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58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8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40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20 - 뭔 디시에서도 안나오는 헛소리를 정신스럽게 싸질렀냐?
논문 못쓰는게 교수가 안가르쳐줘서 못쓰는거라는게 말이야 방구야?
왜 아주그냥 학원 없어서 선행학습 못해서 논문 못쓴다고 하지 그러냐
이 모든 건 스스로 하지 않는 대학원생의 남탓일 뿐이다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20 - 허수아비 때리기 고만
너가 논박한 말 중에 어떤 말도 내가 한 말은 없어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8 - 여기는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교수가 높아 보일거야.
더 나은 위치는 너무 너무 많아.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7 - 조선이 나라망할때까지 노벨상을 못받는 이유
1. 정부 지자체가 이미 입증된 연구만 밀어줌
2. 새롭거나 참신한 의견은 비웃음/배척받는 민족문화
3. 똑똑한 놈들은 모두 의치한or해외로
4. 이공계 자연계 천시문화. 창업할래도 이미 대기업이 다 털어먹을 준비가 되어있는 사회.
5. 어릴때부터 주입식교육하는 문화
수백개더있는데..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3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8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8 - 가르쳐야 되는 사람이
본인은 교육에 대한 논문을 안읽고
원생들에게는 연구 논문을 읽으라 하는데
어떤 변명이 필요한지 모르겠음.
너무 당연해서 당연한거지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9 - 맞는 말을 해서 우르르 긁혔나봄ㅋㅋ
가르치는 스킬이 별로인 교수는 준비와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걸 ’교수는 연구자인데 왜?’라며 책임전가 하는거고 ㅋㅋㅋ 연구만 할거면 연구만 하는 포지션으로 가야지. 같은 교수여도 교육 방식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에는 간극이 존재함.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7
지방 국립대 경제학과
2021.07.09

현재 청년인턴과 공기업준비를 병행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인턴과 취업 공부를 하면서 한 가지 고민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아 이렇게 고민의 글을 남깁니다.
지방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문과생이 직면한 사회적 현실의 벽이 많이 높음을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나만의 기술과 노하루를 축적하고 그것을 통하여 경쟁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고,고민의 결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에 퀀트응용경제학과를 알게되었습니다. 그런데, 학과 소개에 재직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이라고 소개되어있고, 수업또한 금,토에만 있습니다.
이제 제가 가진 2가지 고민이 있는데 선생님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1. 제가 만약 취업을 미루고 대학원을 진학한다고 가정했을 때 퀀트응용경제학과를 통해 석사 취득 후 제가 사회에서 경쟁력을 취득할 수 있을까요?
2. 우선, 공기업을 먼저 취득 후 퀀트응용경제학과를 병행하여 더 큰 미래를 그리는 것이 좋을까요?
뜨겁게 살아온적이 없고, 그저 흘러가는대로 살아오다보니 나이도 20대 후반이고, 경력도 실력도 없는 현재 상황에 답답해 글을 남깁니다
방향성을 알려주셔도 좋고, 비난도 좋고, 비판도 좋습니다. 어떤 의견이라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440 70 52574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47 82 226144-
136 36 10760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2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9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1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1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6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8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4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0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1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9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6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5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6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7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12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14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1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1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2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9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1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1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6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8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4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0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9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6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5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6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7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12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14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1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16
2021.07.09
대댓글 1개
2021.07.09
2021.07.09
2021.07.09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