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유기반도체에 관심을 갖게된 학부생입니다. 향후 대학원 진학을 위해 연구계획서를 미리 준비하고자 여러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의 지도교수님들의 최신 논문을 보고 있는데 어지간하면 유기태양전지 위주더군요. 그래서 "재료 합성"에 있어서 oled와 ofet(otft)가 끝물이고 비전이 없는건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Oled야 blue color 번인 이슈가 있어도 기술적인 측면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어서 상업화가 많이 됐고 ofet는 소재를 만들어도 전기이동도가 무기반도체처럼 크지 않으니 뭔가 연구자들이 포기한 것 같고요.
논문 몇편 얕은 지식으로 읽어보고 느낀점이라 제가 모르는 무언가가 더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관련분야에 종사하시는 선배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무서운 존 필즈*
2023.03.15
박사과정 할 거면 하지마세요. 말씀하신대로 완전 끝물이죠. 태양전지야 그나마 에너지쪽이니 논문 낼 거리 좀 있긴 하지만 태양전지도 유기반도체로만 하는 걸로는 쉽지 않죠.
대댓글 2개
2023.03.15
석사로만 할겁니다 그냥 디스플레이나 전자 기업에 들어가고 싶거든요
2023.03.15
답변 감사합니다
무서운 존 필즈*
2023.03.15
석사만 할 거면 뭐 별 상관없을 듯
2023.03.15
고분자 화공과에서 석사 후 삼전가기 좋음
졸린 토마스 홉스*
2023.03.15
OLED 블루 번인이슈 내 대학원들어갈때부터 보던건데 졸업할때까지도 비슷한거 계속 합성함
근데 좋은 저널에 계속 게재하고 있는거 보면 끝물인지 꿀물인지는 아직도 모르겠음
대댓글 1개
IF : 5
2023.03.16
블루 번인이슈는 산업계에서도 영원히 이슈임ㅋ 거기서는 각종 보상 내지 영끌 내지 약간의 억지 메이킹으로 만들어갈 순 있는거지 재료 자체의 발전은 잘...영... 모르겠음
2025.08.22
안녕하세요 오래된 글이라 보실 지 모르겠지만 저도 학부생인데 과거의 글쓴이님과 같은 고민입니다... 혹시 어떻게 하셨나요??
2023.03.15
대댓글 2개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대댓글 1개
2023.03.16
202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