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공장 인프라 유틸리티 관리하고 있는 엔지니어입니다.전기공학을 전공했고 최근엔 기술사 취득했습니다. 회사에서 기회가 되서 일반대학원 2년 연수를 (full time)받게되서 랩실 컨택중인데요. (석사)
순수 전력계통 랩실보다 AI 를 현재업무와 결부를 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전력계통, 전기설비란 도메인을 가지고 ai 대학원 진학을 현재 검토중입니다.
1. 근데 제가 적응을 잘 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근데 C언어. 매틀랩밖에 안해봤는데 적응을 잘 할 수 있을까요? (공부 열심히 한다는 가정하에.. 학부때 선형대수 공업수학은 다 들었습니다) AI대학원 찾아보니 유일하게 문과생들도 접근가능하다는데 적응하는데 문제없을까요?
2. Sky ssh 급에서 지원가능한데.. 찾아보니 인공지능대학원이 별도로 있고 전전컴에도 인공지능, AI 쪽으로 전문랩실이 있더라구요? 그 차이가 있을까요?!? 비전공자가 가기에 수월한데는 후자일까요?
3. 아님 ai랩이 아닌 전력계통 랩실에 가서 거기서 AI 수업을 듣는게 나을까요?
고견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10.29
학사 받은 대학과 학점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25.10.29
3 추천드립니다. 현재 직장이 있으시다면요. 참고로 AI는 파이썬 많이 씁니다만 C 하실 줄 알면 금방 배우실 것 같네요
대댓글 2개
2025.10.29
3을 추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AI를 따로 배우면 될까요?
2025.10.29
밑에 분이 잘 정리해 주셨습니다 :) 아예 AI 전공으로 한번에 트시는게 아니라 현재 분야에 AI를 접목해서 경쟁력을 갖춰나가시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2025.10.29
1. 잘할 수 있습니다
2. 2의 경우, 자칫 잘못하면 내다버린 석사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전력계통을 이해하면서 AI가 가능한 교수님들의 경우, 지도를 포기하고 방임/유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3이 나아보입니다. 대표적인데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 GPT 써가지고 원자력 제어 해서 연구 성과로 발표한 논문이 있습니다. https://www.kaeri.re.kr/board/view?linkId=12641&menuId=MENU00326 이게 원자력 쪽이니까 논문이 먹혔던 거고, AI 랩실에서 GPT API 가져다가 논문 쓰겠다 하면 보통 쫓겨납니다.
대댓글 3개
2025.10.29
답변 정말감사합니다 1. 2번에서 방임할 가능성이 크다는게 어떤 이유일까요? 제가 회사서 펀딩받아서 오는거라 연구비가 안들어서 그런걸까요?
2. 3번 보내주신 링크가 딱 제가 원하는 느낌의 논문 (결과물) 일 듯 합니다. 그런데 AI대학원에서 저런 결과물로 논문패스가 어려울까요?!
2025.10.29
아 적다 보니 오류가 있었네요.... 전력계통을 이해하면서 AI가 가능한 교수님들이 아닌 경우** 즉 전력 계통을 모르는 교수님들의 경우 지도를 포기하고 방임/유기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3번 내용과 연관되는 내용)
2025.10.29
네... 3번과 같은 경우에는 교수님 성향에 따라서는 충분히 API 만 가져다 쓰는게 무슨 AI냐. 나는 이거 졸업 인정 못해준다. 자퇴하고 랩실 나가든지 주제 바꿔라 할 정도입니다.
2025.10.29
SKP 인공지능 대학원 재학중인데, 간혹가다 CS이외 전공 분들이 계시긴 합니다. 근데 입시 자체가 쉽지는 않을거에요. 그리고 인공지능 자체에 대해서 깊이 연구하고싶으신게 아니라면, 3번에서 말하신대로 관련 분야 랩실에 들어가서 AI를 활용하는 연구를 하는게 백번 낫습니다. 실제로 요즘 공대에선 전공불문하고 AI를 많이 쓰니까요.
2025.10.29
2025.10.29
대댓글 2개
2025.10.29
2025.10.29
2025.10.29
대댓글 3개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