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5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4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55 - 고민한다면 지금 안친한 겁니다.
교수님이랑 친하면 놀러가도되나요?
18 - 4.42에 상위 6%? 진짜 요즘 애들 수준 얼마나 더 처참하게 만들라고 학점을 저리 퍼주냐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9 - 문장 몇줄 안되는거로도 찐따티가 나네 신기 ㄷㄷ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6 - 근데 ㄹㅇ 그 박사님은 나를 모르지만 제가 거의 팬급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내 논문 사이테이션 해서 좋은데 쓴게 기분이 너무너무 좋습니다 ㅎㅎ 그것도 제인생 첫 citation으로요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8 -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7 - "제가 만든거라 좀 그랬지만 프로그램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그건 어려울거같다고 했더니".....
거기서 관련 연구를 한다는거 자체가 본인이 연구실 지원을 받고 있다는걸 언제 깨달을까
너가 그 연구실에서 연구 관련 무언가를 하면 다 연구실 소유야 제발. 니가 코드 좀 짰다고 니꺼마냥 굴지말고. 니꺼라고 쳐도 좀 공유하고 그래라 별 같잖은거로 소유욕 탐내지말고.
3.5년이나 있었으면 연구실에 하나라도 도움이 되고 그래라 좀.
아니다 넌 박사 과정 안 가는게 그 연구실에 도움 되는거니 하나는 도와줬네.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0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52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8
연구실 인턴중인데 옆방 교수 문제
2023.04.29

저는 학과 전공이 마음에 들어 자대 연구실에서 인턴중인 4학년입니다.
지도교수님은 저희 과 교수로 임용된지 3년정도 되셨고 랩에는 석사1명(제가 석사를 한다면 바톤터치해서 졸업할 예정)과 인턴이 3명 더 있습니다.
지금 하는 내용도 꽤 괜찮다고 생각하고 석사진학까지도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같은 학과에 임용된지 얼마 안 된 것은 똑같은 교수가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교수(A)는 대학원생을 아직 한명도 받지 못했지만, 랩실에 교수님이 입에 떠먹여주길 바라는 인턴만 셋을 달고 있습니다. A는 자기 애들한테는 험한말해서 나쁜사람 되기 싫다는 마인드라서 본인 인턴들에게 시킨 일도 어차피 교수 본인이 마감기한에 쪼달리며 대신 작성해주는 분위기입니다.
매번 A가 인턴에게 발표자료 만들어둬라, 논문 틀이라도 잡아봐라 등등 시키는 것들이 있지만 저쪽 분위기가 그런건지 매번 9~6 타임에 툭하면 죄다 출근 안하고 도망갑니다. 그럴 때마다 A는 저희 연구실에 본인 심심함을 달래러 와서 제 동기에게 너 기사 떨어졌냐 같은과에 누구는 필기붙었더라 식으로 놀리고, 다수 인원에게는 정수리를 슥슥 펼치더니 탈모진행에 관하여 놀리곤 했습니다.
이까지는 그 순간만 참으면 되니까 상관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실적이나 지원사업에서 같은학과 내인데도 은근슬쩍 본인 끼워서 얌체마냥 긁어먹으려 하는걸 몇번 당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저희 학과 내에 연차 좀 되는 랩실사람들만 불러다가 우리애들 끼워서 같이 지원사업 계획서 내줘라, 국내 학회는 발표상 심사위원한테 하루종일 붙어서는 쟤 대학원 불투명하다 점수낮게줘라 대놓고 소리치고(영향을 줬는지는 모르지만 기분이 매우 나빠졌습니다) A가 지원사업 몰빵하는 인턴 발표에는 착붙어서 부족한거 지가 대신 실드쳐줘서 결국 상받아가게 했습니다.
저희 학과가 내부적으로 교류가 많은편이어서 그런건진 모르겠지만 옆 교수의 영향이 꽤 심하게 느껴집니다. 다른 곳들은 어떤지 알아보고 싶고 제가 잘 몰라서 투정부리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도 의견 부탁드립니다.
주절거리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실 내 문제 김GPT 13 23 5326
교수님 화나심ㅠㅠ 김GPT 16 29 16656
요즘 연구실들이 바쁜 철인가요? 김GPT 2 12 3886
학부 연구생 하다 다른 연구실 인턴 김GPT 0 5 1008
연구실 실적 교수님 실적 김GPT 3 4 6831
교수님의 욕설 김GPT 0 5 7056-
1 9 1726
퇴임앞둔교수 김GPT 1 3 5223
다른 과로 연구실 변경 김GPT 2 4 946-
94 41 8313 -
154 50 59010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33 19 62530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27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2 - 내가 글을 정말 못쓰는구나.....
36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93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4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1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7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4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2 - 졸업 후 교수님과의 연락
6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9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1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19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1 - 안녕하세요. 졸업을 앞두고 매우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9 -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신이 너무 아픕니다.
9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1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0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3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