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어려워 고등학교 졸업 후 직장생활하면서 야간대학을 병행해서 나왔습니다.(모교의 야간대학 과정은 현재 없어졌습니다.)
군 복무(장교-이게 따로 메리트가 있진 않겠죠?)를 마치고 다시 직장생활 중입니다.
사유는 변명 안하겠습니다. 숭고한 목적 같은 건 특별히 없고 학벌 콤플렉스 해결과 실제 일할 때 배움이 부족한게 체감이 되서입니다. 직무전환, 이직을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일할 때 필요해서 논문이나 서적들은 자주 참조하는데 베이스가 얕다보니 그 때마다 삽질하며 필요한 내용 뒤적거리는게 현타가 자주 오네요.
아버지는 아버지 때 대학원 생각하시는지 반대가 좀 있으십니다. 어중간하게 할꺼면 안하는게 낫다 하시네요.(아버지는 88년에 박사를 받으셨습니다)
그냥 직장생활 하는게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10.15
1.저는 저의 분야 밖에 모르고 바이오 분야에서 파트타임 학위는 회사에서 승진관련해서 따는 거지 같은 분야 사람들은 안쳐줍니다. 대충 예를 들자면 파트로 박사 받았고 전일제, 풀타임 박사들 항테 가서 "나도 박사에요" 라고 하면 앞에선 그렇군요 해도 뒤에서 무시합니다 이게 잘못되었다 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이걸 모르고 파트타임 학위를 하는 사람도 없어요
2. 학벌 컴플렉스 있다고 하시는데 대학원 학벌로 안칩니다 이력서나 cv 쓸 때도 대학교도 적어야 하고 물론 노력과 능력이 출중하다면 유명한 대학교 대학원 나온 게 장점이고 평판에 도움을 주지만 그렇다고 학벌이 바뀌진 않아요 학벌 컴플렉스면 수능을 다시 치세요
3. 본인 분야 잘 찾아서 파트타임 가능하면, 회사에서 파트타임 때문에 주 몇일 빠지는 것이 허용된다면 파트타임하시면 됩니다
저도 파트학위에 대해 깊게는 몰라서 아는 데 까지 적었구요 본인 업계에서 파트 학위가 어떤 역할 하는지 받는 게 좋은지 찾아보시면 될거같아요 직장생활이랑 병행은 가능은 하죠 못하는 게 아니라 메리트가 있나 없냐의 차이입니다 풀타임은 못해요
대댓글 1개
2025.10.15
음... 학벌을 크게 보는 직종은 아닙니다. 다만 직무 전환 조건에는 학위가 필요하기도 하고 리서치 결과를 응용할 때 애를 좀 먹어서(요새는 경력빨로 커버는 다 치긴 하는데) 대학원에서 체계적으로 공부하면 좀 달라지지 않을까 싶긴해서 여쭤봤습니다.
2025.10.15
아버님 말씀이 맞습니다. 많이들 오해하는데 대학원은 공부하는 곳이지 무엇인 가를 배우는 곳이 아닙니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본인이 어떤 분야를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여 그것에 대해 소통하고 교류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하여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지 모르는 것을 배우기 위해 가겠다는 대학원을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겁니다.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