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하면 안되는 행동이란 것을 아는데 하면 잘못, 정말 몰랐어서 하면 안되는 행동을 하면 실수

2025.08.23

10

2406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8.23

실수한것도 잘못이죠.ㅎㅎ

2025.08.23

의도없는 잘못이죠

2025.08.23

실수라도 잘못된건 잘못된거죠.

2025.08.24

하면 안되는걸 아는데 했다 -> 원하는 결과가 되었든, 안되었든 결국 '잘못된 방법인걸 아는 상태'에서 행동한거라 결과와 관계 없이 잘못임.

하면 안되는걸 모르고 했다 -> 실수지만, 위 논리를 적용하려면 이것 또한 잘못임.

반대로, 결과가 좋으면 잘못이 아니고, 결과가 나쁘면 잘못이라는 논리는 적용할 수 없음.
이 논리는 결과론적 윤리이므로, 특히 연구 윤리에 민감한 우리들은 지양해야함.

따라서 잘못됨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여도, 잘못이 되어야 함.
실수가 '잘못이 되지 않는다'라는 면죄부가 될 수는 없음. '그 사람이 모르고 했던 것이다'는 주변 사람들의 도의적인 차원에서 수긍해야하지, 어떤 시스템 내에서 너그럽게 용서할 수 있게 되어버리면 안됨. 가혹하지만, 현실임.

2025.08.24

질문과는 좀 동떨어진 얘기입니다만,
실수든 잘못이든 일을 저지른 사람이 행동해야할 것은 동일합니다. 사과와 해결이죠.
실수와 잘못을 결정하는건 일을저지른 사람의 지식에 근거하지만 결국 주변사람입니다. 용서하는 것 또한 주변사람의 몫이구요.
다시 말해 일을 저지른 사람이 실수니깐, 몰랐으니깐 아무 문제없다 자긴 잘못이 아니다 라고 주장하는 것은 홀로서기의 지름길 입니다.
애초에 나는 몰랐다 라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내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다 라고 주장하는 꼴이죠.
주변에 이런 사람들은 결국 안타까울 정도로 집단에서 배척되거나 소속을 자주 옮기는 것 같아 가장 생존에 불리한 마인드 인 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8.24

사과와 해결은 당연히 필요합니다. 다만 ‘고의로 했다/실수로 했다’는 결과만 볼 게 아니라, 그 고의성이 생긴 맥락 자체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왜 그런 선택을 하게 되었는가를 보지 않으면 단순 낙인찍기로 끝날 수 있지 않을까요

2025.08.24

맞는 말씀입니다. 스스로 실수라 무마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푸념글이긴 했지만, 주변사람들도 실수에 따른 포용 더 나아가 실수가 아니더라도 포용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8.24

답은 정해놓으시고 물어보시는 것 같은데

2025.08.25

시점이 잘못 설정되었는데요?

실수도 잘못에 포함됩니다. 그러니 실수도 잘못이에요.
말씀하신 부분은 의도의 유무 같은데... 이는 문제를 일으킨 시점 이후로 연결됩니다.
당사자가 책임을 지거나 보상을 할 수 있는가, 어떤 태도를 보여줄 것인가 등을 논하는 부분이겠죠.

애초에 문제를 일으킨 시점 하나를 생각할 필요가 없어요. 이미 지나간 일이니까. 이걸 논하고 있으면 머리에 하자가 있는 사람이죠.

정말이지 쓰레기같은 논리라고 생각합니다.

2025.08.27

하면 안되는 걸 아는데 일부러 그 행위를 했으면, 사과도 필요 없이 상종하면 안되고
하면 안되는 걸 아는데 본의 아니게 그 행위를 했으면, 이게 실수고,
실수니까 그냥 넘어갈 게 아니라 사과하고 수습을 해야지
그리고 하면 안되는 걸 몰라서 그 행위를 했으면, 한대 처맞고 배워야지
이때도 미처 배우지 못했던 점을 사과하고 배우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