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연구실 모두 협업 없이 그 연구실 구성원만 저자에 들어가서 논문이 나오나요?
아니면 다른 랩과 협업해서 그 사람들도 저자에 포함이 되나요?
물어보는 이유는... 각 연구실이 영상처리 전담인지, 의료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에 있는 임상에 가까운 곳인지, 아니면 둘 다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서요.
ㄴ제가 저 질문을 드린 이유는 플랜B를 위해서이긴 했어요.
잘 되셔서 원하는 쪽으로 취업이 되시면 좋겠지만 그게 여의치 않게 될 경우도 아예 배제할 수는 없어요. 예를 들어 임상쪽에 무게가 더 실린 연구실과 인공지능쪽에 가까운 연구실 이 있다면 둘 중 어디가 나중에 자기에게 유리할지는 더 생각해 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참고로 둘다 비슷하게 다루는 연구실이라면 그런 곳의 장점은 둘다 하는거고, 단점도 둘다 한다는 겁니다ㅎ
2020.10.12
알고리즘이 약하면 보통 의학 저널에 냅니다. 비전 전공하고 싶다면 B연구실 추천!
2020.10.13
- Theodore Dreiser
A 연구실은 좀 더 다른 연구실과 협업이 있고, B 연구실은 협업이 없이 연구실 구성원 끼리만 내는거 같아요!
2020.10.13
- Karl Polanyi
말씀 감사드립니다.
2020.10.13
- Theodore Dreiser
A 연구실도 머신러닝,딥러닝 의료영상에 적용이고, B 연구실도 비전(인공지능) 의료영상에 적용시키는데, 제 자대 비전 교수님께서 B연구실을 좀 더 추천하더라고요. 임상 의료쪽에 focus를 맞춘 것보다 취업시에 좀 더 유리한 좀 더 포괄적으로 하는 vision(MICCAI) 연구실인 B를 추천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의료영상쪽은 아직 산업이 발달 되지 않아 취업시 꼭 의료로 못 갈 수도 있지만, 비전쪽으로 알고리즘 개발하고 논문 쓰면 꼭 의료뿐만이 아닌 다른 vision회사(로봇, 자율주행) 같은 데에 갈수도 있다고 하셨어요.
2020.10.13
- Frida Kahlo
자대 교수님(비전 전공 교수님)이 기존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연구실은 좀 더 A인거 같다라고 하시고,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연구실은 좀 더 비전쪽인 B라고 하시더라고요. 비전 전공하고 싶어서 좀 더 B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F : 5
2020.10.13
ㄴ네 그렇다면 저도 같은 이유에서 B를 추천드립다. 의료영상 분야가 그렇게 크지 않아서, 취업 시 다른 분야에 비비기(?)에는 B가 나을 것 같네요. 재밌는 연구하세요!
2020.10.13
- Theodore Dreiser
네!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2023.05.26
안녕하세요. 의료영상처리 대학원을 알아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정보가 너무 없어서 찾아보다가 이 글을 보게 되었는데 혹시 지금 대학원에 재학중이신가요? 괜찮으시다면 정보를 공유해주실 수 있을지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10.11
2020.10.11
2020.10.11
2020.10.12
2020.10.13
2020.10.13
2020.10.13
2020.10.13
2020.10.13
2020.10.13
2023.05.26
202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