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그렇게 생각함. 노벨상이 아니어도 훌륭한 사람들 많은데, 마치 노벨상을 절대적인 척도인마냥 생각하는 경향이 좀 있는거같음.
2021.02.02
이래서 노벨상이 안나오는거지 ㅋㅋ
2021.02.02
공대쪽 보면 마땅한 상이 없어서 그렇지 위인급 학자분 많음. 당장 이렇게 인터넷 쓰는 것도 누구 덕분인데
2021.02.02
글이나 댓글이나 ㅋㅋ
신포도 이야기 같네 ㅋㅋㅋㅋㅋ
Joshua Harold Burn*
2021.02.02
John Cornforth 이거 읽고 신포도 생각하는 니 머가리가 레전드.
Gabriele D'Annunzio*
2021.02.02
한국인들은 기존에 만들어놓은걸 배껴쓰는걸 잘함
노벨상은 그렇지 않으니깐 하나도 없는거지
Antoine Henri Becquerel*
2021.02.02
윗댓) 인터넷은 사실 CERN의 입자물리학자가 처음으로 만듦
2021.02.03
과학을 시작한지 겨우 반세기 넘은 나라에서 노벨상 나오는게 말이 안 됨. 지금까지 과학에서 노벨상 받은 나라들은 다 과학에서 100-200년 넘는 역사가 있는 나라들임. 우리나라가 지금 축구월드컵 우승할 가능성이 없는 거랑 같음. 지금까지 월드컵 우승한 나라들 보면 다 월드컵 참가 역사만 100년 넘는 나라들이고 우리는 엘리트 축구라고 할수 있는 역사를 생각하면 고작해야 6-70년 수준인데 우승하면 기적이지... 노벨상도 비슷한 상황이라 생각함. 몇십년 후면 몰라도 자금은 받으면 기적
Joshua Harold Burn*
2021.02.03
Antoine Henri Becquerel // 그 당시는 학분 분야가 세분화 되기 전이고. 그거 가지고 기초과학 중요성 역설하면 니 수준만 인증하는 것임.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2
2021.02.03
2021.02.03
2021.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