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 4년제 대학 생명과학과 재학 중인 2학년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며칠 전 경선으로 인해서 많은 20/30대 분들이 좌절하셨었죠.
저도 이번 경선을 보면서 진지하게 한국을 떠나야 할 시기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드리는 질문인데 나중에 경력을 다 갖춘 후에
해외 연구기관에서 저를 스카웃해가게 만드는 방법은 없고
제가 면접 등을 거쳐서 해당 기관에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1.08
그나마 제일 쉽고 빠른건 해외석사따고 취업하는거죠
2021.11.08
잡구하는거면 비자문제가 중요하겠죠.
그리고 웬만해서는 정치얘기까지 여기까지는 끌고오지는 맙시다 ^^
2021.11.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을 떠나보면 한국이 살기 좋은 나라다는걸 빼져리게 느낌..
2021.11.08
주변에서 봐온결과 이런 도피성 이민은 성공확률도 낮지만 운좋게 성공해도 좋게 끝나는걸 못봄
넉살좋은 안톤 체호프*
2021.11.08
해외 연구기관이 스카웃 하려면 뭐 세계적 스타 정도 되야하나 회사가 스카웃 하는거는 링크드인만 잘 꾸며놔도 해드헌터/리쿠르터들이 지겹도록 연락함. 그런데 문제는 비자가 걸림. 특히 미국은 이게 참 골치임. 그나마 IT쪽은 기업들이 로비로 어느정도 끌어 가고 있는데 다른 분야는...
2021.11.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과 한국이 다른점
미국과 한국은 학/석/박 연봉이 다름
미국인은 학부중심 사회라 출신학부에 따라 계약 연봉이 다르고
학/석/박/연봉 차이가 별로없어 학부졸후 대부분 취업하고, 교수직이나 로스쿨, 의치전문대학원가는사람들 외엔 거의 없음
교수도 한국보다 하기 쉽고 한국대비 대접도 못받음
석/박졸하고 기업에 취업하면 같이 학부 졸업하고 취업한 사람이 연봉이 더 많고 몇계단 올라가 상사로 와 있음
석박사 유학오는 외국인들이 대부분 대학원 간다고 보면 됨
미국서 석박하고 현지취업하면 자기나라에서 받는 연봉보단 많으니 다른 디메리트(향수병, 생활권, 인종차별, 주류계층 진입벽 등)를 감수하고 취업을 위한 유학도 많다고 함
석사유학은 자비로 이루어지고 박사도 공짜는 아니고 조교일에 대한 댓가성 임금임
미국인은 석박같은 경우 회사에서 보내주는 파트 타임이 대부분으로 연구기간과 투자비용에 대한 기회 창출
2021.11.08
2021.11.08
2021.11.08
2021.11.08
2021.11.08
2021.11.08
20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