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경북 이외 대학들은 나는 몇번 봤음
카이에서 대구대, 연대 원주 봤고, 설대에서 강원대 출신 한분 봤음
2020.12.05
ㄴ 죄송하지만 혹시 그 분들이 어떠한 노력을 했고, 어떠한 준비를 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조금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히 듣겠습니다!
Ludwig van Beethoven*
2020.12.05
일단 뭐 학점이 4.4x점이던데
A+아닌 과목이 한개였나 두개였나
뭐 그런수준이였음
2020.12.05
ㄴ 감사합니다! 혹시 다른 스펙이나 영어실력 같은 경우는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제가 김박사넷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그런데 쪽지를 보내거나 그런 기능은 없는건가요.. 따로 여쭈어 보고싶은게 정말 많습니다!
Ludwig van Beethoven*
2020.12.05
영어는 기준점만 넘으면 됨
2020.12.06
지거국 전/충 인데
이번에 spk중 한 곳 합격했습니다
과탑도 아니고 영어성적도 그렇게 높지않습니다
자대에서 학부연구생 1년하고
원서 넣기전에 컨택한게 전부입니다
2020.12.06
김박사넷 말고
네이버 대학원 준비 카페가 있습니다
거기 가보셔요
2020.12.06
ㄴ감사합니다~
2020.12.06
저도 전충인데 이번에 spk 한 곳 합격했습니다.
이제 갓 합격해서 아직 입학도 안했는데 이런글이 좀 건방진건 아닌가 생각도 들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하는 마음에 적어봅니다.
학점 3.97/4.3 4.15/4.5 (석차는 잘 모르겠네요 최소 5/80 안쪽예상)
영어 토익 890
연구실 경험 X, 이외 다른 스펙 X
영어는 토익 800정도 넘기면 그다지 큰 요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공과 관련된)수상실적이나 학부생 연구참여 등은 당연히 많을수록 좋겠지만 전 하나도 없이 합격한 것을 보니 필수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연구실 경험을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입장이고 입시뿐아니라 여러모로 도움이 될테니 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무슨 과를 희망하는 지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제 생각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점과 전공면접인 것 같습니다. 학점관리 반드시 잘 하시고 전공 수업 복습과 교재 정독하시면서 정직하고 우직하게 공부하시길 추천합니다. 본인이 어떠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못했는지 잘 구분하시고 교재 연습문제 풀 때 스스로 충분히 풀 수 있는지 점검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저는 전공 수업들을 때 솔루션 힐끔거리며 충분히 저만의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고민하지 않았었는데 4학년 때 면접준비하면서 고생 많이 했습니다. 과목 이수 당시에는 요령껏 암기식으로 시험만 잘봐서 학점은 A+이었지만 다시 교재를 정독하며 복습하다보니 내가 정말 쉬운 개념조차 잘 모르고 있었구나하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정말 나를 보장해주는 것은 내 표면에 드러나는 어떤게 아니라 순수 내 실력뿐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지거국에서도 노력하면 충분히 spk갈 수 있으니 희망을 가지시고 열심히 준비하셔서 원하는 연구실에 가셨으면 좋겠네요. 물론 가서 어떻게 하는지가 더 문제겠지만요. 좋은 연구 많이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0.12.06
ㄴ 정성이 담긴글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여쭈어 보고싶고 배우고 싶은것이 많은데 혹시 오픈카카오톡 가능할까요???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5
2020.12.06
2020.12.06
2020.12.06
2020.12.06
2020.12.06
2020.12.06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