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기록 때문에 진로활동 보고서를 쓰다가 도저히 손에 안 잡혀서 몇 자 적어봐요... 중학생 때부터 이과 계열로 진로를 정하고 그에 맞춰서 공부했습니다. 인문계 분야에 소질이 아예 없던 건 아닌데 나중에 먹고살려면 그래도 이과가 낫지 싶어서요... 곧 고3이 되는 지금까지 화학과/화공과에 진학해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한국화학연구원 같은 정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탄소 포집이나 신재생에너지 등등 기후 위기 대응기술 관련 연구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몇 번 했었고요... 인서울 상위권 대학 정도는 진학할 수 있게 성적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공부했는데, 얼마 전 R&D 예산 삭감 뉴스를 보고 나서 계속 제 진로에 대해 회의감이 듭니다. 평소 김박사넷이나 하이브레인넷 같은 커뮤니티에 종종 접속하면서 글을 읽어왔어서 소식을 듣고 반응을 찾아보니 연구 예산이 대폭 깎였다, 사람을 뽑을 수 없다, 해외로 뜨는 게 아니면 답이 없다 같은 말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국내에서 연구원을 직업으로 가지는 게 그렇게 편하고 좋은 길만은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지만, 너무 갑작스럽게 모든 게 바뀐 것 같아 당황스럽습니다. 뉴스 몇 개 보고 이제 와서 진로를 고민하는 저 자신이 이 길에 진심이 아닌 걸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삭감된 예산이 다시 원래대로 회복될 가능성은 없을까요? 회복된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만약 그대로 유지된다면 이공계 연구원은 이제 정말로 비전이 없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11.20
아무리 그래도 웬만한 인문계보다는 밥 잘 챙겨먹으니 걱정 ㄴㄴ
이기적인 쇠렌 키르케고르*
2023.11.20
그런 정책에 일희일비하면서 휘둘리면 답도없습니다. 정 한국 RnD가 안좋아지면 이공계 연구원은 탈조선 할수도 있고 본인만 잘하면 길은 많습니다. 고등학생이 미래에 하고싶은일이 어렴풋이나마 있다는 사실 자체가 대단한 것입니다. 화공과 가시면 다양한 길이 있고 어떻게든 길이 있으니 그런 고민은 하지말고 최대한 공부 열심히해서 지원가능한 대학레벨을 올리세요
대댓글 3개
이기적인 쇠렌 키르케고르*
2023.11.20
그리고 정권 바뀌거나 또 어떤 정치적 이유로 예산은 다시 복구될 수 있습니다 특히 RnD 예산은 국민들이 우호적으로 생각하는 몇안되는 예산이라 특히 그렇고요
이기적인 쇠렌 키르케고르*
2023.11.20
그리고 저는 에너지 분야 연구원이 아니지만, 주식을 좀 해서 아는데 탄소포집이나 신재생 어쩌고 기술 분야는 특히 정부정책에 많이 휘둘리는 분야입니다. 진보정권이 들어와서 환경타령하면 또 언제 어떻게 돈이 몰릴지 모르고.. 실제로 미래에는 정권관계없이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술 사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될 수도 있겠죠. 여튼 요지는 애초에 RnD 예산은 정치논리로 왓다갓다 하는 돈이지만 특히 그 분야는 정도가 심하니까 애초에 그런걸로 휘둘리려면 그냥 안하는게 낫습니다
2023.11.20
고장난 시계도...
2023.11.20
자신이 인문계쪽으로 진학한다고 칠때 이과에서의 연구원 자격 만큼의 자본 창출 능력을 가진 자격을 취득할 가능성이 있는지 보고 득실을 판단해보세요
2023.11.21
님 연구원 되기까지 적게는 10년 많으묜 15년남았음 그사이에 정권2~3번 바뀜.. 충분히 다시 늘어날 수 있다는 말임 그리고 rnd예산 삭감했다고 문과 갈것 아니잖슴? 원하던 길의 폭이 좁아졌다고 걱정하는것 같은데, 아직은 경험이 없어서 좁아진 길의 폭만 보이는 것 뿐. 공부하다 보면 다양한 길의 종류도 보일것임 그러니 걱정하지말고 공부하샘 ㅋㅋㅋ
2023.11.20
2023.11.20
대댓글 3개
2023.11.20
2023.11.20
2023.11.20
2023.11.20
2023.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