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저의 간단한 이력을 말씀드리자면, 충남대 전기공학과 3.96, 오픽 im2 가 전부이며, 학부연구생 경험은 없습니다.
개인사정으로 인해 조금 늦은 나이에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게 됐고 계속 알아보는 중입니다. (사실 대학원의 'ㄷ'자도 모릅니다.. ㅠㅠ)
그런데 문제는.. 몇 가지가 있는데요.
1. 제가 정말 진정으로 하고자 하는 분야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학부시절 반도체 소자 과목들, 예를 들면, 전기물성 A+, 전기응용소자공학(반도체소자공학) A+, 에너지변환소자공학(태양전지) A+ 에서 좋은 성적을 받았기에 반도체 소자 쪽으로 관심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로 과목들, 예를 들면, 회로이론1 B+, 회로이론2 B+, 전자회로1 A0, 전자회로1 A+, 전력전자공학 A+, 디지털시스템 A+ 에서 그렇게 좋은 성적을 받진 못했지만 반도체 회로 분야도 관심이 있습니다.
2. 저는 다른 사람한테 크게 데여본적이 있어서 학문적으로 크게 뛰어나지 않더라도 인성적으로 괜찮은 교수님 밑에서 공부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김박사 또는 다른 관련 커뮤니티에서 인성이 괜찮으신 교수님을 찾는다는게 쉬운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자대 대학원 진학은 몰라도, 타대 대학원 진학할 때 말이에요. 타대 대학원에 아는 사람이 있다면 수월하겠지만 아쉽게도 아는 사람이 한 명도 없습니다.
3. 제가 형편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라서 국립대 대학원 중에서 생각해야 하는데요. 그래서 제가 생각한 대학원이 유니스트, 지스트, 디지스트, 경북대, 충남대(자대 대학원) 정도가 있는데요. 가능 할까요?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글솜씨가 모자라 글이 횡설수설한데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올해 9월 입학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지금 시기쯤 컨택하면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2.17
welcome
2021.02.17
게시글 제목에 보면
가능할까요와 스펙이라는 두 어절이나 단어를 검색란에 치서 보면 그동안 그런 질문에 대한 답변이 두세시간 검토할 량은 충분하니 그걸보고 소신껏 지원하셰요
그러면 합격함
2021.02.17
일단 마음에 두는 후보 랩실 1순위부터 컨택하세요.
2021.02.17
저학점에 특히나 전자과라면 skp는 솔직히 힘듭니다.
모교 선배이고 과는 다르지만 s에서 석박 하고 있는데,
스펙이 넘처난다면 모를까 자대 석사 후 박사진학을 skp로 염두하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2021.02.17
교수님 인품 훌륭하시고 연구주제 fancy한걸 하는 연구실은 skp 자대생들도 가기 어렵습니다.
특히나 지거국 수석즈음도 sky ssh 라인 고학점들에 밀려 skp는 현실적으로 중위권 랩으로 갈 수 있는 것이 정해져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경험입니다)
그럴바에 석사를 모교에서 서포팅을 확실히 받으며 실적과 실력을 쌓고 박사를 탑랩에 도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그 또한 ssh 이상 라인학교에서 같은 경로를 걸어온 학생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학부학력은 평생가더군요.. 벌어진 차이는 극복하기 너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최소한 랩을 선정할 때에는요.
2021.02.17
2021.02.17
2021.02.17
2021.02.17
2021.02.17
대댓글 1개
2021.03.03
2021.02.17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