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8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4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2 - 고3 여름때 모의고사 5등급 받고 설의대 가고싶어요 어떻게 해야해요? 정도 인듯합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1 - 돈 있으니까 좀 사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 동기나 잘 하니까 좀 알려주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이나 그냥 똑같은 듯 합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33 -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31 - 제가 보기엔 떠먹여주신거 같은데요 ㅠ
NeurIPS 도전기 (feat. 지도교수님)
14 - 일기는 일기장에.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3 - 꼭 오래잇다고 열심히 한거고 잘한것도 아님
루틴을 짜서 건강하고 지속가능성있는 연구를 하세요
오래잇으면 매너리즘만생김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3 - 대학원 처우는 아쉽게도 나혼자 열심히한다고 개선되진않습니다
장학금 풀은 학바학 과바과 랩바랩 차이가 심하고
지거국 과는 다른 사립대환경
학생수가 과제수비해 많은 랩실환경
과제비 타먹기 좋지않은 연구주제 풀 등
현실적으로 교수역량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더 치열하게 고민하고 도전해야하는 것이 박사과정입니다
박사과정나온다고 무조건 돈을 버는 시대도 아니고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0 - [열심히 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빼고 다 맞는 말이네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5 - 대학원생 때 뿐만 아니라 해외포닥 때도 새벽 6시반 출근.
석사때부터 취미는 다 없애고 연구실-집 만. 바쁠 때나 연구 삘이 빡 올 때 아니고는 잠은 내일 지장 없을정도로 자지만, 그 외 시간은 다 연구.
걸을 때나 샤워할 때나 연구 주제나 흐름 생각.
생각보다 연구실에 앉아 있는 시간은 중요하지 않음.
실적은 분야마다 정량적인 수치가 너무 달라서 말하기 어렵고, 그냥 연구실 내 실적/퍼포먼스 top 유지하면 됨.
교수님이 어디가서나 연구실 누가 제일 잘해요? 하면 이름 나올 수 있는 정도.
연구실에서 독보적 에이스가 되면 교수님도 눈치, 대우 해줌. 딴 학생에 비교해서. 그렇게만 하면 원하는 곳 갈 수 있게 될꺼임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3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13
한양대 융전 4.1x -> 포항공대 전전 석사과정 합
2025.07.16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융합전자공학부
B. 전공, 학점
- 전체학점 4.1x / 4.5
- 전공학점 4.0x / 4.5
C. 스펙: 어학점수, 인턴활동, 대외활동, 자격증
- 어학 : 토익 775
-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생 1회
- 장기현장실습생 후기 공모전 수상
- 회로설계 외부교육 ( Verilog )
D. 면접 후기(기출 문제)
포항공대 전기전자공학과 대학원은
1. 서류
2. 지도교수님 면담
으로 진행됩니다.
2를 중점적으로 말씀드리면, 교수님 바이 교수님이라 생각합니다.
소자/공정 쪽 지원한 지인들 말로는, 전공 질문을 하는 교수님이 있다고 하고,
저 같은 경우, 그동안 한 활동들에 대한 발표 및 하고 싶은 연구에 대한 발표를 30분 가량 하였습니다.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스펙에 적진 않았지만, 저는 전북/충북 지거국 전자공 -> 한양대 융전 편입생입니다.
25-2 포항공대 전전 석사과정으로 입학예정입니다.
(1) 학점
높은 수록 좋다고 봅니다.
포항공대에 지원할 거면, 4.0x 이상이면 더 좋겠습니다.
(2) 컨택
포항공대 반도체대학원은 면접을 교수님 3분과 봅니다. 이후 합격결과를 가지고, 희망하는 랩실로 배정이 됩니다.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는 면접을 희망하는 지도교수님 최대 3분과 봅니다. 이후 합격결과를 가지고, 희망하는 랩실로 배정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분야도 크게 크게 가져가길 바랍니다.
(3) 학부연구생
저같은 경우, 학부연구생을 하지않고 인턴을 하였지만,
기회가 된다면 공개적으로 여름/겨울 인턴이 있는 포항공대의 과정인 surf/wurf를 하길 권합니다.
적응 문제가 가장 크기에 미리가서 해당 랩실의 활동을 해본다면 좋겠다고 생각듭니다.
(4) 기타
요새, 반도체 기업 학사 취업이 많이 힘든 상황입니다. 특히 회로설계는 더욱 더 힘든상황입니다.
저같은 경우, 산학 석사로 최대한 빠지려고 했고, 포항공대 - 삼성전자 산학인 psep으로 진학 후 전환예정입니다.
석사를 하기 싫고, 눈을 낮추긴 싫다? 그래도 산학 석사는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포스텍 합격 김GPT 1 16 3663
[포스텍 전전] 합격가능한가요 김GPT 5 12 2949
포항공대 지원할려는 학생입니다. 김GPT 0 19 2745
포스텍 전자전기 대학원 김GPT 3 9 6313-
2 5 1233
전기전자공학부 김GPT 0 9 2646
포항공대 전자과 석박 산학 입학 김GPT 1 1 2266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8 80 211447-
139 16 60047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119 12 13688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06 - 지난 10년간 국제 심리학계를 뒤흔든 재현위기 (reproductibility crisis) 요약 (1편)
281 -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406 -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3
49 - 박사생 없고 각자도생 개인주의 랩실 1년차인데 도망칠까요?
11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7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7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40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61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3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26 - 오늘 카이면접자 모두 화이팅!
12 - 교수가 학생들에게 돈 적게 받고 연구하는걸 강요할 수 있을까?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3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4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2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31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35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4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2 - 31살 물리학과 대학원 진학
16 - 포공은 대학원 위주의 문화인가요?
11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8 - 카이 전산 면접
13 - 지금 상황에서 박사 졸업을 하는 게 맞을까요?
15
2025.07.1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