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심심해서 써보는 UST 후기

2024.02.01

12

12674

나는 서울 중위권 대학에서 석사졸업 후 UST 박사로 진학함
코스웍이 끝나기도했고 사립대랑 UST를 비교해볼겸 적어봄

일단 석사는 자대진학이기도 하고 유명랩 대형랩도 아니라서 열약한 상황이긴 했음. 놀랍게도 석사때도 교수님들이 코스웍 수업을 안한관계로...ㅋㅋ 대학원 수업의 질을 비교는 못하겠지만 그걸 감안해도 UST 수업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는건 맞음

일단 내가다닌 캠퍼스 기준으로 수업 시 교재를 사용안하고 본인이 한 연구결과를 수업 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기본 이론은 수업을 안한다고 보면되기때문에 전공을 변경한경우 코스웍 외로 스스로 공부를 좀 해야됨. 그리고 교수님들이 수업 준비를 안한다는게 느껴짐..

등록금은 국립대정도로 저렴함. 박사기준 250정도이고 나는 코스웍 종료 후 등록금 지불 없이 다니고 있음. 이거는 곧 바뀐다고 했던듯

임금 기준은 연구원마다 다르지만, 내가 다니는 캠퍼스는 박사 기준 세후 200은 넘고 연말에 성과급도 지급됨.
등록금은 월급 받아서 알아서 내는거지만 학교랑 비교했을때 급여는 넘사임

또 보유 장비가 많기때문에 원활한 연구진행이 가능하고, 분석 장비를 직접 다룬다는게 큰 메리트라고 생각됨. 랩바랩이겠지만 과제가 넉넉한경우 연구비 걱정도 없고 자체사업도 있고 과제 주관기관인 경우가 많아서 여기는 좀 안정적으로 굴러가는 느낌임

그런데 깊이있는 연구를 시도하기가 너무 힘듦. 학술적으로 의미있는 연구보다는 목표 결과를 도출하려는 경우가 많음. 또 랩별로 연구비나 과제 현황 편차가 크고 가끔 선후배가 없는 랩실도 있음. 일단 내 주변은 랩실 당 학생이 한명씩이라 잡일부터 실험, 논문, 보고서 작성까지 원툴인 경우가 많음. 이건 학교에서 조교하면서 생활하는거랑 비슷한듯.

그리고 공공기관 특유의 꽉 막힌 사내 분위기가 있어서 학교보다는 덜 자유로움. 또 UST 학생들은 근로계약을 체결하기때문에 근태관리를 해야되고 연차 수도 정해져있음 ㅇㅇ

개인적으로는 박사 학위는 UST 보다는 학교를 우선으로 생각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본인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긴 하겠지만, 그래도 학생지도에 있어서는 정출연 박사님보다는 교수님이 더 능숙한느낌이였음.

만약 UST 진학을 희항한다면 본인이 지망하는 연구원 분위기를 살피는것이 중요함. 연구원 별로 조건이나 내부분위기가 상이하고, 급여문제나 복지 등에 대해 학교가 개입하지 않음. 연구원의 자율임.

나는 개인적으로는 UST에서 학위하는걸 후회하고 있고 연구외로 이런저런 상황때문에 힘든적도 많았기때문에, UST 진학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진지하게 고민을 해봤으면 좋겠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2.01

박사는 제대로된 대학에서 하는거 외에는 인식상 인정을 받기 어렵다.
SKP외에 YK ist 뿐 아니라 지거국이나 중경 정도에도 제대로된 랩실은 있다.
본인은 YK 학석박 졸업했음.
박사 졸업하고보니 UST에서 석박과정을 한다든지 정출연에서 근무하면서 모대학에서 박사과정을 한다든지 회사를 다니다가 연계로 박사과정을 한다든지.
내가 박사 과정중엔 생각도 안해봤던 별의별 박사가 다 있다. 근데 그런 박사들은 기본적으로 깊이가 없더라. 박사란 모름지기 정상적인 코스인 일반대학원 들어가서 잡일부터 하면서 실험 배우고 고학기되서는 본인 아이디어로 논문까지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실력이 생긴다.
지방대에서 학위하는 애들은 교수가 논문 많이 첨삭해주던데 그런 애들이 당장 1저자 편수는 많을지언정 졸업하면 지혼자 논문 하나 못쓰는 물박사된다.
UST든 다른 경로의 박사들 또한 대부분 물박사다.
SKPYK 대학원에도 물박사 많지만, 논문실적도 좋은 경우는 대부분 정상적인 박사더라. SKPYK에서 1저자 1편 그냥저냥한 곳에 가까스로 낸 애들은 거의 물박사고.

대댓글 5개

2024.02.01

??? UST-KIST 박사를 한 사람입니다. 이번에 졸업하고 대기업 입사하고요..UST든 다른 경로의 박사들 또한 대부분 물박사라니요, 저는 키스트에서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들 수도없이 봤지만 더 물박사들이 더 많았습니다. 연구라는게 공부랑 달라요 공부센스가 연구 센스랑 이어지는게 아닙니다. 부디 교만과 오만을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선량한 한나 아렌트

IF : 1

2024.02.02

Ust 출신 석사인데 물박사 많은건 인정해야죠.
깊이 있는 연구 못하는건 팩트임.
대기업 가는게 뭐가 대수라고...
아웃풋 따질꺼면 ust는 절대 아래에서 놉니다.
실험적인 테크닉이나 센스는 ust 출신이면 휼륭하다고 생각하지만 학문적인 깊이는 처참하다고 생각되네요.
님이 서울대 카대보고 물박사 많다고 느끼시는 것보다 전국의 대학이 ust보고 이 놈들 물박사라고 느끼게 훨씬 많습니다.

공부센스가 연구센스랑 왜 이어지는게 아닌가요.
연구가 창작의 영역이긴 합니다만, 기본적인게 되야 예술이 되지 기본이 안되면 뭣도 안됩니다만...?

부디 교만과 오만을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Ust 출신, 동문님.

2024.02.02

국내박사 깝 ㄴㄴ 노벨상이라도 받을 정도 연구 하시나요?ㅋㅋㅋㅋ

2024.02.02

ㄹㅇ 세계 변방 국내대학들끼리 뭔 대단한 차이가 있다고 키재기 하는걸보면 웃음만 나옴. 현실은 어딜 나오든 실력만 있으면 인정받는다.

2024.02.03

UST 나와놓고 자신감 있는 사람 처음보네ㅋㅋ 대기업간게 뭐가 대수여ㅋㅋ UST KIST나와서 설카 박사 무시하는게 웃음벨이네
정출연 박사는 전국민이 무시하는건 모르나

2024.02.01

박사는 해외에서 하는게 답

2024.02.02

전 UST 석사인데 그래도 제 전공에 박사까지 남아서 했던 애들 세명 다 정출연 연구원으로 갔어요.

2024.04.25

UST 출신인데, UST든 뭐든 박사는 논문 실적 IF 만 보면 되는거 아냐? 교수할거야? 굳이 학교 따지며 물박사 운운할 필요가 없는데.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적만 있으면 대기업 잘만 간다. 회사에서 실무 접하면서 타 기업이랑 같이 일하기 때문에 업계에서 실제로 원하는게 뭔지 파악하기도 쉽고. 다만, 인맥 때문에 교수는 어려움. 교수하고 싶으면 해외로 가라. 정출연은 내부인맥도 중요해서 도움은 되는데, 공채이기 때문에 내부에서 도와주더라도 그래도 어느정도 비빌 실적은 필요함(논문, 특허 7-10)실제로도, 몇 명 되는 것을 봄. 그런데, 요즘 정출연 대기업 대비 연봉 메리트가 많이 떨어짐. 그리고 마지막으로 UST든 뭐든 아닌 것 같으면 빨리 탈출해라. 논문 못 쓰는 환경이고 일만 시킨다? 런 해야함. 박사는 특히. 이건 학교도 마찬가지.

대댓글 3개

2024.04.25

UST는 일반 대학교 대학원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에 부족함이 있는 것은 확실함. 다른 점에서 장점이 (돈 제외) 있는 것도 확실하고. 알아서 챙겨 먹으면 둘 다 잡을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 그리고 그 장점도 랩 바이 랩이니 정답은 없다.
선량한 한나 아렌트

IF : 1

2024.04.27

맞는 말이긴 한데 나도 UST 출신인데 (박사는 해외에서 하는 중), UST 출신인 사람보면 실력적으로 의심가긴함.

그리고 대기업가는데 논문 실적 IF 본다는 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임. 님말대로 학위과정 중 뭘 했는지가 중요하지 그게 꼭 높은 저널의 논문으로 보여줄 필요는 없음. 그리고 지도교수 이름 및 과제펀딩해준 기업 등 논문 안쓰고 일만 잘 처리해도 쉽게쉽게 감.

근데 문제는, 위의 이야기는 일반적인 학교의 이야기인거고 UST는 님 말대로 높은저널 써야됨.
그거라도 안보여주면 실력이 의심됨.
일단, 정출연 박사는 기업에 추천해줄 힘이 없음.
둘째, 정출연은 대기업과 과제하는 곳이 드뭄.
셋째, 선후배간에 끌어주고 당겨주는 인맥이 없음.

저는 여기서 S사 (ㅇㅈㅇ회장님...)간 선배가 있는데 인사팀에 저를 추천해주니 기술면접보고 조기 채용 진행한다함.
물론, 갈생각은 없지만...
UST는 이런게 전혀 없음.

UST 나와서 논문 실적이 타 대학출신보다 낮다?
걍 UST 안가는게 나았다는 생각임.
메리트가 1도 없으니.
UST는 논문 쓰기가 좋은 환경이 장점인데 이거라도 못하면 걍...

박사는 학교에서 하는게 맞다는 결론임
선량한 한나 아렌트

IF : 1

2024.04.27

참고로 전 ust 석사 때 sci 2편썼습니다. 높은 저널은 아니지만...

근데 높은 저널 고집하는 건 교수나 연구원 생각하는 분들에게 해당하는거지, 저처럼 기업 목표하는거면 빠르게 성과내서 정리해서 논문화 빨리 하는게 현명함.

Ust는 논문다작에 최적화된 곳이라고 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