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을 고르는데 있어 h-index와 인용횟수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사진첨부)

2021.06.19

14

4591

비슷한 분야이고, 두 연구실 모두 하고싶은 연구를 하는 곳이어서 선택을 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h- index 그리고 연도별 인용횟수를 따지면 되는 걸까요?
최근의 논문 발표 개수도 많을수록 좋은 걸까요?

또한 연도별 인용횟수가 그 연구실의 미래나 현재의 수준을 나타 낼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걸까요?
(예를들면 위의 연구실은 지는 별이고, 아래 연구실은 뜨는 별이고..)

가장 원하던 연구실 T/O문제로 인해 컨택 실패하고 이후 연구실 정하기가 너무 어렵네요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자상한 비트겐슈타인*

2021.06.19

H index는 연차가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올라가는거기 때문에 h index가 비슷하다면 연구실이 몇년차인지 보시면 좋습니다.

연도별 인용횟수가 수준을 나타내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수준이 낮아서 인용이 낮을수도 있겠죠 하지만 세부연구주제가 유망한 주제라서 그런거일수도 있고 리뷰페이퍼를 쓰면 인용지수가 확 올라가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최근 논문 발표 횟수는 꼭 보셔야됩니다. 교수님께서 테뉴어 마치고 퍼지시는 모습을 많이 본적 있습니다. 현재 연구실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6.19

최근 논문 발표 횟수가 많을수록 좋은거겠죠?
확실히 테뉴어 이후 논문 횟수가 반으로 줄긴했네요...
깜찍한 닐스 보어*

2021.06.19

H인덱스나 인용횟수 별 차이 안나면 의미없습니다. 수치에 의존하지 말고 랩에서 나오는 논문을 직접 읽고 정성평가하세요.

대댓글 2개

2021.06.19

논문에 대한 정성평가를 하기엔 학부 수준으로 논문을 이해하는데 한계도 있고 해서요ㅠㅠ
판단 기준을 IF, H index 등의 수치로밖에 할 수 없는 것 같아요...
깜찍한 닐스 보어*

2021.06.20

아무리 학부수준이어도 대학원 가려면 그정도의 판단은 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ㅎㅎ

2021.06.19

그래프로만 보면 아래가 그래도 나아 보임. 그런데 논문 읽어보면 다를 수도 있음.

가끔 학생들이 너무 논문 수나 IF 에 집착하는데, 더 중요한건 논문 인트로 부터 결론까지 이어지는 스토리 라인, 실험방법 그리고 데이터 분석이 어떻게 진행되었느냐 임...

대댓글 1개

2021.06.19

사실 K여서 어느정도 보장은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위 대댓과 마찬가지로
스토리라인, 방법 등을 평가하기엔 제가 너무 부족해서요ㅠㅠ

2021.06.19

그래프 스케일이..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06.19

저거 구글스칼라에서 본거일텐데
대부분 교수가 논문 자동업로드 설정해놔서 이니셜같은 사람 논문 죄다 올라옴.
따라서 저 목록에 있는 논문 중 실제 본인 논문은 절반도 안될거임

대댓글 2개

2021.06.19

그럴까요? 이니셜 말고 이름으로 검색해서 찾은 겁니다!
소속도 나와있구요!
대담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06.19

네 그거 말씀드리는 겁니다.
Kildong Hong
Yonsei University
99%의 교수들 타인논문 포함되어있습니다.
제 지도교수도 Hindex 40몇 나오지만 실제로 계산해보면 25정도구요.
한국 교수중에 Hindex 30넘는사람 거의 없습니다.

2021.06.19

논문들이 제대로 등록됐다는 가정에 무조건 아래. 윗 분은 이제 슬슬 은퇴각 잡는 분인 것 같은데

대댓글 2개

2021.06.19

아랫분은 부교수님이시긴 한테 윗분도 14년도 정교수 되신 분이라 아직 은퇴각은 아니지 않을까요...?

2021.06.19

10년 이상 정년 남은분이 인용이 저렇게 떨어지는 경우는 별로없어요. 테뉴어받아서 연구를 많이 놓는 경우가 아니면. 최근 5년내에 테뉴어받으신분인가요? 테뉴어받고도 계속 퍼포먼스 유지하는 교수도 있고 바로 연구 놓는 교수도 있어요. 후자면 가면안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