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고3 계약학과 및 진로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

2025.11.16

5

247

현재
카이스트, 연세대, 서강대, 한양대 반도체 계약학과에 지원했고
위 네개의 대학 중 두개정도 추합으로 붙을 것 같습니다

추합으로 붙는다면 전화오자마자 결정해야하기에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해야할지 고민이 들어
현직자 및 관련자분들의 의견이 궁금하여 질문하게되었습니다

1. 현재 반도체 사이클이 호황이고 보통 4년전후를 주기로 오르내리는것 같아 제가 졸업하게되는 6-7년 후쯤에 사이클이 상향곡선을 그릴것이라는 판단이 맞을까요?

2. 6-7년 후에도 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현재와같이 한 메리트을 벌릴 가능성이 어느정도일까요?

3. 카이스트 계약학과의 메리트가 타 종합대 계약학과에 비해 어느정도일지 궁금합니다 (카이 석박이 직무 직급에 미칠 장점)

4. 기타 알고계신 정보나 의견들을 써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11.17

현재 카이스트에서 석사 산학장학생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는 epss(삼전), kepsi(하닉) 등 석사 산학장학생 전형에 따로 지원해야 합니다. 학사 계약학과와 석박 산학장학생의 차이점은 석박 산학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구개발 R&D쪽으로 가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학사와 석사 계약학과는 같은 회사에 들어가더라도 맡은 직무나 부서가 달라집니다.

대댓글 3개

2025.11.17

또한 ai때문에 반도체 사이클도 과거처럼 일정한 주기로 돌거란 보장이 없습니다. 단순히 반도체 분야로 가서 돈 많이 벌어야겠다는 단기적인 생각보다는 좀 더 멀리 내다보셔서 반도체 분야에서 꾸준히 오래 일할 수 있는 직무를 탐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 같네요.

2025.11.17

조언 감사드립니다

카이스트 이외에도 서강/한양대 시반공에도 자대 기업연계 대학원이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 두 대학도 유사하게 석사졸이 학사졸보다 연구개발부서로 배정될 확률이 높아지나요?


올해 카이스트에서 신설된

2025.11.17

올해 카이스트에서 신설된 반도체공학과가 삼전 계약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후 석-박사는 하이닉스/삼전 트랙을 고를 수 있는 것인가요?
그리고 홈페이지에는 석사연계 6년까지만 나와있는데 석사 졸업 후 의무근무기간 채우고 박사과정을 도전할수 있는것인가요
아니면 박사 졸업 후 입사가 가능한 것인가요?

2025.11.18

학사쪽은 신설된지 얼마 안돼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학사쪽은 삼전이랑 계약하고 지원받는 것이기 때문에 하닉으로 넘어갈 순 없을거에요.
제가 말씀드린 kepsi의 경우 계약학과가 아닌 일반 학사가 카이스트 반도체 관련 대학원으로(반공대, 전전, 신소재 등)진학할 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입니다.
또한 석사 후 의무근무기간을 채우고 박사로 가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회사 내부 상황에 따라 못가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장담해서 말씀드리기다 어려울 것 같네요.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라면, 아무리 계약학과 학사졸이어도 석박졸에 비해 연구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연구개발로 가기 어렵습니다. 타대학원 석박졸 산학장학생의 경우도 당연히 연구개발로 배정될 확률이 높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