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연구생~석사생이 과제계획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나요?

2019.09.04

10

5371

저는 학부연구생 1년차인데, 1학기 조금 지나고 나서부터 제가 원래 연구하던 분야가 아닌 새로운 분야에서 10장 이상 되는 과제계획서를  작성해오라고 하셔서 좀 당황스러워서요. 마감도 몇 주 남지 않은 과제입니다ㅜㅜ

그런데 연구실 선배들(신생+소규모 랩이라 석사 2~3학기 분들만 조금 계십니다)에게는 서른장짜리 과제계획서 작성해오라고 하신 걸 자주 봐서... 다른 연구실들도 이런 경우가 많나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가 하고 싶어서 연구실에 들어온 건데, 행정사무적인 업무에 투입하는 시간이 연구에 투입하는 시간보다 많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19.09.04

이제 시작이야~ (님 같은 마음으로 시작했다가 해탈해버린 자)

2019.09.04

그래도 과제계획서는 연구에 걸쳐있기라도 하지 ㅋㅋㅋㅋ

2019.09.04

과제계획서도 연구의 일부긴 합니다. 물론 시키는 교수님들은 그런 이유보단 그냥 자기가 쓰기 귀찮아서 or 능력이 안 돼서 시키는 거겠지만.
Victor Hugo*

2019.09.05

행정사무를 교수가 하는게 랩에 이익일지 학부연구생이 하는게 이익일지 생각해보면 당연한거

2019.09.05

ㄴ들어본 최고의 쌉소리네ㅋㅋㅋㅋㅋ
랩의 이익? 교수 개인의 (테뉴어를 위한) 이익이겠지ㅋㅋㅋㅋ 랩이라고 포장하지 마라 극혐이네
진짜 랩의 이익을 위한다면 과제기획서를 아무것도 모르는 석사가 써서 과제 떨어지기보단 교수가 과제 잘 따와서 그걸로 인건비도 주고 실험도 하는게 100배 낫지
Victor Hugo*

2019.09.05

상식적으로 누구 시간이 더 가치가 있는지는 뻔한거 아님?

교수는 연구비따러 네트워킹하고 논문지도를 해야지 교수가 행정잡무를 직접 하느라 시간쓰고 있으면 그건 뻘짓중의 개뻘짓이지

2019.09.05

연구비가 네트워킹'만'으로 따짐? 그건 대한민국 rnd 체계에 문제있는것 아닌가?? 연구자라면 당연히 과제기획으로 자기 연구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어필하고 과제를 따야지? 그래야 연구비로 랩을 돌리지? 그런데 그 중요한걸 석사 학위생도 아니고 과정생한테 시킨다고? 그래서 과제 못따면 나(교수)는 네트워킹 열심히 해놨는데 우리 학생이 덜떨어져서 못땄다. 역시 학생의 시간은 덜 가치있다 뭐 이런거임?
Werner Heisenberg*

2019.09.05

ㄴ 보통 학생이 초안 써오면 교수가 그럴듯 한 제안서로 변신 시킵니다.... 처음부터 혼자 다 하는것 보다 누가 (저퀄이라도) 써온 초안을 기반으로 작업하는게 교수 입장에선 훨씬 편하니까 학생들 시켜요....
랩 입장에선 교수가 high-level에서 고민하고, 학생들은 low-level에서 고민할 때 가장 효율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019.09.05

과제 계획서는 교수가 쓰는 게 맞음.
그게 교수가 할 일이니까.
Victor Hugo*

2019.09.05

교수보다 학생이 생산성이 훨 낮다는건 당연한 이야기
교수는 짬밥이 10년이상 더 높고 애초에 티어가 다름
그리고 대형과제에 들어가려면 교수 네트워킹이 90프로임
혼자서 연구비따고 실적 낼 수 있으면 혼자 하면 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