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나이는 30대 초반이고 대학원은 skp 중 하나입니다. cs 세부 분야는 AI와 연관이 있는 듯 하면서도 없는 곳입니다 ㅎㅎ
세금+건강보험+401k 때고 나니 매달 20k불 정도 남는 것 같습니다. 집월세랑 차렌트 식비까지 뺴면 대략 16k불 정도 남습니다 (아직 차를 사지 않음). 싱글이라 아직 돈이 꽤 남는 듯 하네요.
대학원때 외국인들과 연구를 많이 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봅니다. 자연스럽게 해외 인턴과 연결이 되었던 거 같아요. 영어가 무섭다고 쫄면 안됩니다..! 비자는 O1입니다. 참고로 O1 비자는 얻을 때 논문 인용 회수 뿐만이 아니라 추천서도 필요합니다. 대학원 생활 열심히 하세요ㅎㅎ 학부때 problem solving하는 것 좋아했는데 이것이 자연스럽게 면접 준비를 쉽게 만들었던 듯 합니다. 참고로 면접용 알고리즘 문제는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연구직으로 왔고 한국에 학계로 돌아갈 의향 있어서 열심히 사는 중입니다 요즘 layoff 소문이 파다해서 추가로 더 열심히 사는 중입니다.ㅜㅜㅎㅎ
매우 짧은 기간이지만 있어보니 미국은 일하기 좋아하는 덕후들을 위한 곳인 것 같네요. 밤에 놀 컨텐츠가 별로 없어서 자연스럽게 오늘 한 일 정리하고 코드 한 번 더 보고 하게 되는 거 같아요. 추가로 자연환경과 차 운전, 널찍널찍한 공간을 좋아한다면 +a입니다 ㅎㅎ 음식은 의외로 입맛에 잘 맞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H마트에 푸드코트가 잘 되어 있더라구요
질문은 제가 받고 싶을 때 까지 받겠습니다!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2.20
인턴은 J1 비자로 진행하셨나요? 아니면 O1으로 인턴까지 같이 하셨나요? 저도 J1으로 베이 에어리어에 다녀왔는데 이런 경우 차후에도 인턴을 다시 진행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2.20
인턴은 J1으로 했습니다. :) 다음 인턴을 할 기회가 생기신다면 비자는 아마 새로 받으셔야 할거에요
2023.02.20
우선 미국 취업 축하드립니다! 저도 미국취업중인 cs박사과정생으로 몇가지 질문 드고 싶습니다. 1.인턴십이 졸업후 취업에 도움되나요? 그렇다면 인턴십은 어떻게 구하는게 가장 효과적인가요? (회사.career 공개채용 싸이트에 resume 넣는 방법은 확률이 극악이라 들었습니다) 2.학계로 가신다는것으로 보아 실적이 훌륭하신것 같은데 o비자 받고 취업하려면 어느정도여야 하나요? (언어문제없고 코딩테스트 무리없다는 가정하에) 즉, bk toptier conference 기준 몇장정도 1저자로 publish해야하나요?(혹은 2,3저자 실적도 중요한가요?) 인용수도 중요한가요? 3. 왜 한국으로 돌아가시고 싶으세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선배님!
대댓글 2개
2023.02.20
오타가 있습니다 *미국 취업 희망중인
2023.02.20
1. 인턴십은 얼마나 잘 했는지 회사에 평점으로 기록이 남고 훗날 다른 회사에 지원할 때도 면접에서 좋은 답변을 만들 재료가 됩니다. 구하는 것은 같이 일하는 빅테크 연구자를 통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듯 하고 그 이외에 의외로 SNS에도 공고가 올라옵니다 2. 논문 citation 횟수 및 리뷰어 경력이 중요합니다. Citation 회수는 아마 인터넷에 검색하면 나올 것인데 기준이 점점 올라가는 추세라고 얼핏 들었으나 확실한 것은 attorney가 잘 대답해줄 것입니디. 리뷰어 경력은 대학원생이 우수 학회 program committee를 할 일은 없고 external reviewer를 많이 하는 것이 현실적인 듯 합니다. 그리고 자기가 출판한 논문이 현실 세상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가도 중요 factor였던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론 총 8가지?(가물가물합니다)의 기준 중 3가지를 만족시켜야 하는데 디테일은 인터넷에서 찾아 보시면 나올거에요. 3. 부모님이 한국에 계시기 때문입니다. :)
2023.02.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같은 케이스가 선생님께서 나오신 랩실이나 속하신 분야에서 흔한 케이스일까요? 예를 들어 랩실 혹은 해당 분야 spk 졸업생 100명이 있다고 치면 그중에서 몇명이나 미국테크기업에 O1비자 받아서 건너가는건지 궁금합니다 (충분히 가능한데도 안 가는 분들 포함해서요)
대댓글 2개
2023.02.20
저도 정확한 수치가 없어서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제가 발이 넓은 편이 아닙니다.ㅜㅜ) 한다리 건너서 몇 분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완전 드문 케이스는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싶네요. 네이버 미준모나 여러 포털사이트 카페에서 검색할 경우 꽤 케이스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023.02.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감사합니다 완전 드문건 아니지만 흔하다고는 할수없나 보군요 대충 100명 중 10ㅡ20명 정도로 생각하겠습니다..
2023.02.20
올해 채용시장은 어떨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해외인턴 기회를 잡았거나 잡고 있었던 (인터뷰 중) 중이었는데, 모든 프로세스가 다 취소되어서 못했습니다. ㅠ 해외 인턴 경험없이 바로 박사 취업을 도전해야 하는 상황인데 조언 한번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대댓글 1개
2023.02.20
올해는 힘들다에 한 표를 던지고 싶네요. apply 하면서 second plan으로 해외포닥도 염두에 두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2023.02.21
350k면 박사 초봉으로 높은 편인가요? 카운터 오퍼 이외에 경력 없는 박사 초봉 높일 수 있는 팁이 있을까요?
2023.02.20
대댓글 1개
2023.02.20
2023.02.20
대댓글 2개
2023.02.20
2023.02.20
2023.02.20
대댓글 2개
2023.02.20
2023.02.21
2023.02.20
대댓글 1개
2023.02.20
2023.02.21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