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박 시 평균 논문 수

2019.06.28

7

9188

석사 박사 각각의 과정에서 평균적으로 논문 몇 편 정도 쓰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19.06.28

랩바이랩 분야바이분야 논문 바이 논문이죠.

많이 쓰신 분이 20 개 내고 제가 2개 내면 누가 더 우수한 연구자일까요?

20개가 불레틴 코리아고 2개가 네이쳐 사이언스면 다르겠죠?

그리거 안 좋은데 내도 쉽고 눈에 띄어 많은 사람들이 인용을 하면 인용 지수 상으로 좋은 논문이 되니까 if5짜리를 내도 인용이 안 되는 거에 비해서는 훨씬 좋습니다.(전 재료 쪽이라 이게 보통이고 낮은 게 3이하 저널. 10 이상이 좋은 저널으로 압니다.)

그리고 이건 연구자 능력이나 의지에 따라서 굉장히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평균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목표로 하는 사람들의 논문 수를 보십시오. 님이 어떤 연구소에 가고 싶다. 그럼 간 사람들이 들어가기 전에 관련 논문을 얼마나 썼는지 확인하시고요.

교수가 되고 싶다. 하면 교수되신 분들 논문 실적이나 특허 확인해보시면 대충 목표가 보일 겁니다.

한국연구자정보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해보세요.

2019.06.28

편차가 너무 크죠. 물박사라 전공 못 살리고 취직해야하는 박사와 교수할 클라스 나오는 사람 논문 질과 양은 극과 극입니다. 여기서 평균은 하나도 의미없습니다.

2019.06.28

ㄴ그놈의 물박사타령은ㅋㅋㅋㅋ너얘기냐?

2019.06.28

난 석사 1학기 차인데요.

2019.06.28

ㄴ석사 1학기같은 소리하네ㅋㅋㅋ석사1년차가 '물박사'란 단어를 쓴다고?ㅋㅋㅋㅋ첫댓글부터 딱봐도 틀딱말투구만 뭔ㅋㅋㅋㅋ재료라고? 나도 재료인데 넌 어디있는 물박사냐? 니말대로 네이처는 좀 썼냐? 요새 임용도 어려울텐데 물박사소리 들어서 힘드냐? 아니면 임용되고 보니까 니가 물박사라 거기밖에 못간것같아 한스럽냐?

2019.06.29

쓸 수도 있지 아니한가? 자기가 박사 돼서 들은 어휘라고 박사돼야 쓰는 줄 아는 게 선입견이 가득한데 좋은 논문은 쓰려나 모르겠군.

2019.07.08

ㄴ난 학부 2학년인데도 물박사 소리 많이 하는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