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스텍과 카이스트 둘 사이의 고찰

2024.08.10

18

5970

예전부터 느끼는거지만, 뭔가 포항공대에는 카이스트에 대한 어느정도의 열등 의식이 있음.

물론 어디가 더 낫다 라고 말하기 애매할정도로 두곳 다 좋고, 어디든 연구를 열심히 하면 그만큼 아웃풋이 나오는 그런곳임은 분명함.

다만, 포공 출신들을 보면, 자기 이야기를 하다 카이스트 이야기를 항상 함… 반면 카이스트 출신들은 포공 이야기를 안함

어느정도 상대적인 열등감이 있는것 같은데… 그냥 열심히 본인 하던 연구 열심히 하길..

전 미국 주립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생활 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08.10

잘 모르겠는데요.. 저는 카이스트 학석박이고 저희연구실에 포공출신들이 좀잇었는데(우리분야 연구하는사람이 포공에 없음), 오히려 포공에 잇을때 바다도 종종 놀러가고 좋았던경험도 많앗다는 말로 얘기합니다.
오히려 포공인원이 좁다보니, 포공출신들끼리 만나면 서로 더 잘 뭉치고 얘기하는것들도 긍정적으로 보였고요.
저도 카이스트 나왔고 졸업하고나서 출신들 만나도 솔직히 저희는 전혀 어떠한 감흥도 느껴지지 않습니다.. 동아리후배나, 비슷한 연구하는 연구실출신이거나, 아는 지인들이 많이 겹치지 않는이상에는요.
포공은 뭔가 서로끼리 경험도 나누고, 장난으로 "나는 시골생활 12년했는데 빨리 잘 탈출햇네" 이런 농담도 하면서 공감대 형성을 많이하더라고요.
카이스트 출신중 포공 무시하는사람 솔직히 전혀없고, 반대도 마찬가지로 생각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둘다 서울대에 아주약간의 열등의식(학부기준)이 미묘하게 있을순있겠지만요.

2024.08.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야 말로 서울대/의대에 열등감 가득 있는분들 많이 보이던데요..

대댓글 1개

2024.08.10

맞말. 포스텍 학생들이 카이스트에 대해서 열등감 가졌다는건 못느꼈는데, 카이스트 학생들은 서울대나 의대 떨어지고 온 애들이 많아서 서울대나 의대에 대해서 열등감 갖고있다는 느낌 학교다니면서 많이 받았음

2024.08.10

카포 자대생들끼리는 교류도 자주 하고, 아는 사람이 겹치기도 하고, 학부시절 경험도 비슷해서 잘 지냅니다. 서로를 진심으로 까내리거나 깊이 열등감을 느끼는 건 꽤 드문 경우 같은데요? 제 기준에 말 함부로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서울권 대학 나온 사람들이었습니다. 님은 학부가 카이스트도 아니고 포공도 아닌 것 같은데, 겉만 보고 함부로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열등감은 오히려 작성자님에게 있는 것 같습니다.
진지한 레프 톨스토이*

2024.08.10

지따위가 고찰 ㅋㅋ

2024.08.10

저는 전혀 이렇게 느끼지 않는데요. 리젝.

2024.08.10

포공 애들은 신경도안쓰는데 깔라고 다들안달이냐

2024.08.10

10년~20년 전에는 포공이 압도적이었을텐데 ㅋㅋ

대댓글 1개

2024.08.11

20년전 학부 다닌 입장에서…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2024.08.10

3자는 빠지쇼
뻔뻔한 레프 톨스토이*

2024.08.10

고찰이라 하지 않고 졸견, 또는 관견이라 하는거요.
카포지교는 연고에 필적하지는 못하지만 상호 우의와 존중의 자세로 학업에 임하고 있어, 각 학생들은 부질없는 비교 우위로 부심이나 긍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보오

2024.08.10

마지막 줄에서 빵 터지고 갑니다 ㅎㅎ 미 주립 학석박 출신이 포공 출신은 언제 그렇게 만나보셨을까?

대댓글 1개

2024.08.10

ㄹㅇㅋㅋ

2024.08.10

수준차이 많이나서 최근 포공에서 교원 유치에 신경쓰고 인센티브 제도 크게 개선

대댓글 1개

2024.08.11

연구 수준차이가 많이나서가 아니라, 서울공화국이 되면서 교수들이 인서울 상위권학교나 카이스트 등으로 많이 옮기시니까 그걸 잡기위한 수책이겠죠. 실제로 친한 지인이 최근 포공 임용됐는데(포공 학석박/저와같은t3 포닥) 임용면접때 포항에 오래 정착할수있는지를 물어봤다 하더라고요.
친구는 친가와 처가댁 모두 포항이라고 하니까 아주 흡족해 하셨다는.. ㅎㅎ
근데 이건 연구수준차이나 학교수준 차이보다 보통 자녀(포항재철고가 있지만) 및 부동산 문제 때문이라서 포공입장에서도 아쉽긴 하죠.

2024.08.11

이런걸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합니다.

2024.08.11

설카포도 아닌 벌레 따위가 고찰 ㅋㅋ

2024.08.17

포항공대에 있다가 카이스트에서 일하고 있는데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두 곳 다 연구 환경의 차이는 거의 없고 얼마든지 능력껏 연구 성과를 낼 수는 있다

근데 일단 규모 차이가 너무 크다
포항공대는 소수정예라고 하기엔 그냥 규모가 너무 작다
전교생이 어느 인서울 대학교의 한 학과와 비교될 정도다
인원수가 적으면 압도적인 기량과 연구환경으로 소수정예가 되어야 하는데
그 정도의 천재가 그렇게 흔하게 나올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런 천재가 포항공대를 선호할 만큼 압도적인 연구 환경이 갖춰진 것도 아니다
연구환경은 두 곳 다 상향 평준화 되어 있어서 비슷비슷하다

그리고 지정학적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다
카이스트가 있는 대전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람들도 많고 도시인프라도 좋다
포항공대가 있는 포항은 최근에 도시 개발을 열심히 하고는 있고 많이 좋아지고 있지만
포항시의 인구수와 규모상 대전시를 따라갈 수가 없다
그리고 한반도 끝자락에 치우쳐 있어서 서울 가는 것도 반나절 걸리고 부산을 가는 것도 2시간이다
대전시가 노잼도시라고는 하지만 그건 포항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지리적인 특성과 각 학교의 규모 차이 때문에
포항공대는 스스로 충분히 괜찮은 여건들을 갖추고 있지만
카이스트에 대한 무의식적인 열등감이 생길 수 밖에 없는 듯 하다

이러한 것이 입결에서도 잘 나타난다
합격을 했는데도 입학을 포기하는 학생수가 월등히 높다
이 말은 포항공대와 동시에 합격한 다른 학교가 있다면
포항공대 대신에 다른 곳으로 간다는 거다
단적인 예로 카이스트와 포항공대에 동시에 합격했다면 어느 쪽으로 입학할 것인가
카이스트를 선택하는 쪽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것이 입결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포항공대가 외적인 요소로 불리한 점이 없지 않다는 거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