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출연에서 학연과정(석사과정)으로 있는 석사 1학기차 학생입니다.
정출연이라 일이 많은건 이해합니다..
몸이 힘든건 언제든 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매일 야근에 주말도 쉬지 않고 출근합니다.
그런데 제 지도박사님이 실험적인 면에서는 화를 내지 않으시는데 본인이 기분 나쁜 일이 있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담아 뒀다가 한꺼번에 말씀을 하시는 편입니다. 처음에는 제가 잘못한건가 고민도 해봤는데 정말 별 것도 아닌 일로 혼내시니까 억울한 마음이 들더라구요 (예를 들면 뭐해야할지 물어보지 않는다. 등과 같은 이유입니다)
저희 실험실 사람들도 다 저랑 같은 생각을 하고 계시던데.. 계속 버틸 수 있을까요?
논문은 많이 쓰십니다. 학생들을 주저자로 논문도 써주시고요.. 졸업하면 주저자, 공저자 논문 10편정도 됩니다. 그런데 그만큼 취업을 잘 하는건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른 대학원을 알아 보는게 맞을까요..
스트레스를 받으면서도 참고 견디는게 맞을까요
다른 대학원가도 저런 사람 없다는 보장도 없고..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도와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5.18
논문 10개나 박아주는데 취업이 잘안되면 약간 신기하네. 저 실적이면 오히려 박사진학때 뽕뽑고도 남을거같긴한데.( 물론 국내 허접저널 아니겠지)
대댓글 1개
2021.05.19
국내 허접 저널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도 아닙니다...
논문 10개 받아먹고 취업하는게 맞을지 ㅜ
저두 얼마나 잘 취업한다는 보장도 없고.. 2년동안 박사님 이상한 성격 맞춰가면서 논문 얻어내야하나 생각도 들구요...
2021.05.18
분야에 따라 박사과정 4~5년 하면 주저자만이 아닌 공저자 포함 10개면 그냥 평범한 경우도 있으니 분야가 어디냐의 문제도 큼. 취업도 마찬가지로 분야가 어디냐도 중요함. 그리고 들어오는 학생들 인풋도 중요함. 박사 때 어떻게 했느냐만 보는게 아니라 그 전 학부까지 그 사람 전부를 보고 뽑아서.
이미 시작했으면 석사 2년은 금방 가니 못 버티겠는 것 아니면 그냥 졸업하고 그 이후를 고민하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지금 나오면 또 랩 다시 알아보고 하면 1년 날릴 수도 있으니.
대댓글 1개
2021.05.19
저는 면역전공이고 들어오는 인풋 학생들 중 저보다 나은 학교, 성적은 없습니다. 그래서 더 고민이 됐어요. 그거때문에 취업을 잘 못하시는건지 생각도 했습니다...
5년넘게 학생들 지도 하셨는데 정출연으로 취업 한분 하시고 나머지는 벤처기업으로 취업하셨어요
다 똑같이 논문이 10편 넘을텐데 말이죠...
다정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05.18
베스트는 일하시면서 다른 연구실 같이 알아보고 이직할 곳 정해지면 나가는거죠. 석사는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면 자퇴하고 다른 곳 알아봐도 되시구요. 도의 같은걸 따지시지 않는다면 거기서 얻을거 얻고 실적만 쌓은 후에 옮기거나 자퇴하는게 이득이긴하죠.
대댓글 2개
다정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05.18
하지만 양심이 있으시다면 자퇴하겠다고 미리 말하고 구직이나 다른 연구실 변경을 하구요. 저는 후자로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데 교수님 인품 안좋은걸로 유명했는데도 그렇게 큰 패널티가 있지는 않았습니다.
2021.05.19
자퇴하는게 우선 맞는지도 고민이 되구요..
자퇴를 할거면 말씀을 드릴 예정이에요
더 좋은 랩실에서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도 듭니다ㅠㅠ
2021.05.18
대댓글 1개
2021.05.19
2021.05.18
대댓글 1개
2021.05.19
2021.05.18
대댓글 2개
2021.05.18
2021.05.19
2024.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