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공계) 연구하는 방법이 이게 맞아?

2025.09.07

5

1331

인서울 중위권 대학 자대로 인턴 반년정도, 석사 반년차정도이고 소재쪽인데, 다른 연구실과 협업해본 적이 없어서 궁금해서 말이야.
원래 내가 처음에 생각한 연구라는 건, 기존 연구를 참고하는 정도로 새로운 접합, 개발 시도 이런 건데, 이 연구실은 기존 메소드를 그냥 그대로 따라해보고, 아주 약간 시간이나 양 다르게 해보고 안나오면 또 찔끔 바꿔서 해보고 이런 식이야. 뭐 방향성도 없이 그냥 추측으로 보정하느라 시간 엄청 쓰고..안나올 때도 있고, 그냥 같은 실험 시간, 양 이런 거 제어만 해보면서
결과적으로 적용만 다른 류에 해보는 이런 게 연구가 맞아?..이미 있는 연구 결과고..그거를 그냥 다른 쪽에 살짝 응용해보는 게......내가 생각한 연구와 대학원 생활이랑 거리가 있고, 다른 랩실들은 어떤지 진짜 잘 몰라서 물어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08

뭐 아니라고 부정은 못 하겠습니다만,
꼭 새로운 메소드를 개발하거나 신물질을 만드는 것만이 연구는 아니니까요.

같은 방법으로 실험했는데 다른 포커스로 새로운 인사이트를 내놓을 수도 있고요.

정답은 없겠습니다만... 본인의 연구 철학에 갈리는 것 같습니다. 논문을 위한 연구인지, 과제를 위한 연구인지...

2025.09.08

물론 이런저런 연구방법이 있을테고 본인이 생각하는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 그것을 하는 연구소는 어디인가 등을 성찰할 기회로 보심이 좋을 것 같아요. 지금 랩실이 안맞다면 옮기거나, 다음 커리어에서 탐색 후 맞춰 가거나, 지금 있는 곳에서 차근차근 본인이 생각하는 좋은 연구를 실현해나가던가 하는 방법이 있겠죠.

2025.09.08

뭐 적어도 석사 반년차가 이러쿵 할 필드는 아니라는거임

2025.09.08

기존 메소드를 새로운 ㅡ 조금 다른 필든에 적용하는 의미말하는거지? 먼저 그걸로 논문작은거 하나뽑아놓으면서 다른 방법론 공부해놨다가 기회되면 combination으로 가는거지. 새로운 인사이트뽑는거는 쥐어짜내면서 해야하는 상황인게 맞고, 전형적으로 메소드에 의존하는 형태의 특별한 가설이 필요없는 짤짜리 연구하는 과정. 그상황에서도 질문을 스스로던지면서 계속 관심분야공부해두면 박사때 도움 많이됨. 다만 박사는 다른곳 추천

2025.09.08

그래서 왜 반말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