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들을 잘 못 믿겠어요 어떡하죠?

2023.12.06

21

7630

안녕하세요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는데 논문을 보면 불리한 내용이 빠져있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진리를 밝히는 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해석 방식을 달리 할 순 있으나, 과연 쓰여지는 논문이 과학적 발전에 도움이 될까? 라는 회의감이 듭니다. 어떤 마음가짐으로 연구하는게 긍정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3.12.06

10년 후에 다시 생각 해봐요~
똑똑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12.06

원래 그래요. 논문은 개념 정도만 이해하는 게 좋아요. 특히 요즘 중국에서 논문 하도 쏟아지는데 재현 안되는 게 한 두가지가 아니라.
보통 10번 중에 1-2번만 나와도 그거 가지고 논문 쓰는 사람들 많아요.

대댓글 2개

2023.12.06

대학원 이전에 제조업 엔지니어였는데, 이전 업무는 똑같은 공정을 구현하는게 중요해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실험 결과가 나와도 못 믿겠고 혼자 재현성 검증을 감당하려면 졸업 이전에 논문이 안나올 것 같고요..

2023.12.06

레퍼런스 발생할 때마다 정독하고 있는데 이게 맞나 싶습니다..

2023.12.0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걍 본인 마인드가 오만한거 같은데. 부족한거 같으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논문을 써서 증명하면 됨.

대댓글 1개

2023.12.07

오만한 것 같다고 하시는데, 제가 보기엔 정당한 비판적 사고인데요. 그리고 새로운 발견에 대한 논문은 쉽게 주목받지만, 그 발견을 검증하는 재현성 논문은 보통 잘 평가되지 않습니다.

2023.12.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사실 재현 안 되는 논문 얼마나 많은가요? 또는 자기들 노하우라면서 디테일은 숨기고 논문 쓰는건 다들 아는 공공연한 사실인데 왜 질문자를 탓하지요? 저 윗 분 댓글대로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수치에 연연하지 말고 아이디어나 개념, 접근방식 등 정성적인 면에 주안점을 두고 읽기를 추천합니다.

2023.12.06

논문의 존재 이유를 잘못 이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논문은 어떤 연구의 모든 디테일을 전부 기술하는 메뉴얼이 아닙니다. 논문은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인 글입니다.

대댓글 4개

IF : 2

2023.12.06

캬 한 수 배우고 갑니다

2023.12.06

저두 여기에 한표

2023.12.06

캬 이거지

2023.12.07

창의적인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그 아이디어가 우리가 지금까지 몰랐던 진실을 새로이 밝혀 내는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대단한 것은 그 이론이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라서가 아니라, 그 놀라운 아이디어가 심지어 사실이라고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이디어가 사실인가 사실이 아닌가는 다른 연구자들의 재현성 검증에 의해서 판가름나는 거고요. 새롭기만 하고 사실이 아닌 아이디어는 예술 작품에 가깝지, 과학이라고 할 수는 없지요.

2023.12.06

세상엔 좋은 논문 만큼이나 그저그런 논문들도 참 많은 것 같아요 읽다보면 어떻게 이런 저널에 이런 논문이 실릴 수 있을까 싶은 것도 꽤 많아요. 나중에 논문 직접 쓰실때 이런 생각들이 많은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되네요

2023.12.06

나중에 본인 논문 쓸 때 최대한 숨기려고 노력할거임ㅋㅋㅋㅋㅋㅋ

2023.12.06

논문은 매뉴얼이 아닙니다

2023.12.06

논문이란게 재연성만을 목표로 하는건 아니지만, 그걸로 포장할 수 없는 사기꾼들이 많은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같은 이유로 저도 학계에 대한 매력이 많이 떨어지긴 했었습니다. 이런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때문에 학계가 썩어간다고 생각하구요.

어쨌든, 그래도 한 분야 논문들을 보다보면, 결과를 믿을 수 있는 교수의 연구실과 믿을 수 없는 연구실로 나누어 보게되면 많이 나아지실겁니다. 이래서 저널들에서도 교수님들 이름보고 논문 스크린 비율을 달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좋은 레퍼런스 역할의 연구실 또는 교수님 찾아서 연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3.12.06

아이디어를 제시하는거지 그 논문이 정의고 옳다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그 랩실만 구현가능한 경우가 대다수기때문에 재현성은 더더욱 힘들고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어느정도의 메뉴얼이라고만 생각하는게 좋을거같습니다

2023.12.07

1류 연구실 논문은 안그래요. 중국에서 나온 논문은 여전히 그런경우 많은듯.

2023.12.07

재현 불가능한 아이디어면 논문으로 왜 내는거임? 나 잘했징 이게 논문의 목적?

2023.12.07

좋은 자세입니다. 의심하는 논거가 있으면 훌륭한 거죠~

2024.11.13

비판적인 사고는 좋은 자세임
해당 부분 고려했을 때 큰 contributions이 있는지 고민해보시고, 한번 논문을 써보심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