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고대 학석박 학계

2019.11.08

12

5957

연고대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곧 졸업 예정자입니다. 연구가 재밌고 포닥도 해외로 갔다오고자 하는데 정출연이나 인서울 교수 임용시장에서 네임 벨류 때문에 불이익을 받으련지요? 실적은 자신이 있는데 누구는 학부가 연고대라서 대학원은 상관 없다고 하고 누구는 spk 만 처준다고하고.. 연고대 학석박 졸업생 선배님들의 후기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Lawrence Bragg*

2019.11.08

당연히 불이익을 받습니다

2019.11.08

그럼 인서울 대학 교수는 엄청 어려운가요? 저희 과에서는 그래도 일년에 몇명씩은 임용 되는 것 같기는 하던데 그게 엄청 특별한 경우인건지..
Henry James*

2019.11.08

설>카연고 이렇게임 설대미만똑같

2019.11.08

설포카와 연고는 점수차등은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은요.
Lawrence Bragg*

2019.11.08

연대학부나와 임용되는 경우는 거진 대부분 명문대 해박이죠
물론 본인 실적이 남들 2-3배 수준이라면 가능
Mortimer J. Adler*

2019.11.08

기본적으로 해박이 유리하기는 하나, 최근 임용 추세를 보면 학과에 따라 다릅니다.

2019.11.08

실적임

2019.11.08

박사학교의 네임밸류는 당연히 해외박사나 spk에 밀리겠으나, 기본적으로 왠만한 대학들에서 해당대학 이상의 '학부' 출신을 선호합니다. 예를 들어 지거국 출신의 spk 박사는 굉장히 많지만 서울 중위권 위쪽으로만 봐도 지거국 학부 출신은 보기 드뭅니다. 자대 출신은 물론 더 큰 메리트구요. 이런 점에서 yk학부는 큰 메리트가 될 수 있습니다. 포닥을 해외로 다녀오시고, 거기서 실적을 잘 내시면 서울 상위권 대학에도 임용되실 수 있습니다.

2019.11.09

정출연은 출신학벌이 꽤 다양해서 본인학벌이 특별히 손해나는 스펙은 아닐겁니다. 대신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그 원에서 정확히 원하는 연구분야가 아니면 못뽑힌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학계는 정출연보다는 학벌(학부학벌)을 더 따지는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압도적 실적+미국기관에서의 포닥경험으로 이를 극복하고 임용된 사례가 아주 많습니다.
Sven Gustaf Wingqvist*

2019.11.09

연고대 학부 졸업생 정도 되면, spk 와 거의 동급입니다. 제가 현재 정출연에 근무하고 있는데, 동료 과학자 중에 연고대에서 모두 학사,석사,박사를 한 분 많이 있습니다.
Joseph Henry*

2019.11.10

댓글보면 답이 나오죠? 과바과 사바사

2019.11.10

ㄴ 윗댓글 말이 맞음. 설포카 빼고 연고 한 성서 휴먼바이 휴먼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