓글 3개
2025.10.14
2025.10.14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