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고생물학 진학 고민 늦은 나이에 도전해도 될까요?..

2025.10.22

5

415

안녕하세요.
저는 03년생 23살 검정고시 출신입니다.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이후로는 잡일이나 노가다 같은 일들을 하며 살았습니다.
공부는 어렷을때 부터 하지도 않았고 솔직히 말해서 그때는 미래에 대한 생각조차 없었습니다.
그런데 군대에 있을 때 우연히 책이랑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고생물학에 꽂혔습니다.
처음으로 이거 진짜 재밌다. 나도 이런 걸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전역 후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진지하게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문제는 진학 루트입니다.
나이가 있다 보니 고민이 많습니다.
수능을 준비해서 정시로 들어갈지,
학점은행제로 학사 따고 3학년 편입을 노릴지
제가 알기로 고생물학이나 고생태학을 하려면 지질학과쪽으로 가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저 같은 사람 공부 기초 전무,고등학교 중퇴,노가다가 갑자기 편입해서
같은 학년 학생들이랑 공부하는게 솔직히 가능하냐는 생각이 듭니다.
반대로 수능을 준비하자니 나이도 걸리고, 현실적으로 몇 년을 투자해야 하는지 감이 안 옵니다.
이 나이에 공부 시작하는 게 무모한 거라고 생각 듭니다.
근데 인생에서 처음으로 진짜로 뭔가 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진짜 현실적인 조언이 듣고 싶습니다.제가 주변에 대학 진학한 지인이 아무도 없어 조언을 구합니다.
지금 제 상황에서 어떤 방향으로 가는 게 가장 현명한지
수능이든 편입이든 아니면 이미 늦었다 솔직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10.22

제가 이런 류의 질문을 보면 늘 다는 댓글이 있습니다.
책, 다큐멘터리와 실제 전공공부는 대단히 다릅니다. 비전공자 입장에서 아무리 자세한 책을 읽고 공부를 한다고 해도 막상 전공자가 되면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실제로도 대학원 진학 후 상상과 실제 하는 일에 괴리를 느끼고 상심하거나 그만두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물론 흥미가 간다는 것은 좋은 시작점입니다만, 학점은행제로 편입을 하거나 수능을 다시 보는 것 모두 인생의 상당한 기간을 투자해서 노력해야 하는 일입니다. 성공했다 치더라도, 막상 들어가 보니 상상하던 삶이 아니라면 얼마나 허망하겠습니까.
요즘은 오픈소스 강의들이 많이 있습니다. 비전공자 대상의 대중강연 등 말고, 실제 전공자들이 듣는 세미나, 실제 대학 수업 등을 몇 가지 들어보시면서 고생물학이 무엇인지, 특히 학문으로써 고생물학이 무엇인지 알아보시기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이후의 삶에 어떤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만, 제가 보기에 고생물학 을 하고싶으시다면 (물론 '고생물학을 한다' 가 무슨 의미인지는 모호하지만) 대학원 진학 이상이 필수적이라 생각됩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학점은행 이후 편입이건 수능 보고 입학이건 해내기 어렵다면 이후 커리어도 쉽지 않으실겁니다.

대댓글 2개

2025.10.22

아무쪼록 어떤 방향이건 쉬운 선택은 아니겠지만 또 최선을 다하면 못해낼 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사실 03이면 수능 새로 치기 늦은 나이도 아닙니다. 요즘은 인강도 잘 되어있고 독학 하기도 쉬우니까요. 굳은 의지로 건승하시고 원하는 바를 이루시기 바라겠습니다.

2025.10.23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선생님도 앞으로 하시는 일 모두 잘 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2025.10.23

고생물학 전공 교수입니다.

1. 학문에 있어 나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2. 수능을 보고 들어오길 추천합니다. 기초가 부족하면 아무것도 하기 어렵습니다.
3. 지질학과 생물학을 복수전공하길 추천합니다.
4. 전국 지질학과 가운데 고생물학 전공 교수가 있는 학교는 손에 꼽습니다. 최근 은퇴하신 분들이 많은데, 2년 안에 후임을 뽑을지 말지 여부가 결정될테니 먼저 확인하기 바랍니다.
5. 영어는 매우 중요합니다.
6. 다만, 이 모든 걸 하더라도 졸업 후 취직은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고 싶다면 시도하기 바랍니다.

2025.10.27

교수님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