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 sci논문 1저자

Joseph J. Thomson*

2019.07.30

9

10265

안녕하세요.

이공계열 군필이고 학부 졸업 앞두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널 수준은 거의 중위권 수준인데 이정도면 연구실적으로 어느 정도 평가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Robert Louis Stevenson*

2019.07.30

대단하십니다
Augustin-Louis Cauchy*

2019.07.30

SCI 카테고리 내에서 중위권이라는 얘기죠? 학부졸업생이 그정도면 엄청난거예요. 지도교수님이 굉장히 잘 도와주셨다고 생각되네요.
이제 학부생들도 SCI 수편씩 써내는 세상이 되는거보니...앞으로도 점점 더 치열해지겠네요...
Robert Bunsen*

2019.07.30

학부때 저널을 혼자 썼다는건 대단한겁니다
메이저 컨퍼런스 낸 친구들 몇 아는데 모두 명문대 박사로 다이렉트로 갔습니다.

2019.07.30

ㄷㄷㄷ... 대단하시네요.

2019.07.30

탑급입니다.

2019.07.30

어떻게 학부생이 SCI 를 쓰지;;; 학부 학점 받기도 빡쎈데... literature survey 하면서 주요 논문들을 언제 다 읽어보고 하셨을까...

2019.08.01

학부생이 SCI를 어떻게 쓰는건지.. 솔직히 궁금하네요. 분야마다 다른건지..
박사과정 학생들도 쩔쩔 매달리는게 SCI인데

2019.08.02

어느 필드인가...나노 쪽이면 아주 불가능은 아닌데 그래도 대단하네

2019.08.04

학부생으로 SCI 를 쓰는 건 그렇게 어렵진 않지만 어디에 내는 지는 또 다른 이야기죠. 물론 분야마다 기준은 좀 다르 겠지만 학부생이 분야 중상위권에 내신거면 정말 좋은 실적입니다.

다만 혹시나 대학원 면접이나 인터뷰 보실 때 본인이 쓴 논문에 대한 질문에 답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해당논문과 분야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하고 있다면 시너지가 발생하지만 답변을 잘 못하고 이해를 잘 못한다는 이미지가 보이면 평가는 180도 뒤집어 질겁니다.

왜냐하면 석사 박사생들이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케이스인데 학부생으로 뛰어난 실적을 가지고 있으면 교수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의심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