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025.10.30

12

464

역설의 내용은 성대성이론의 속도합과 상대성이론의 광행차 공식을 이용하여 방향이 일치하지 않음을 보입니다.
아직까지 관심있게 봐주는 사람이 없어서 조금 우울합니다.
김박사님들의 리뷰를 간절히 바랍니다.
요즘 김박사넷을 눈팅하고 있었는데 쓰디쓴 비판이 무관심보다는 나은 것 같아 올려봅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nossaacc&logNo=223706913601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10.30

역설이라기보단, y방향에서의 관성계의 이동이 미치는 영향이 x방향에서 정지해 있는 물체와 이동하는 물체에서 똑같을 것이라는 잘못된 전제가 내포되어 있어서 발생한 오류로 보입니다.
상대론적 속도 부분은 우주선에 대해서는 잘 계산해주셨지만 별에 대해서는 똑같이 계산해주지 않으신 게 문제의 핵심이라고 보입니다. '광원의 속도는 광행차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고려대상이 아닙니다'라고 하셨지만, 상대속도에 이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y축으로 0.99c만큼 내려가는 좌표계 변환을 하더라도 이미 x축으로 이동하고 있던 별은 y축으로 0.99c만큼의 이동을 하지 않고, 우주선 A의 최종 상대속도를 계산하신 것과 마찬가지로 0.13c정도로만 이동합니다. 작성자분은 두 번째 가속단계에서 x축으로 0.99c로 움직이는 기존 별이 아닌, 정지해 있는 별로 암시적으로 기준을 바꾸었기 때문에 81.89도의 광행차가 나온 것입니다.
정리하면, 우주선 B의 시점이 맞고, 81.89도가 나온 이유는 기존 별이 아닌 다른 별을 기준으로 잡은 꼴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거 말고 나머지는 잘 해주셨는데 아쉽네요.

대댓글 9개

2025.10.30

제 글에 같이 고민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행차는 별의 속도와 상관없이 발생하기때문에 우주선의 속도에 따른 별의 속도변화는 영향을 주지 않을겁니다.
만약 별의 속도에 따라서 광행차가 당라졌다면 하늘의 별들은 계절에 위치변화를 보일겁니다.

2025.10.30

댓글을 다시 읽어봤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별의 속도가 광행차에 영향을 준다고 말씀하신게 맞나요?

2025.10.30

애초에 광행차의 정의를 엄밀히 하면 '별에 대해 지구가 움직일 때 지구에서 별에 대해 관측되는 광행차'와 '지구에 대해 별이 움직일 때 별에서 지구에 대해 관측되는 광행차'밖에 정의되지 않고, 이에 대해서 관성계를 서로 바꾸더라도 서로 대칭적인 관계가 유지되냐는 걸 봐야하고 실제로 선생님이 이미 계산하신 거에서 다 유지가 된다고 보이지 않았냐는 게 요지겠구요...
제가 이해한 게 맞다면 선생님의 논리대로면 상대성 이론까지 갈 필요도 없이, 정지해있는 별에 대한 행성의 광행차가, 관성계를 행성이 정지해있고 별이 움직이도 바꾸는 것만으로도 '별의 움직임은 광행차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없어져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거보다 더 자세히 설명은 할 수가 없겠고, 광행차를 애초에 a에 대한 b에 관측되는 성질 정도로 정의하셔서 관계를 명확히 하면 해결되실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025.10.30

우주선 위쪽 먼곳에 별이 있다고 가정해보죠.
우주선이 앞쪽을 향해 빛의 속도에 가깝게 이동하면 광행차로 인해 별이 앞쪽에서 보입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우주선은 가만히 있고 별이 우주선 뒤쪽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해보죠.
별이 우주선 앞쪽에서 보일까요?

2025.10.30

애초에 멀어지는 경우냐 가까워지는 경우에 따라서만 바뀌는 문제죠...?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면 별이 우주선을 보나 우주선이 별을 보나 서로가 실제보다 더 앞에 있게 보일거고, 이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특수상대성이론이어서 이런 게 아니라 그냥 갈릴레이 상대성에서도 똑같은 결론이 나올 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2025.10.30

별이 움직일때는 광행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쌍성관측에서도 확인 되었구요.
광행차는 별에서 방출된 별빛과 지구의 움직임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별의 움직임은 관계없습니다.
빛의 속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별빛이 방출된 위치만 영향줍니다.

2025.10.30

제가 먼곳이라고 가정한 이유는 우주선의 이동으로 인해 위치가 바껴서 별의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해서입니다.
고전역학을 적용하고 광속불변의 원리를 배제하면 두 우주선에서 보는 별의 방향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광속불변의 원리로 인해 상대성이론에서만 발생합니다.
지구를 향해 다가오는 별과 멀어지는 별의 광행차가 달라진다면 밤하늘의 별들은 계절에 따라 별의 간격이 달라져야합니다.

2025.10.30

이정도면 모르는 사람한테 제가 해드릴 수 있는 말은 다 한 것 같아서 여기서 말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제가 보기엔 상대성이론에 대한 이해 부분엔 오히려 문제가 없는데 광행차 부분에서만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정말 죄송한 말씀이지만 광행차에 대해서 aberarration(astronomy)로 영문 위키피디아라도 한 번 보시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하시던 피드백은 아니었을 것 같아서 죄송하네요... 좋은 저녁 되세요

2025.10.30

대화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광행차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해보겠습니다.
좋은 저녁되세요.

2025.10.30

이 블로그의 계산은 정확하지만, 결론이 틀렸습니다. 이건 모순이 아니에요.
요약:
* 우주선 A와 B는 최종 속도가 같아 **서로에 대해 정지해 있는 것(같은 관성계)**은 맞습니다.
* 하지만 A(오른쪽 \to 아래쪽 가속)와 B(대각선 가속)는 가속한 경로가 다릅니다.
*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이렇게 다른 경로로 가속하면 최종 속도가 같더라도 두 우주선의 기준 좌표계(나침반)가 서로 회전하게 됩니다. (이를 '토머스 세차 운동'이라고 합니다.)
* A는 회전된 좌표계에서 별을 -81.9^\circ로 보고, B는 회전하지 않은 좌표계에서 별을 -7.95^\circ로 보는 것입니다.
결론: 둘은 같은 관성계에 있지만, 서로 다른 방향을 "앞"이라고 부르는 셈입니다. 각자 자신의 기준에서 측정한 값이므로 모순이 아닙니다. 제가 공식쪽으로 잘 몰라서 그냥 단순히 AI 돌려본거니까 혹시나 도움이 되실까 해서 올립니다. 올리기 전에는 한번 AI검증 받아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대댓글 1개

2025.10.30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토머스세차운동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설명하신 내용에 대해서는 공감하기 어렵습니다.
우주선A가 보는 별의 방향과 우주선 B가 보는 별의 방향은 정지했는 관찰자 시점에서 계산된 방향입니다.
현재로선 말씀하신 내용이 이해가 안되네요. 고민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