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5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1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1 - 님도 똑같이 하셈
쉽게 돈 번다고 생각되겠지만 나중에 인생이 망하는길이란걸 알고 있자나
머가 억울함?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3 - 학부생인데 학부 공부와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안 것부터 좋은 출발을 하신 것 같습니다. 옥상옥 내 위에 또 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위엔 spk가 있고 spk 위엔 미국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요즘 k는 미국에 박사 가신분들 만큼 실적 잘 뽑으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다를테지만 제 분야인 cs에선 그렇습니다)
헌데, 저는 k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쉬엄쉬엄하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더군요. 주말 출근을 기본으로 생각하거나 같이 밥 먹고 커피 마시는 도중 랩탑을 꺼내서 실험 잘 돌아가고 있는지 서버 원격접속해서 확인하는 분들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론 꾸준히 차곡차곡 쌓은 분들이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더 높은 대학 글쎄요... 윗댓처럼 더 좋은 환경이 되겠지만 그 환경에서 적응하는 시간이 더걸리거나 기반을 잡는데 오래걸리거나 자대생들과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갉아먹는 분들도 있습니다. 답은 꾸준함인 것 같습니다. 잘할사람은 어딜 가서도 잘하더라구요)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0 - 저널은 내서 좋을게 하나도 없습니다.
심지어 agent, AI security면 더더욱요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0 - 요즘 k훌리가 많은 듯. S랑 p는 그런거 없는데 의도적으로 k 띄우는 글이 많이 보임.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4 - 저널도 중요하다기보다 다 인정해줍니다.
윗분들 다 영맨들이라 모를텐데 당신들 채용 면접 보는 아저씨들은 다 저널 쓰던 세대에요.
상위 10% 저널들 중에 전통있는 저널들은 다 알아줍니다.
오히려 저널이 여전히 더 어렵다고 생각하는 아저씨들도 많아요 ^^ 요즘 개나소나 다 컨퍼런스 논문 가지고 있어요
임용에 관심이 있다면 탑컨퍼/저널 3:2 4:1 정도로라도 갖고 있는게 좋습니다.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0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9 - 교수님이 지도력 없다고 느끼는 이유가 공부 안 해서가 아니라 타분야를 너무 열심히 공부하셔서인거네요ㅋ 그건 절대로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요. 그분은 그냥 정말 공부가 재밌어서 교수하시는거네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구자의 모습과는 조금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저는 그런 분이 학생 잘 가르치는 교수는 아닐지라도 좋은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궁극적으로 통섭에 다다를 수도 있겠죠. 밑에 있는 어리석은 중생들이 문제인건데 님도 위기 의식을 느끼고 어떻게든 살아남을 길을 찾게 되고 그러면 또 결국 살아남게 되는거죠. 고생은 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님은 스스로 살아남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그런건 학생 때 (+포닥 시절) 겪어봐야 되는게 맞고 님의 상황이 결코 특수하거나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님 지도교수님이 답없다는 얘기 들으실 분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데요.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3 - 누가 더 나쁘다 이런 말씀을 드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좀 잘하면 동기끼리 공유 좀 하는게 맞지"와 "돈 좀 있으면 좀 사주는게 맞지"는 양쪽 모두 공유라는 단어가 가진 고결함을 명분삼아 동기로써 당연히 해야할 덕목인양 표현하지만. 실상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타인에게 자원을 강탈하거나 수고를 강요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보입니다. 그런 동기가 있다는 것이 불편하시겠지만 결국 본인 처신하기에 달렸습니다. 제가 당사자는 아니기에 어떻게 하는게 좋다고 판단하긴 어렵겠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타인을 너무 신경쓰거나 스트레스받지 않는게 좋습니다. 잘 대처하시리라 믿습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8 - 돈 있으니까 좀 사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 동기나 잘 하니까 좀 알려주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이나 그냥 똑같은 듯 합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7 -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18
배터리 랩실 / 대학원 고민입니다.
2023.09.24

현재 학점은 4.26/4.5이고, 석차는 잘 모르겠습니다.
spec은 굳이 적자면 대겹 인턴 6개월(반도체), 자대 랩실 학연생(이제 막 시작했습니다.), 토스 IH, 아이디어 공모전 2회 수상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집이 잘 사는 편은 아니라 원래 졸업하고 칼취업 하려고 했는데, 막상 졸업 시기가 다가오니 스펙에 맞춰 대기업을 들어가도 결국 후회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제 머리가 뛰어나게 좋지는 않지만 무언가를 배우고, 제 자신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을 좋아합니다.
이차전지는 자대 교수님 수업을 듣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원래 취업을 목표로 해서 학점을 위한 공부만을 해왔던 저인데, 저도 모르게 밤을 새면서까지 이차전지에 대해 찾아보고 관련 논문을 읽어보는 모습을 보면서 '이게 관심이라는 것이구나'를 많이 느꼈습니다. 아마 교수님께서 강의를 너무 매력적으로 잘해주셔서 더 관심이 생겼던 것 같네요. 그리고 이때 처음으로 정말 진지하게 교수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해당 교수님을 롤모델로 삼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지금 해당 교수님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네요.
내용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원래 자대 대학원에서 석사 혹은 석/박 통합 과정을 진행하려 했습니다.
석사를 생각한 이유는 많은 분들이 그렇듯이 교수라는 꿈을 꾸고는 있지만, 현실에 직시하여 석사 졸업 후 취업을 하는 상황도 고려하였습니다. 그리고 자대 석사를 하고자 한 이유는 연구실 분위기, 사람들과의 관계, 석/박 전액 장학(성적 우수), 지도 교수님이 롤모델이라는 점 등의 이점을 고려한 선택이었습니다.
자대 석/박 통합 과정은 SPK나 더 높은(?) 대학원에서 눈에 띄지 못하는 것보다 자대에서 눈도장을 찍고 해외 박사를 나가는 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SPK 대학원을 진학하신 선배님들이나 여러 사람들과 많은 이야기를 해보니, 자대 대학원에 남기에는 너무 아깝다라는 말씀을 많이들 하셨습니다. 연구 환경 자체도 다르고, 논문의 퀄리티 또한 차이가 많이 날 것이니 SPK 대학원 석사 진학하는 것을 많이들 추천해주시더라구요. 아, 물론 현재 타 학교에서 교수를 하고 계신 지인분께서는 자대 석/박사 이후 해외 박사를 조금 더 추천하시는 쪽이긴 하셨습니다.
주절주절 적어서 죄송합니다. 고민이 깊어지니 제 생각을 그냥 쭉 적게만 되네요.
이미 여기 계신 많은 분들께서는 결정을 내리시고, 본인만의 길을 걸어가고 계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분들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걸어본 사람만이 해줄 수 있는 조언이 있지 않을까 하여 글을 적어봅니다.
자대 대학원 레벨이 많이 낮다 등의 현실적인 말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PK 대학원 입학 난이도 김GPT 41 30 33606-
2 18 624
자대 vs spk 김GPT 3 7 3685-
0 19 17648 -
34 3 2098
대학원 고민중입니다.. 김GPT 0 5 4791-
3 15 1501
아래 spk 대학원 줄세우기 글 김GPT 16 2 3668
대학원 진학 고민 자교 VS SPK 김GPT 0 9 4359-
163 30 44584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29 23 61655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04 33 2405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7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4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4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4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38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0 - 대학원 인간 관계...
10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1 - 포카 머리고 연고가도 대가 포닥랩실 가능한가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25 - ist 연구비 얼마정도 주나요?
9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7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10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4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7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4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4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4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38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0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9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0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25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7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4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2023.09.24
대댓글 1개
2023.09.24
대댓글 1개
2023.09.25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