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다들 논문 데이터를 어디까지 신뢰하시나요?

바보같은 피보나치*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7.11

14

5507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 3학기 끝내고 4학기차 들어가는 평범한 석사생입니다. 지금 한창 논문 데이터 다뽑고 논문 스토리 라인과 졸업 논문 쓰는중 입니다. 데이터를 만들다보니....저희 교수님껜 죄송스러운 말씀이지만 가라 데이터가 많은것 같아요. 솔직히 경향성은 보이나 그렇게 큰차이가 아닌데 어떻게든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최대한 두드러지게 보이게끔 데이터를 다듬는 것도 솔직히 좀 찔려요. 심하게 말하면 조작하고 데이터 다듬는건 종이 한 장차이 같아요....

어느날 다른 대학원 선배 다른학교 지인들에게 물어보니 다들 거짓말 약간 보태면 자기 실험실 데이터중 절반이상은 다듬거나 가라 데이터라고 하더라구요.....이런 얘기를 듣다보니 논문 데이터들도 곧이곧대로 못믿겠어요. 뭔가 이들도 튀는 값 제외하고 경향에 맞게 프로그램 조절하고 이럴 것 같은게 눈에 확 보이니 과학하는 사람이 아니라 뭔가 그냥 자기 원하는 답에 실험결과 끼어맞춰주는 용역 같아지더라구요....

다들 논문을 어디까지 믿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07.11

컨텐츠 따라 천차만별이라 신뢰할 수 있는/없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는것도 실력이고, 경험이 쌓이다 보면 안목이 생길거에요. 그래서 논문은 항상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게 좋아요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널 신뢰도 보고, 작성기관(학교) 이름 보고 판단하죠.
이후에 만약 본인 연구와 관련성이 크다면 재현해보는등 검증이용

대댓글 2개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탑 저널에 낸 탑 교수가 쓴 논문입니다. https://journals.sagepub.com/doi/full/10.1177/1545968320943582

살다살다 이렇게 구라와 가라로 쓴 논문은 처음이네요.

2023.07.14

이거 좀 큼. 특히 특정국가에서 나온 논문 데이터 및 결과 좀 신뢰안함.

2023.07.11

저희는 그런 짓 안하는데욤? 님 주변만 그런거 같아요!!

대댓글 1개

바보같은 피보나치작성자*

2023.07.14

말로는 누가 조작하겠어요? 아가리로는 전부 노벨상 수상자죠 ㅋㅋㅋㅋ
활기찬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7.11

그런 사람 많아요. 그렇게 데이터 골라서 (10개 중에 1개 잘 나오면 그 데이터로) 네이처, 사이언스 써서 서울대 교수 된 사람 2명 알고 있음.

대댓글 2개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조작 안한게 어디에요.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테슬라님 데이터 고르는게 조작 중 하나에용
심심한 비트겐슈타인

IF : 1

2023.07.11

논문의 신뢰성은 동료 연구자들의 피어 리뷰로 이뤄지는데 이게 맞냐 아니냐는 시간이 판단해줄 것이라고 생각해
그래서 연구 윤리가 중요시 되는 것이고... 논문은 저자들에게 평생 따라가기 때문에 저런 논문에는 이름 넣는걸 피하는게 좋긴해..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피어 리뷰는 데이터의 신뢰성 자체를 판단하는 과정은 아님.

대댓글 1개

2023.07.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가들 논문 하나하나 따져봐야함. 시간없다고 하고 스토리를 그럴싸하게 만들어놓고 데이터로 끼워맞추면 탑저널에 낼수 있어요

2023.07.13

예전에, Nature에서 데이터 기반으로 나온 연구의 80%는 신뢰할 수 없다는 연구가 있었죠. 그 때부터 연구의 재현성이 많이 강조됐죠. 데이터 조작을 안하더라도 선택 편의가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결론을 도출한 경우도 정말 많아요. 그래서 항상 비판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바보같은 피보나치작성자*

2023.07.14

연구 재현성....정말 좋은 말씀해주셨어요. 연구자들은 과장광고하는 사람들 욕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해요. 정직하게 데이터에 다 반영할려고 하니까 논문 쓰기 싫냐고 쿠사리 박는 교수님도 계신다고 하더라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