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교수님이 다 써주시고 1저자로 이름 넣어주는 랩실 있으면 감사합니다 하고 당장 들어가는게 맞을까요? 뭔가 다 써주고 해주는 대신 너희는 과제 가져오면 열심히 해 이런 마인드이신것 같아요. 석사생 수도 적은데 과제 잘 따오셔서 한명이 맡은 일이 기본 3-4개쯤은 되는것같고 여기 있으면 하나의 주제로 진득하게 연구하지는 못할것같습니다. 세미나나 랩미팅도 몇달에 한번이고 다 써주시면 편하기야 하겠지만 뭘 배워가는거지 싶기도합니다. 제가 연구실을 잘 몰라서 그런건지 원래 논문들 다 교수님이 써주시는게 대부분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0개
2023.10.25
감지덕지 해도 모자랄 판에... 석사생들 데리고 연구하려니 교수님이 개고생하고 있는거지요; 애초에 대부분의 석사 1,2년차한테 논문 라이팅 기대할 수가 없음요 (영어가 유창한 학생이 아닌 경우에, 써가지고 온 거보면 진짜 노답인 경우 태반) 그리고 어딜가던 첫 논문은 교수님이 많이 도와주세요 논문 기본 논리, 구조 만드는거부터 latex 템플릿 공유받아서 다루는 법 등등 이때 엄청 배우게 되고 첫 논문 나오고부터 학생이 좀더 주도적으로 연구 방향도 세워가고 라이팅도 하고 그러는거죠 뭐 한마디로 첫논문을 써주신다? 그건 엄청난 교보재가 되는 셈임
대댓글 2개
2023.10.25
근데 말이 석사과정인데 첫논문 써준다? 그냥 과제나 해라 논문은 내가 써줄테니 과제하다가 졸업해라 아닌가..? 이게 좋은건가? 뭐 배워가는거..
2023.10.25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볼게요 석사생이 엉망진창인 논문 초안 한번 써보고 졸업해버리면 그 학생이 도대체 뭘 배우죠? 석사하고 취업해서 논문 라이팅 (그것도 제대로 피드백이나 교정받지 못한 초안) 경험으로 회사가서 덕볼일 있나요? 교수가 직접써서 단기간에 논문 만들어주면 그에 비해 그 석사생은 타학교 박사든 유학이든 선택지가 엄청 넓어짐 박사받고 교수까지 된사람이 본인 100프로 능력으로 도와주는건 돈으로 따질수없는 큰 혜택인거임 왜냐면 그 교수가 짬차고나면 평생 안할 짓이기 때문
2023.10.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쎄요 일단 본인이 쓰고 교수님이 수정하시면 걍 모든게 다 바뀌기는 한다지만, 처음에 본인이 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대댓글 1개
2023.10.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론 교수님이 처음부터 쓰는게 교수님 일하는 양도 줄어들고 논문은 훨씬 빨리 나오겟지만 그럼 걍 대학이 아니라 연구소랑 다를게 뭔지 모르겟네요
비관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10.25
보통은, "드래프트는 학생이 쓰고 교수가 수정"이 기본이고 시간이 지나고 학생이 좋은 논문 쓰는 법을 터득하면서, 교수가 수정해주는 양이 점점 줄어듦. 첫 논문은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교수 수정이 필요할 수 있지만, 첫 논문이라도 최소 초안은 학생이 쓰는 것이 원칙
2023.10.25
오.. 아마 교수님한테 writing 배워보고 싶습니다 저도 써보고 싶어요 라고 말씀드리면 장하다고 생각하실거에요 ㅎㅎ 기회 주실듯
2023.10.25
교수가 왜 쓰겠어요? 개판이어도 초안 있는게 없는 것보단 약간이라도 나은데. 초안 퀄리티도 별로인데 프로젝트 할 시간 뺏긴다고 생각해서 겠지요. 그러면 내 학생이 프로젝트 진행 문제없게 하면서 시간 짜내서 초안 한 번 써보고 싶습니다 하면 절대 안된다 할까요? 일단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많고 논문이 잘 나온다는 것 자체는 엄청 좋은 거고 그거 못하는 랩들 널렸습니다. 초안을 다 쓰지 않더라도 본인이 연구한 데이타로 논문이 되어져 나오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 자체가 매우 도움이 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진짜 열심히 해서 초안도 써봐서 롸이팅도 경험할지 그냥 받아먹고 졸업할지는 본인에게 달렸겠지요. 저는 일단은 좋은 상황이라고 봅니다. 과제도 못 따고 논문도 잘 안나오는 수많은 랩들에 비해서는요.
2023.10.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냥 학교 수준이 낮아서 그래요
대댓글 8개
2023.10.25
ㅇㅇ 지방대 애들 특히 교수가 다 써줌 이번에 학회 학부생 포스터 발표도 그러고 상타던데 ㅋㅋ 대학원이든 취업이든 지방대 애들 그런 이력서 들고 오면 거르는게 답
2023.10.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포스터는 학부생도 만드는데 오바하지 마셈
2023.10.25
그니까요 포스터는 학부생도 만드는 건데 그것도 교수가 써줌 영어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3.10.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니깐 그런 곳 없으니깐 오바하지 말라고요.
2023.10.25
있다고
2023.10.25
있음 나도봤음 그것도 2023년 현대사회에
2023.10.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무슨 학교요?
2023.10.27
묵직하게 팩폭을..ㅡ
2023.10.25
다만 세미나나 랩미팅도 몇달에 한 번 이게 더 걸리네요. 극도로 학생을 못 믿고 커뮤니케이션 안하는 특수 케이스일 수도 있어서요. 그러면 진짜 못 배울 수도 있겠네요.
대댓글 1개
2023.10.27
이게 정답에 가까울 듯요. 그냥 실험 해주는 손과 발이 되어라인데... 아마 그 교수님의 생존 전략이실 듯
IF : 2
2023.10.25
경험상 석사생들만 있는 연구실은 학생이 직접 scie 초안작성도 거의 불가능합니다. 학생들이야 나름 고생해서 써오지만 처참한 수준의 논문이 정말 많아요. 논문 accept을 떠나서 데스크 리젝 안당할 정도로 저널 쓰려면 몇번은 다 갈아 엎어야 되요. 근데 이게 논문 몇번 엎으면 학생도 맨탈나가고 논문 라이팅 시간만 몇달 보냅니다. 암튼 사실 그렇게 해도 퀄리티 보장이 안되구요. 그래서 교수님들이 직접 다 써요... 학생이 몇 달 고생해서도 글만 쓰는 시간동안 연구를 더 시키는거죠... 특히 석사졸업 후 취업을 생각하는 학생이라면, 논문 성과나 라이팅보다 실무 배우는게 더 낫기도 하구요.
두번째, 세번째 논문을 쓰면 점점 나아져서 교수 손 덜타게 될 수 있구요... 이런 과정 거쳐서 트레이닝 된 박사과정이 있으면 사수역할 하면서 교수가 신경못쓰는 라이팅 도와주고 랩이 정상화됩니다. 근데 석사만 몇명 있는 연구실이니 교수님이 직접 쓰는게 제일 효과적일거에요.
2023.10.25
뭘 대단한걸 배우시겟다고.. 고고하시죠 좋으신분이네요
2023.10.25
석사 후 취업이 목표라면 땡큐죠.. 실무 경험이라도 많이 쌓고 졸업하세요.
2023.10.25
교수가 논문 쓰니 제1저자도 교수가? 그렇게되면 또 싫어할껄.ㅎㅎ
2023.10.25
박사안할거면 걍 시키는대로 하는게 제일 나아요. 님이 글 얼마나 잘쓸지는 모르지만 많은 석사생들 논문 봐온 경험으론 진짜 왔다 갔다 수정하는거 개힘들어요. 내가 그냥 쓰고 말지 고쳐 놓으라면 구글 번역기 돌려오고 문단 흐름 하나도 안맞고 상당히 고통입니다.. 영어 잘하는 친구도 논문 쓰는건 또 다르더라구요. 케바인데 저같은 경우는 지도 교수님이 드래프트부터 안써주셨어요 제가 드래프트 쓰고 들고가면 이거 수정해라 흐름 이상하다 지적해주고 수정하는 수준이죠 그리고 물론 1년차때는 첫 논문은 선배가 한번 드래프트 봐주고 교수님이 봐줬던거 같구요
2023.10.26
학생이 써보겠다면 교수야 그라라고 하겠죠. 보통은 학생이들이 너무 논문 작성을 못해서 그거 가르치니니 그냥 교수가 쓰는 겁니다. 보통 박사 별로 없이 석사만 있는 랩은 그렇게 합니다. 본인이 쓸 욕심과 자신이 있으면 제가 써보겠습니다 하면 됩니다.
2023.10.26
석사과정이 논문은 거의 못 쓴다고 보고 데이터 정리만 잘해도 감사하게 생각해야죠.
프로젝트와 논문이 연결되는데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음 좋고, 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면 매주 진도 체크 할 건데 그게 랩미팅이라고 생각되네요
2023.10.26
우리 랩은 교수가 석사 졸업논문도 자기가 알아서 써오라고함..........그래서 다들 5학기만에 졸업함 ㅠㅠ 옆에 랩은 교수가 데이터만 가져오면 알아서 써줌 (대신 실험이 많이 빡셈).....다들 높은 IF 논문 들고 석사 졸업함....
2023.10.26
난 대학원에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은
어떻게 결과물을 조리있게 그림과, 글 그리고 말로서 표현하는지였음.
실험실에서 연구를 10시간 했다면 결과물을 어떻게 디스커션하고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어떻게 스토리를 전개해나갈지 10시간 혹은 그 이상을 투자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현재 인더스트리에 있는데 이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빛을 발함.
개인적인 의견이다만 이러한 능력이 한국보다 현재 있는 미국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것 같음.
이게 필요없다고 생각하면 논문 다 써주는 곳 가면될 듯
대댓글 1개
2023.10.26
한국에서도 그런 능력이 중요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이지만, 저는 그런 친구들이랑만 일하고싶습니다.
2023.10.26
대기업 종기원 연구원인데, 서류나 면접볼 때 석사생 논문 있는지 없는지 또는 직접썼는지 꼭 물어봅니다. 석사과정이 짧아서 2년 내 논문을 못쓴다고 하더라도 1 저자로 게재한 친구들은 분명히 있고, 하다못해 공저자에 이름 들어간 친구들은 아주 많습니다. 회사에서 논문실적을 안본다고들 하시는데, 제 입장에서 논문 실적을 안보고 뽑는다는 TO는 진짜 그냥 박사급들 노예 또는 움직이는 기계처럼 실험해주는 친구들 뽑을 때 하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솔직히 박사급 또는 책임급 입장에서 진짜 시키는 것만 하는 사람을 원하나요? 한 가지를 시키더라도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더 나은 루트가 있을 수도 있고 좀 더 편한 과정을 생각 할 수 도 있는겁니다. 그런 아이디어를 얻는 힘이나 설계 할 능력을 얻는 과정이 언제인지 아세요? 네, 실험 직접 하면서 논문까지 게재해본 경험을 갖고 있는 친구들이 말하지 않아도 척척 합니다. 논문 안써본 친구에게 일 시켜보면 진짜 시킨 일만 합니다. 천불나요. 그래서 저는 서류 볼 때 논문 게재 경험 없는 친구들은 무조건 거릅니다. 하다못해 논문에 공저자라도 들어간 친구들 뽑습니다. 교수가 써줬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특성분석은 본인들이 직접 해서 자료 정리까지 했을꺼 아닙니까. 그래프나 그림사진 등도 교수가 직접 그릴까요? 뭐 있다면 할 말 없지만서도 라이팅 대신 해주는 교수님들은 많이 봤지만, 그래프나 데이터 정리까지 직접 하시는 분들은 보지 못했습니다. 아직까진. 학위논문으로 대체 하면 되는거 아닙니까. 라고 주장하는 분들 계시겠지만, 저는 학위 논문 제출을 해외 논문 게재와 똑같은 노력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반박하신 분은 그냥 님 말이 맞습니다. 결론은 사기업에선 다들 아시다시피 논문 쓰는 능력을 원하는게 아닙니다. 다만, 논문을 게재하면서 얻는 실험기획, 특성분석 자료 정리 및 해석, 이를 통한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 하였던 경험을 원하는 거죠.
대댓글 3개
2023.10.26
아 그래서, 결론을 안적었네요.ㅋㅋ 논문을 대신 써주는 교수님이건 직접 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교수님이 대신 써줬다해도 면접관이 물어보면 직접썼다고 대답하실꺼잖아요? 그럼 결론은 나왔네요. 논문 대신 써주는 교수님이 계시다는건 님이 공부 및 실험하는데 투자 할 시간을 더 늘려주시는겁니다. 고로 좋다는거지요. 대신 직접썼다고 거짓말 하실꺼면 논문에 대해서는 빠삭하게 공부하고 본인이 쓴 것 처럼 취업 면접 때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만 유념하시면 됩니다.
2023.10.26
취업 준비하시는 석사생들을 위해 한 가지 정보를 드리자면 최근 채용 때 지원자 논문 게재 비율은 1 저자 1개 이상 3 %, 1 저자 1개 10~15%, 공저자 논문 다 수 50 % 이상 (공저자는 1개 이상이어도 의미 없으니 모두 똑같다고 봤을 때), 논문 없는 지원자는 30 % 정도 되겠네요. 논문 없는 친구들 서류 통과 시킨 경우는 프로젝트 경험 3 개 이상 및 직무적합도가 가장 일치 하는 친구들을 서류통과 시켰습니다. 서류는 한 20 % 정도 통과 시킵니다. 석사도 직무적합도 꽤 많이 보니까 논문이 없다고 해서 실망하지 마세요. 모든 사람은 본인의 자리를 찾아가는거니까요. 모두들 화이팅하세요.
2023.10.26
하지만 특성분석은 본인들이 직접 해서 자료 정리까지 했을꺼 아닙니까.
+ 아니요
그래프나 그림사진 등도 교수가 직접 그릴까요?
+ 논문도 써주고 그래프나 표도 직접 그려주더라구요 교수나 포닥이 ㅋㅎ
2023.10.26
ㅋㅋ 댓글을 보니 혹시 뭐 군대 선임이 지방대생이었나요? 아님 어디서 지방대생에게 무시라도 당하셨나 상당히 공격적이시네요. 면접 때 말하는거 보면 논문 작성 때 본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회사에 들어오면 지방대던 SPK던 대기업 기준 본인 퍼포먼스는 잘 발휘합니다. 김박사넷 특성상 이런분들이 계시는거야 뭐 익숙하지만 세상 살아가는데 필요한건 본인 능력이지 학벌이 중요한게 아니에요. 어디에서 공부하고 계시는지 모르겠지만 부디 제 밑으론 뽑고 싶지는 않네요. 아 물론 저는 SPK 출신입니다 ^^
대댓글 2개
2023.10.26
아이고 대댓글이 아니었네. 위에 속편하신 분에게 드리는 말씀이에요 ^^
2023.10.26
님에게 뽑힐 이유 없습니다 ^^ 지방대생들 맨날 누가 해주거나 과한 욕심 부리면서 훔쳐오는거 자주 목격해서요 ㅋㅋㅎ
2023.10.26
방치당하고 과제같은거 안주시는 각자도생랩보단 훨 나은것같네요..ㅎㅎ
2023.10.27
많은 이야기가 있는데 이런 고민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만으로도 상위 랩에 들어갈 듯. 써주든 말든 한국 학생들이 적당히 있고 매년 학생 주저자 논문이 원활하게 나오는 랩 자체가 이미 상위권 랩임.
2023.10.25
대댓글 2개
2023.10.25
2023.10.25
2023.10.25
대댓글 1개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대댓글 8개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7
2023.10.25
대댓글 1개
2023.10.27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6
2023.10.26
2023.10.26
2023.10.26
대댓글 1개
2023.10.26
2023.10.26
대댓글 3개
2023.10.26
2023.10.26
2023.10.26
2023.10.26
대댓글 2개
2023.10.26
2023.10.26
2023.10.26
2023.10.27
2023.10.28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