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양자정보 분야

2020.12.26

6

13123

양자정보소자나 스핀트로닉스 쪽 분야 많이 힘들까요?

이제 사양길이라는 말도 있고 아직 모른다는 말도 있고 연구가 계속 되고 있는 것 같긴 한데..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은 알지만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을지 아니면 도박이 될 지...

관련 연구하시거나 아는 바 있으신 선배님들 의견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0.12.26

eeung mol la
John Dewey*

2020.12.26

관련분야 학위자이고 현재는 방향을 틀어서 다른 거 하고 있음.

양자 컴퓨팅은 거품 많음. 실제 과학자(라고 쓰지만 그냥 내가보기는 사기꾼들)이 내놓는 결과 보면 아직 실용화에 한참 멀었음. 요즘에는 양자-인공지능 이렇게 엮어서 지랄들 하는데, 이거마저 실패하면 양자컴퓨팅은 끝없는 암흑기 올 거라고 이전에 네이처에 기고한 글도 있었음. 링크는 기억 안남.

양자 시뮬레이션, 즉 어떤 복잡한 양자시스템을 컨트롤이 용이하면서 근사적으로 비슷한 다른 양자시스템을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연구하는것은 가능성 높고 긍정적으로 봄. 이건 100% 정량적일 필요가 없고, 정성적인 결과만으로도 의미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임.

이 외에도, 양자센서, 양자통신, 양자암호 등 여러 다른 분야가 있는데, 양자암호는 이미 상용화가 됬고, 물리적으로는 딱히 중요한 문제들이 안 남아서 재미가 없음 (본인 기준).

해외는 양자컴퓨팅에서 양자시뮬레이선, 양자센서 등으로 이미 많이 넘어왔음.
John Dewey*

2020.12.26

이 분야 하려면 무조건 해외 나가는게 좋고, 국내에서 하려면 갈 만한 랩이 별로 없음.

'양자' 들어가는 분야는 돈과 시간은 많이 먹고, 이미 포화가되서 논문은 많이 안 나오는 분야라서, 국내 임용되도 매우 힘들 것으로 예상. 한국 학계가 개벽을 하지 않는 이상 이 분야가 한국에서 클 가능성은 없음.

2020.12.27

관련분야 대학원생인데 거품일수도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저는 앞으로 10년간은 AI처럼 지원이 넘쳐날 것으로 보여요.
일단 정부 과제가 이분야로 많이 공고하고 있고, S대 컴공 KP물리 K대물리 학과 신임 교수 임용 보시면 대부분 양자정보 연구하시는 분들이 임용되고 있는거 같아요.
물리학과 정출연인 표준연에서도 양자기술 연구소를 세워서 정규직 많이 뽑고 있고요. ETRI 나 KIST같은 연구소에서도 많이 채용 공고를 올리는것 같아요.
John Dewey*

2020.12.27

Pyotr Ilyich Tchaikovsky // 저는 이제 한국 학계와 연줄이 없어서 최근 근황은 모르지만, 양자정보 투자한다는 소리는 10년전부터 나오던 소리였어요.

spk에 그 쪽 분야 교수님들 대거 채용되었다는건 알고 있는데 그 말은 앞으로는 더 이상 안 뽑을 것이라는 뜻.

정출연 쪽도 양자정보쪽은 항상 공고에서 선발 후보군에 있어 왔어요. 키스트, 표준연은 제가 알기로는 5년전부터 계속 공고 냈음. 양자기술 연구소도 예전에 없던 팀을 갑자기 만든게 아니라 이 전부터 양자기술쪽은 여러 연구본부중 하나였는데 이번에 덩치 약간 늘리면서 원장 직속으로 독립시킨거죠.

한국은 이미 미국 유럽 중국에 너무 뒤쳐져 있어서 뭐 임용된다 해도 세계적인 연구를 할 수 있을지, 그냥 소소한 연구만 하며 사는게 좋다면 상관없겠지만요.

양자정보 이론쪽은 한국 내에서도 이미 레드오션된지 오래. 이건 뭐 말씀 안 드려도 알 것임.

2024.12.26

한국에서 양자정보 "실험"은 이미 망함. 아주 예~전에 망했고 최근에 돈 뿌려서 학교/정출연들에서 공격적으로 뽑고는 있는데 해외 학위자나 포닥 출신들 거의 안 옮.

국박 vs 해박 논쟁을 떠나서, 이 쪽은 국내 연구수준이 너무 떨어져서 해외 출신들이 많이 와야 되는 분야인데, 대부분 국박출신에 해외포닥도 못 나가본 애들이 정출연에 대거 채용될 수준으로 국내에 인재가 없음.

본인도 완전히 양자정보는 아니지만 연관분야인데 국내 귀국 후 분야를 틀어서 다른거 하고 있음. 논문은 훨씬 잘 나오고 코웍하기도 좋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