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cademic writing 능력을 키우는 방법

Baruch Spinoza*

2019.11.23

7

4970

안녕하세요.

저는 연구 결과 자체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그 결과를 얼마나 임팩트있게 설명하고 포장하는지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혹시 선배님들께서는 이러한 academic writing(혹은 speaking) 능력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셨나요?

선배님들의 경험 및 노하우를 알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Paul of Aegina*

2019.11.23

많이 쓰고, 많이 까이고, 많이 내고, 많이 고치세요.

2019.11.23

많이 읽으세요..
Baruch Spinoza*

2019.11.23

감사합니다!

2019.11.23

Productive skills (writing and speaking) 은 한국인들이 가장 약한 분야죠. 특히나 언어적 재능이 없는 학생들에게는 발전이 너무 더딘 영역이기도 합니다. 저역시 천부적인 언어적 재능을 타고 나서 영어에 늘 자신 없었구요, 석사때 논문을 제출하면 늘 영어를 손봐야 된다는 지적을 reviewer 들로부터 받았었습니다. 저만큼 영어를 위해 별짓을 다해 본 사람도 드물겁니다.
꾸준한 self-study로 training? 저 나름 성실하고 의지가 강한 편이라 스터디 그룹 같은거 만들어서 주말마다 공부도 해보았지만, 수준이 거기서 거기인 학생들끼리 모여서 무슨 생산적인 영어 스터디가 되나요. 시간과 돈 많이 투자 했으나 사실 남는거 크게 없었습니다. 스터디 멤버중에 중고등학교 영어 선생님도 계셨으나, 이 분들이 틀린 문법은 기가막히게 잘 찾고 하여도 영어적 뉘앙스가 나는 문장을 만들고 표현하는데도 어느정도 한계가 있었죠. 학원도 많이 다녔습니다. 해커스, 이익훈, 플랜티 등등 하지만, 조금 나아지거나 제자리 걸음 수준이죠.
하다하다 안되서 돈 많이 내고 1:1 영어 스피킹 (발음 교정 표함) 훈련을 받았었구요. 적은 시간이지만 한국식 발음을 고치는데는 효과는 있었습니다. (전화영어는 비추입니다. ) 결국 다니던 회사 때려치고 영국으로 어학연수를 갔구요, 거기가서 스피킹 실력이 조금더 나아졌습니다. 지금은 모 유명 대학에서 해외박사중인데요, 여기서 생활하다보니 종국에는 라이팅과 스피킹이 편해졌습니다. 그것도 3~4년이 걸려서야. 영어습득 능력은 재능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결과적으로 왕도라면, 어학연수와 1:1 원어민 수준의 선생님과 영어수업 정도네요.
Ulisse Aldrovandi

IF : 1

2019.11.23

많이 해보라는건 너무 진부하고..
문법적 표현 같은 외적 쓰기에 관해서는 "내가 이 상황만 주어졌을 때 이렇게 표현할 수 있을까?" 를 다른 논문을 읽을 때 항상 생각해보고, 자주 쓰일 법한 내용들(간단한 예로 respectively, in terms of 등)은 아예 따로 메모장을 만들어 기록해놓고 계속 가지고 다니며 외워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내용적 측면, 전개에 관해서는 가끔씩 본인이 '이건 정말 잘 썼다'라고 감탄한 논문들을 따로 모아 일종의 '역공학'을 하는 시간을 마련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논문 전체에서부터 추상적인 구조로, 뼈대로 다시 정리해나가면서 어떤 생각으로 전개해나갔는지를 추리해보는 것이죠.

사람마다 성격이 달라 생각이 너무 많아 완벽한 논리를 전개하느라 논문을 진전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산발적으로 자기가 한 내용 전부를 생각없이 나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본인 분야의 대가 논문들을 보며 어떤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고 어떤 부분들에 집중하는지에 대해 면밀히 본인이라면 어떻게 썼을지 대조해보아야 합니다. 가끔씩 내 분야에서 주제와 결론이 뻔히 보이는 논문은 초록만 읽고 나라면 어떻게 썼을 지 대강이라도 생각해본 뒤에 역공학 훈련을 합니다.
Alexander Pushkin*

2019.11.23

테크니컬 라이팅은 영어 fluency랑 크게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표현도 단어도 대부분 정해져 있는 만큼 최대한 concise하고 논리적으로 잘 전달되게 쓰시면 됩니다.

참고로 같이 일하던 미국애보다 제가 논문은 더 잘 썼었습니다.
Baruch Spinoza*

2019.11.24

답변해주신 모든 선배님들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