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업에서 정출연 혹은 교수직

2021.11.10

18

4076

대기업에서 근무하다가 정출연 혹은 교수직으로 빠지려면 기업 근무 중에 따로 논문 쓰면서 조건 맞춰야하나요??
+ 기업 근무 중 따로 논문 작성이 가능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비관적인 아인슈타인*

2021.11.10

그런 식으로 교수 되신분들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많이 바쁘실 겁니다.

대댓글 3개

2021.11.10

국내 교수 되려면 논문 양도 많아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기업 다니면서 따로 논문을 쓸 수가 있나요??
비관적인 아인슈타인*

2021.11.10

들은 조언을 그대로 전한다면...
잠을 줄이셔야 합니다.

잠도 줄이고 여가 시간도 줄이고.. 시간 만드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2021.11.10

쉽지 않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1.11.10

회사 바이 회사인데 가능함. 연구조직인 경우 엄청 장려함. 우리같은 경우는 전략 학회 정해놓고 임원 mbo에도 팀에서 논문 몇개 이상 항목도 있는데... 근데 저널은 아니고 거의 컨퍼 위주임. 근데 내가 전략 학회 아닌데 내고 싶다고 하면 안좋아하는 경우도 많음...

대댓글 4개

2021.11.10

그렇군요... 컨퍼 위주라면 결국 저널은 개인적으로 연구해서 내야겠네요 ㅠㅠ

2021.11.10

근데 저널이든 뭐든 쓰려면 결국 회사 자원으로 프로젝트는 뭐든 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쓸 수 있는 구조가 아님... 회사 툴이든 뭐든 이용해서 쓴거라면 회사 동의하에 써야함. 만약 전혀 회사 도움 안받고 근무 시간아니고 주말에 짬짬히 쓴거라도 회사 소속이라 회사에 확인은 한번 확인하고 제출해야함. 완전 리서치 그룹( 종기원)이런데선 저널도 많이 내는 걸로 알지만... 부서 배정은 운이니

2021.11.10

쉽지가 않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1.11.10

S리서치의 경우 최우수, 우수 학회를 정해 놓고 MBO점수에도 있는데 그 점수 비중이 매우 미미하고 실제 높은 분 (전략팀장님이나 고참분들은)은 장려를 하지 않는 분위기여서, 사실 장려와는 거리가 멉니다..저널을 회사에서 쓰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개 컨퍼런스이죠

IF : 2

2021.11.10

일부 회사는 논문 장려한다고 하지만 거의 없다고 봐야됨
현실적으로 봤을 때, 회사 갈거면 논문 투고 몇 개 마치고 간 뒤 리비전 정도 가능할듯...

회사에서 논문 쓸 수 있었으면, 정출연이나 대학 노리는 분들 대다수가 포닥 생활 안하고 취업 했겠죠.

대댓글 1개

2021.11.10

그렇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1.11.10

삼전 다니다가 교수로 오신 분 있던데 삼전에 있을때도 계속 논문 내셨더라구요.

2021.11.10

역시 쉽지가 않은 길이군요...
청승맞은 피타고라스*

2021.11.10

회사에서 업무로 논문쓰게 해주면 다들 논문 들고 교수직으로 튈텐데 당연히 그런걸 바라는 회사는 없겠죠

2021.11.10

쓸수야 있겠지만 경쟁력 없음.
하루종일 논문을 쓰기 위한 연구를 하는 포닥이랑
회사일 다 하고 눈치보며 저녁, 주말에 연구해서 논문 쓰는 회사원이랑
논문 질/양에서 비교가 안됨.
회사에서 논문써서 학교 옮기신 분들은 포닥갔으면 더 좋은 학교 가셨을듯.

대댓글 1개

2021.11.10

이게 맞음. 겪어봐서 알텐데요.
풀타임 박사가 논문 잘 써요 파트타임 박사가 논문 잘써요? 물론 극소수의 능력있고 상황이 잘 맞고 엄청나게 시간을 갈아넣은 파트박사 분들은 논문 잘 쓰시지요. 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지요. 회사는 돈을 많이 주면서 필요한 일을 시킬꺼고 논문쓰기가 가능한 회사는 있지만 포닥처럼 풀타임으로 논문을 위한 연구하라고 뽑아서 돈주는 회사는 없습니다. 다들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싫어서 안잡는게 아니지요.

2021.11.10

ai 쪽은 더 유리, cvpr같은데 보면 microsoft, apple, google의 research group들이 제일많이 냄.
kakao brain도 마찬가지. 이런 대기업 리설치쪽 들어가면 funding 도 많고 resource, data 등이 좋으니 paper quality가 높을수 밖에
근데 임용기준에 논문편수 제한이 있는곳 많으니 quantitative 한 부분은 자기가 챙겨야할듯

2023.09.09

진심 정출연 교수 왜 가요? ㅎㅎㅎㅎ 돈도 일한만큼 못벌고 지방에다가 상후하박 시스템인데 ㅋㅋㅋ요즘 대기업 야근 하는 곳도 드문데..ㅎㅎ 아직도 연구뽕 금방빠져요. 상용화도 안될 의미없는 연구 10년 넘게와서 현타온 사람들이 지금 정출연에서 놀고 먹고 있는 고인물들인데 그 사람들처럼 되고 싶으면 업으로 삼으셔도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