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AAI 학회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021.10.15

7

9054

탑티어 vs 세컨티어 vs 탑티어는 아니지만 다른 확실한 세컨 티어들 학회에 억셉되는 것 보단 낫다.

저는 3번째라 생각하고 준 탑티어라 보는데 (1.5 티어)
그냥 아에 세컨티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여러분의 의견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슬기로운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10.15

새 논문을 바로 내기에는 아깝고, 리서밋할때 cvpr/iclr 내서 잘 될 자신 없으면 내는 곳
즐거운 피보나치*

2021.10.15

분야가 무지막지하게 넓어서 특정 분야는 세컨티어로 취급할수 있는데 걍 넓게 AI/DM 분야에서 탑티어지...

2021.10.15

비전, 자연어 같이 본진의 탑학회(cvpr or acl)가 있으면 1.5내지 세컨… 그런 분야가 아니면 탑 입니다.

대댓글 1개

2021.10.16

비전하는 사람인데 이게 딱 맞는듯. 굳이 본인이 생각해도 좋으면, AAAI 안내긴함. 분야가 너무 빠르게 변하니깐, 여름 쯤 완성된 연구를 ECCV, ICCV 까진 못기다리겠고, CVPR 내기에 좀 불안한 사람들이 내는 곳인듯. 그래서 결론은 비전에선 1.5 티어

2021.10.20

나는 탑티어라고 생각함. (남들 논문 읽을땐)

근데 닙스하고 둘중 고르라고 하면 무조건 닙스 고름

닙스, iclr, icml 딱히 취사선택 안해도 될거같은데 aaai랑은 안바꾸고싶음.

근데 aaai무시당하는건 싫음. 내가 갖긴그렇고 남주긴아까운 그런 학회... 한 1.15 티어라고 하자

2021.10.29

그냥 논문 주제와 잘 맞는 학회 고르시면 됨. 그치만 대부분 한국에서 연구하시는 교수님들 및 그 밑 학생들분 너무 갖혀 있지마십시요. 미국 학계 학회 중에선 icml, iclr, aaai가 탑티어로 인정되지만, 유럽파벌 학계에는 또 다른 탑티어 학회/저널이 있는데 아예 미국쪽만 바라보시는 분들이 대다수인게 바로 한국인 것 같음. 과거 탑티어들이 현재 나락간 저널/학회도 많고 지금 icml, iclr, aaai도 AI쪽이 완전 자리 잡다보면 저널 강세가 나타날지도 가능성도 있지요. 그리고 살짝 건드려서 잠깐 동안 유지되는 SOTA 만들거나 새로운 분야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얕은 연구가 미국 학계 (실적주의가 만연하다보니..)에서 최근에 너무 넘쳐나고, 유럽쪽은 나랏돈(얼마 안되지만..)만 받고 연구하시는분들이라 진심이 아니면 교수안되려고 하고 novel technique쪽에 큰 집중을 하는게 큰 차이가 있어요. 그덕에 자기 자신만 개발할 수 있는 기술들이 나오고, 속도 싸움도 필요없게되서 (유럽계) cs 탑저널 > cs 탑학회 > cs 상위권저널 라인이 생겨있음.. AI를 제외한 일반 cs분야처럼 말이죠..

대댓글 1개

2021.10.29

몇 년 전까진 미국AI학회를 찬양해왔다가, 유럽쪽 AI학회를 참여해보고 생겨난 개인적인 견해이니 참고만 하십시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