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욕심있는 교수입장에서 석사 1년 코스듣네 어쩌네 날리고 일 맛좀 보면 이제 나간다고 하는게 석사들인데 당연히 별로 안좋아하지. 이건 기업도 마찬가지임. 2년 이따 나갈사람을 누가 뽑아?
다만 학교고 누구나 박사를 할순 없으니 석사만 하고 나달애들도 뽑기는 해야지. 아니면 그렇게 박사급이 할 주제랑 좀 구분되는 주제를 주거나.
난 교수들이 석사만 한다는거 싫어하는걸 모르는게 더 이해가 안감. 본인이 교수라고 입장 바꿔놓으면 금방 이해갈걸.
다만 설카포 아니면 교수도 뒷일이 걱정되니 박사는 유학가거나 설카포 가라고 하는 경우들도 있긴한데 결국 이런 랩은.. 선도 연구는 하기 힘듬.
근데 모든 랩들이 선도연구를 해야하는건 아니니까.
사실 지거국이나 서성한 급만가도 선도연구를 아예 표방하지 않는 랩들도 많은데 내가 보면 이게 문제가 되는게 또 박사를 설카포 가려고 하는 애들은 자대에서 선도연구를 표방하는 랩을 감... 분야나 키워드가 좋으니까.
그러니까 문제가 되는건데.. 싫어하는게 진짜 이해가 안가? 그럼 너가 그 자대교수 입장이라고 생각해봐.. 니들이 보기엔 교수면 이리 이룬 사람들 같지만 그 사람들 논문 편수에 연구비에 특약 걸려있고 학회 끌려다니며 하기도 싫은 잡일들에 돌아오면 풀칠에 온갖 잡일에... 그래도 학생 있으면 좀 나으려나 키워뒀더니 나간다고 하면 열받지...
집에 중소기업 하는 부모님 계시면 여쭤봐라.. 그래도 공들여 키워둔 직원이 2년 이따 대기업 간다하면 무슨 심정인지... 그냥 그런건 인지상정이고 그 감정 모르겠다하면 그냥 공감 능력이 부족한거다.
물론 그럼에도 교수는 나간단 학생 못잡는게 맞다.. 중소기업에서 나가는 직원 못잡듯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유학준비하는 똘똘한애들 위주로 석사 받아서 실적 웬만한 박사급으로 뽑는 전략 쓰는 교수도 봤음
대댓글 4개
칠칠맞은 임마누엘 칸트*
2021.08.03
이것도 부산대/경북대는 돼야 전략을 쓰는데 그 아래는 ..ㅠㅠ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그 아래는 애초에 대학원이 잘 안굴러가지 않냐
너그러운 프리모 레비*
2021.08.03
부산대 경북대는 얼마나 다르다고ㅋㅋㅋㅋ걍 똑같은데ㅋㄱ
2021.08.03
yk밑으로 국내 대학원 개판인 곳이 얼마나 많은데 아직도 부산 경북 타령이야?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어찌나 석사생들이 실적이 좋았는지 그 교수님은 이후 국내 최고 대학교로 이직함
대댓글 1개
털털한 리처드 파인만*
2021.08.03
ㅋㅋㅋ 나도 그런 교수 하나 아는데. 같은 사람이려나
2021.08.03
박사급 뽑기 어려운 대학은 학부 3학년때 받아서... 석사를 한 3년 시키면서 좀 성과내는 경우들도 있긴해요. 근데 학부생들은 아무래도 커미트먼트가 약해서.. 하다보면 손이 너무 갑니다.
청승맞은 공자*
2021.08.03
첫문장부터 잘못된게 석사 1년 코스듣네 어쩌네로 날리게 만드는건 결국 지도력 부족임. 잘하는 분들은 석사들데리고 충분히 좋은논문 1편은 뽑고 졸업시킴. 이정도만 해줘도 석사 뽑는거 낫배드임.
대댓글 6개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ㅇㅇ 내가 위에 말한 교수님은 석사생들 다들 논문 1편이상씩 쓰게 지도하고 졸업시켜서 미국유학 많이 보냈음
내가 아는 케이스만 5건이 넘음
2021.08.03
2년에 논문 한편이면 어려워요. 따져보면 그런게 석사 한명 1년 서포트 하려면 인건비+연구비 해서 7000 가까이 듭니다. 1억 4천이 논문 한편이면.. 중견 못따요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어떤분야인지는 모르겠는데 그 랩은 등록금 + 월 50정도였음
석사 1명당 인건비 연 2000이면 충분하다 이거지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실험장비는 분야특정될 수 있으니 구체적으로 이야기는 안하겠지만 인당 1500정도 되는 장비 사주면 2년은 충분
2021.08.03
분야마다 다르죠. 그리고 솔직히 교수입장에서는 본인실적 많은게 좋지, 유학많이 보내는게 좋나요. 저도 연구실의 실적은 박사과정 숫자랑 웬만해서는 비례한다고 생각하고요.
단순히 논문publish가 목표면 MDPI처럼 투고후 선정률도 높고 1개월안에 채택되는곳이면 당연히 쓸수야 있죠. 근데 제가 아는 대부분 연구실은 투고하는 저널의 하한선이 있어요. 그 미니멈 조건에 해당되는 저널들이 보통 submission부터 게재까지 4~6개월은 걸리는데, 그말인즉슨 석사시작하고 거의바로 연구타픽잡은다음에 실험해서 중간발표즈음에는 투고해야된다는거에요. 학부연구생부터 시작해서 일찍주제를 잡지않는이상 이게 쉽지는 않죠. 단순히 지도력 문제가아니라 석사1년때 수업들 들으면서 프로젝트일도 하고 연구배워나가는게 쉽지않은게 너무 현실적같은데요. 흔히 한국에서 내놓으라고 잘나가는 랩인데, 석사때 퍼포먼스내는 학생들 많지않아요. 유학준비하는애들은 지도교수랑 미리 쇼부가 되있어야되지만, 대부분 석사졸업하고 논문게재까지 1년정도 텀을 둡니다.
물론 석사과정때 nature com.이나 AM쓴 케이스들도 보긴했지만, 저희학교학과에서도 그런사람은 일년에 한명나올까말까한 정도네요. 그리고 그런애들은 다들 자대박사 진학했던것같네요.
저희연구실도 석사주제로 박사1년차때 무조건 논문쓰게하지만, 뭐 여기 말씀하시는것들 보면 석사2년안에 논문publish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게 놀랍네요.
2021.08.03
좋은 논문의 수준이 뭔가요? 분야가 얼마나 호구이면... 보통 competitive 한 분야는 MIT UCB이런곳 풀타임 박사들도 일년에 한두편 쓰기 힘든게 탑티어 논문인데...석사로 그거 못쓴다고 지도력 부족? 거참 어이없어서 웃고갑니다.
2021.08.03
그러니까 따지고보면 다 능력이니 그 학생을 박사로 받는것도 능력. 그리고 나간 학생에 대한 서운함도 인지상정. 뭐 그런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1.02
빅페이퍼는 5명 정도까지 공동주저자가 있는 경우가 있죠. 사람마다 각각 포지션에 맞는 자리가 있는 것이겠지요… 석사생을 예를들면 3-5저자 자리에 배치하고 제1저자가 학생한테 그 자리에 맞는 일을 시킨다면 박사나 포닥이 그 자리에 들어가는 것보다 효율적인 때가 있지요.. ㅎㅎ
2021.08.03
저희는 웨이퍼 한장이 800이에요.
대댓글 1개
똑똑한 척척박사*
2021.08.03
근데 분야랑 상관없는 이야기인게
그 랩은 석사생들이 다른랩 웬만한 석박통합보다 더 실적이 좋은 상태로 졸업했어.
재밌는건 그 랩의 석박통합학생들은 실적이 평범했음. 같은 교수 아래에서도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더라고.
돈이 얼마나 들든 상관없이 2년만에 남들 6년동안 하는만큼의 실적을 뽑아주면 된거 아니야?
2021.08.03
솔직히 교수 입장에서는 아끼는 석사 학생이 박사로 나가지 않게끔 실적을 잘 내고 잘해주면 되지 않나.. 유학이라는 건 여러 면에서 손해를 많이 보고 가는 건데, 만약 국내에 있는데 그 분야에 Top이다라고 하면 아무리 유학을 희망했던 학생이라도 박사로 많이 남을 듯...
2021.08.03
대댓글 4개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대댓글 1개
2021.08.03
2021.08.03
2021.08.03
대댓글 6개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2021.08.03
대댓글 1개
2025.01.02
2021.08.03
대댓글 1개
2021.08.03
2021.08.03
대댓글 1개
202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