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내 연구가 너무 초라한 느낌

2023.08.24

8

5765

석사 1년차 초짜 대학원생입니다.
3월부터 연구를 시작해서 지금 8월인데 약 5개월동안 노력한 결과로 논문을 써보고있는데 다른 모델이 되는 논문들을 자꾸 보다보니 눈이 너무 높아져서 제 연구가 너무 초라하게느껴지네요.

박사, 포닥분들이 쓴 논문하고 비교해서 초짜라 어쩔수 없는건 맞지만 보는 눈은 또 있다보니까 제가 연구하고도 많이 아쉽게 느껴집니다.. 만족해 하는것보다 발전할 필요성을 느낀다는거에 위안을 삼아야겠습니다. 교수님도 아쉬워하시는게 느껴지고 무엇보다 저가 너무 이게맞나싶어서 ㅠ

다들 화이팅하세요 넋두리좀 하고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졸린 비트겐슈타인

IF : 3

2023.08.24

화이팅요 저도 비슷한 상황이네요ㅠ
사려깊은 마키아벨리*

2023.08.24

연구의 novelty는 본인이 참고한 논문 등을 보면서 부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novelty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approach 또는 application을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면 당연히 더 해야죠... 좋은 논문 쓰려면...

하지만 졸업이나 연구비, 성과 등 사정 상 추가 실험이 더 어렵다면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2023.08.24

석사가 novel한 논문 쓸 정도로 쉬우면.... 이미 광속으로 날라 다리는 우주선이 나왔죠. 연구 원래 어려워요 시간도 오래 걸리고... 모두가 다 그 과정을 거칩니다. 참고 견디고 날을 가는 사람이 성장해서 novel한 연구 합니다. (아인슈타인 제외 ㅎㅎㅎㅎ)

2023.08.24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는 브라운 운동이었죠. 자본론으로 유명한 칼 마르크스의 박사 학위 논문 주제는 그리스 철학자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러한 천재들이 박사 때 쓴 논문도 그렇게 뛰어나거나 주목 받는 논문이 아니었는데 보통 사람이 석사 때 쓰는 논문은 얼마나 대단할까요ㅠ 힘내세요 연구인생 길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멋진 연구자가 되어있을거에요.

대댓글 3개

쑥스러운 알프레드 노벨*

2023.08.24

드브로이의 박사학위 논문주제는 물질파였고 그걸로 노벨상 받음ㅜㅜ

2023.08.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 아웃사이더 하나 가져오면 뭐 어쩌자는겨

2023.08.26

아웃사이더(아싸)가 아니라 아웃라이어 말씀하신 거겠죠?

2023.08.25

작성자님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그 레펄너스 논문을 쓴 저자들의 약력만 타고 올라가도 초기 연구는 되게 사소하게 시작하는 분들 많습니다. 걱정하지 말구 내공을 다지는 시간이라 생각하세요. 계속 하다보면 꽃은 언제든지 필 거예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