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7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9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2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4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1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2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1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3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1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4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9 
인턴없이 타대입학
2024.03.18

안녕하세요
25년 전기 서울대 대학원(자연대)희망하는 타대 학부생입니다.
서울대 대학원 진학을 위해서는 컨택이 (거의)필수라고 하던데, 이와 관련해서 의문점들이 몇개 있어서 질문글 올려봅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컨택이 입학에 도움이 된다고 하면 다음 경우의 수가 있을 것 같은데요,
1. 대학원 합격을 한다면 받아주기로 말이 되어있는 교수님이 있는 학생이라면, 입시에서 가산점(정성적인 평가에서라도) 부여
2. 해당 대학(서울대)의 연구실에서 인턴경험이 있을 경우 가산점 부여
단순히 드는 생각은 대학원 입학만 보았을때 1번은 관련 없는대신 합격이후 연구실 배정에서 크게 작용할 것 같은데요, 제가 생각하는 게 맞을까요?
그리고 저는 서울대 인턴 없이 입학을 희망하는데요, 이에따른 차이가 클지 여쭤봅니다.
취직 관점에서 공대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2 8 14568
서울대 인턴없이 입학 김GPT 0 1 969
서울대는 컨택 비중이 큰가요? 김GPT 0 12 7020
서울대 대학원 진학 관련 김GPT 1 16 7324
서울대 공대 대학원 컨택 중요성 김GPT 0 4 6591
대학원 질문드립니다 김GPT 6 3 1074-  
 0 6 1796 
이거 컨택이 된거라고 말할수 있나요? 김GPT 0 3 869
타대생 대학원 진학시... 왕따? 김GPT 0 10 2356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8 21 9621-  
 102 41 10568 -  
 332 31 9730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4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4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1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2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41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4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23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