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진짜 하등 헷갈릴만한 일도 없는 단어에다 냅다 한자박아두는거 개웃기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3 - 진짜 정신나간 글 ㅋㅋㅋㅋ
학부생한테
"
오직 활동은 매주마다 세미나 1번
그 이후 연구 활동을 정해주시고 피드백해주십니다
"
엄청난 시간 투자를 하고 있네
자율적으로 연구하라고 시간도 주는데 고마운줄도 모르는 ㅋㅋㅋㅋㅋ 에휴 이런애는 우리연구실 안오면 좋겠다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31 - 학부생한테 누가 과제를 줘요?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22 - 올해 한국에서 언론기사로 나오더군요.
노벨상 수상자 평균 연구기간 32년이라고... 그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1. 30년 이상 같은 주제에 매달릴 수 있는 근성이 필요
2. 30년 이상 같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비 지원이 되지 않는 한국 학계 비판
(한국의 대학이나 정부는 무조건 3년~5년 안에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만 한다고)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8 - 저는 운 80 근성 및 노력 10 지능 10 이라고 생각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9 - 후배가 고마워하면 모르겠는데 당연하다고생각하면 많이 그럴듯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4 - 후배 논문에도 공동 1저자 달라고 해야할 듯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8 - 학생때 내는 논문이 임용에 영향이 없으면 임용에서 뭘 보고 판단할까요 ㅎㅎ
글쓴이분의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아마 학생들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프로젝트 상황이나 졸업상황으로 인해서 목표한 바 보다 낮은저널에 투고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건 PI의 경우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나중에 본인이 PI가 되셔도 여러가지 상황의 압박을 받기 쉽습니다.
근데 저도 학위받고 PI의 자리가 되면서(아직 주니어 of 주니어 수준이지만) 여러저널을 써보고 느낀게, 좋은 저널이라고 좋은 연구인것도 아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윗분과 반대로 학생신분이기에 임용이든 일자리를 얻을때 좋은저널의 출판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그래서 박사/포닥때는 저를 포장할수있도록 좋은저널에 내려고 노력했고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2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3 - 자매지 바로 밑 단계라 하더라도 분야 탑티어 전통 강자 저널일 확률이 큽니다.
불과 몇 십년 전만 해도 Nature 자매지 같은 저널이 없었기 때문에(2000년 이후부터 나왔고 2010 이후부터 위상이 높아졌죠), 보통 현직 50대 이상 교수님들 젊었을 때 주요 실적들이 다 그런 전통 저널일겁니다.
인용수도 보통 개인 실적중 탑이 이런 저널들이구요.
예로 JACS, PNAS 같은 애들이 네이처 자매지에 굳이 꿀리지 않습니다. 옛날 사람이면 더 선호할꺼고.. 임용 때 심사위원들 기준으로 생각해보세요.
제 말은 자매지가 대단한 위상은 맞지만, 바로 한단계 밑에 나왔다해도 마냥 아쉬워 하지 말란 소리입니다.. 개인적으로 좀 마이너한 공학/이학 분야에 있는 학자로써 너무 네이처계열에 목숨 거는 것도 안타깝네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4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16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7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0
[POSTECH_포스텍]2025년 상반기 대학원 온라인 설명회
2025.03.06

-
175 44 13721
포스텍 의과학대학원 설립 확정 김GPT 22 20 6896
포스텍 온라인 입시설명회 김GPT 0 4 5417
포스텍이 개쩌는게 김GPT 12 8 10800
포스텍 최종발표 김GPT 7 3 5397
포스텍 대학원 합격스펙 공유 김GPT 27 9 10581
포스텍 추합 김GPT 28 12 9916
포스텍 서류 붙었네여 김GPT 7 17 9084
포스텍 ai 대학원 합격했네여 김GPT 17 10 3489-
97 87 66896 -
216 23 84763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3 23 61390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76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48 - 가짜 철학자를 구분하는 방법
22 - 철학자 a 사건 보면서 너무 웃긴 점
21 -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8 - 철학자 B입니다
12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15 - 사이비 이론 때문에 게시판이 달궈졌던 이유
16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7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1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28 - Yk>>>>>>>>>>>>>ist임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2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47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6 - 철학자 A님! 한자 잘해요?
21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5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0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0 - 전자공학과 제어
14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9 - 국가 ai 연구거점?
9 - 현실적으로 광명상가 cs 라인에서 kaist ai
11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2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