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글로 "연세대 공대 학부생으로 입학하게 됬는데...." 대학원 진학 관련 질문해서 올렸었음 근데 질문 답변은 안하고 뭔 연세대에 어그로 끌렸는지 나같으면 spk 못가면 할복한다~ yk=지잡대지~ 그딴걸 부끄럽게 말하고 다니노~ 이러면서 욕하는 글 많이 달리길래 상처받고 정말 연구자로서 살기위해 부족한 학벌일까, 수능을 한번 더봐야 하나 고민도 했었음
물론 여기 꿀팁 전수하시는 좋은분, 여러모로 대단한 성과를 이루신 분들, 비록 학부 학력은 안좋지만 열심히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거 알고 그분들은 존경함
근데 이런분들 뺀 김박사넷 상당수는 해야될 연구보다 아직도 고딩마냥 학벌로 갈드컵 벌이길 좋아하는 병신들인 것 같음
괜히 욕먹었던거 억하심정으로 글 썼는데 관계 없으신 분들은 기분 상하게 해드렸으면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4.09.27
다들 먹고살만 한가봄
2024.09.27
1학년이면 고양 가서 고연전이나 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9.27
연고전
2024.09.27
송도 생활 어때요?
2024.09.27
사실 학부1학년때 대학원진학관련해서 물어보는것 자체가, 고1때 대학입시 물어보는것과 비슷합니다. 그런것과 별개로 좀 수준이 많이 낮아보이시네요.. 어려서 그러신거겠죠.
대댓글 2개
2024.09.27
근데 여기서 spk거리는 애들이 대부분 지잡대 출신인건 맞다고 봄. 나는 YK학석박 졸업했는데 SPK 대학원 들어간거로 자부심 부리는거 어이없음ㅋㅋㅋ 박사는 실력과 실적으로 얘기를 해야지 SPK 대학원 들어간게 인생 최대 업적인 애들은 결국 물박사가 되는거지.
2024.09.28
학위자가 맞는지 모르겠지만, 굳이 상대방을 평가하면서 물박사다 뭐다 하시는게 좀더 웃긴다고 생각합니다. 같이 일하는사람이 아닌이상 본인일만 잘하면되는걸, 뭐굳이 인터넷에 있는 상대방을 일일이 평가하는건지는 모르겠네요. 제가볼때는 도스토예프스키 님이 싫어한다는 사람과 도스토예프스키님과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은 다르다고 생각할지모르겠지만요.
2024.09.27
연고전 안(못) 가고 커뮤니티에서 분탕질하는 건 공평ㅋㅋ
2024.09.27
ㅋㅋㅋㅋㅋㅋ 사실 진짜 대학원와서 연구하면 이런 김박사넷 들어올시간 없긴 해요
2024.09.27
어디까지가 지잡대일까요...
2024.09.27
와우.. 졸업할때 이글 다시 보시길
2024.09.27
긁혔네.
2024.09.27
본인도 봄인이 욕하는사람들과 똑같다는거 알고있죠? ㅋㅋ
2024.09.27
어떻게 질문을 했길래...
2024.09.27
어그로들이나 학벌에 열등감 있는 사람들이나 이곳을 이용해서 본인들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 같아요. 좋은 글, 꿀팁도 많은데 어그로들 때문에 좀 찝찝하긴 하죠. 그래도 좋은 글들이 더 많아서 저는 즐겨찾기 해놓고 가끔 들르곤 합니다. 어쨌든 글쓴분이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만드시길 바랍니다.
2024.09.27
학부생이면 그냥 공부나 열심히 하세요
2024.09.27
연세대 파이팅^^ 후배님파이팅^^
2024.09.29
자도 같은 yk학부생인데.. 뭘해도 부족한 학벌은 아니니까 긁히지말고 skp생보다 좋은 학벌을 가진사람과 비교해도 꿇릴게 없다는걸 증명하기 위해 정진하세요..
2024.09.29
MIT 스탠포드 버클리 나온 애들도 수두룩하고 박사 레벨에선 SPK가 아니라 세상에 있는 수많은 박사들이랑 경쟁해야 합니다. 작은 것들을 신경쓰지 마세요.
2024.09.29
요즘 학부 지잡대 출신이여도 대학원에서 레벨업 하는 이들도 있으니. 서울 중위권 대학 출신이 대학원 좋은것 가서 네이처 논문 쓰는 사람도 있고. 학부학벌따지는것 나중에 직장잡아도 꼬리표 붙어다님. 모대기업 유명한 연구소 센터장이 울학과출신인데 좀 드러내기 쪽팔려서 그런지 경력사항에서 삭제했던데. 신문에 가끔 나오시는분. 그런건 어쩔수 없음. 나라도 그랬을듯. 석박사 해외대 경력사항을 올리지 뭐하러굳이. 근데 학부할벌 따지는 사람치고 제대로 잘나가는 사람 못봄. 좋은 학교출신이지만 자기개발 게을리해서 나중에는 그저그런
2024.09.30
그런생각을 가지고 계신데 같은 글을 쓰고 계시네요ㅎㅎ
2024.09.30
저도 조급한 스티븐 호킹님과 비슷한 의견인데...연구자로 살아가신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자들과 내 연구를 비교하며 살아갈텐데, 학부가 어디든 뭐든 상관 없어요. 결국은 연구자는 논문으로 이야기 합니다.
2024.09.30
애초에 학벌 인증마크 박히는거 아니기때문에 걍 참고만하는게 맞아요 ㅋㅋ 여기 넋놓고 보다보면 왜 한국에서 노벨상하나안나왔나 의심하게됨 ㅋㅋ 심지어 누군 졸업할때 고해성사하고가던데 ㅋㅋ 현실은 연구성과 하나없는데 김박사넷 여포짓하다가 간다고 미안하다고 ㅋㅋ
2024.10.01
첫 줄 됬 보고 그 뒤 안읽음
2024.10.01
상개성원리
2024.10.01
언기도 가서 공부나 해라 기독교 글쓰기는 드랍하지 말고ㅋㅋㅋ 꼭 인턴까지 하고 졸업할때쯤에 이글 다시 보길. 그리고 요즘 개나소나 대학원 갈라해서 우리학교에서도 spk 가는게 쉽지만은 않음. 학점 3후반에 인턴 경험, 명확한 연구 의지 있어야 쓸만한 랩 가고 아니면 개 똥 괴수랩 가는거
2024.09.27
2024.09.27
대댓글 1개
2024.09.27
2024.09.27
2024.09.27
대댓글 2개
2024.09.27
2024.09.28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7
2024.09.29
2024.09.29
2024.09.29
2024.09.30
2024.09.30
2024.09.30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