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긴 MRC까지 되서 연구비 꽤나 받음에도 불구하고, MRC 되기전에도 몇억짜리 연구비 지속적으로
받은 곳이었고..
제 케이스 같은 경우
저는 입학 후 1년 80받다가 2년차부터 BK21 무슨 임금지급 오류가나서 일괄지급 420인가 받고
그 다음부터는 3년차까지 2년간 60받고 살았습니다.
4년차부터 재작년까지 100받고 6년차인 작년부터 120씩 받는 중.
사실상 2년간 20만원씩 인상된 셈.
궁금해서 주변 다른학생에게 물어보니 일부 실험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다 똑같은 금액을 지급받고있다는걸 알게됬죠...;;
현재는 어떤지는 모릅니다.
근데 실상을 보니 이게 통합 관리 시스템 같은걸로
제가 잘 이해는 못했는데 산학에서 연구비를 통합관리하면서 어떤때는 가~끔 다른 교수님 연구비로
내 월급이 들어온적도 있는데 암튼 그 시스템을 이용해서 산학에서 학생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데
암튼 저 시스템으로 인해 최소한의 인건비는 정해져있고 맥시멈은 연구실에 따라 케바케로 주는거라고 보는데 맞나요?
근데 현실은 미니멈을 올려야지 맥시멈을 올려야하냐는 질문은 뭔가싶었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모르는 것 같다는 설문조사라고 생각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청승맞은 마리 퀴리*
2021.11.11
전 380 (통합5년차 공대) 받고 있는데 과나 랩마다 차이가 많네요.
대댓글 4개
2021.11.11
혹시 나머지 130 과기원 지원금인가요 아니면 용역과제 비용인가요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공대생들의 경우 일단 대부분은 제 주변 친구나 동생도 그렇고 석사조차도 미니멈 120~140은 받는거같습니다. 자연계와 다르게 기업과 콜라보도 많아서 넉넉한거같은데 바이오쪽은 디게 짭니다
2021.11.12
바이오인데 월 360 받습니다. 과제에서 250 저희 산단은 맥스가 290임), bk로 110. 주변 바이오 랩들도 비슷해요.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이게 좀 보니까 주변랩따라 좀 월급을 지급한다는 느낌이 있네요ㅎㅎ;;
바이오인데 360 디게 부럽습니다... 저희학교는 만약 과제 맥스면 과제만 주거나
BK만 주는 괴상한 곳인데...
IF : 5
2021.11.11
동의. 미니멈을 올리는게 대학원생 복지에 더 크게 기여함.
물론 그마저도 과제 참여학생이 인건비 100% 안받아도 괜찮습니다 하는 각서 쓰면 예외적으로 줄일 수 있음. 우리가 그렇게 해서 과제 오지게 끊겼던 때 최소 이하로 받은 적이 있거든. 이런 각서를 학생이 자발적으로 쓸까? 쓰기 싫다고 안쓸 수 있을까? 아직 한참 멀었다고 봅니다
대댓글 4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저도 그 각서를 받긴받았는데 그래도 미니멈아래로 준적은 단 한번도 없긴하고 연구비자체는 꾸준히 받아오셔서 그런적은 없는데 솔직히 다들 그지같은거 알면서도 쓰는거죠... 일종의 이런 서약서 쓰라는것도 갑질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거의 3년전까지는 매년 썻던거같네요
IF : 5
2021.11.12
당연히 갑질이죠 ㅋㅋ
청승맞은 마리 퀴리*
2021.11.12
P인데 우리는 최저 급여 20~30씩인가 올렸음.. 석사 140 QE보연 160 박사 180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P여서 그런건지 부럽네요..저는 SKP도 아니고 수도권 사립쪽이라 그런가...가끔은 현타 디게 옵니다
2021.11.11
정확히는 (학교에서 정하는) 맥시멈의 (정부에서 정하는) 미니멈이예요. 학교마다 따로 계상률 100%의 기준을 따로 세우는데 그 최저값이 180, 250으로 돼 있어요. 그래서 일부 학교는 그것보다 높기도 해요. 학교에서 정하는 미니멈은 인권센터나 대학원학생회 같은 곳에서 다자간 협의로 정한 가이드라인이 있는데요. 권고사항이라 안 지키는 곳도 많죠. 이건 보통 80, 100 이 정도..
대댓글 3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아, 100% 참여기준 최저가 180/250인거군요...
현실적으로 그렇지가 못한거같은데... 100%가 아니라
1%라도 최저는 얼마를 줘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이 솔직히
제대로 확립됬으면 하네요.. 예전에 BK21정도가 미니멈 석사80 박사100 이렇게 정해져있던걸 본적이 있고 그외에는 정해진 글은 못본거같습니다.
2021.11.12
연구개발법에 의해서 작년초부터 최소 40% 연구과제 의무 지급 "권장"입니다. 안지켰을땐 학교 산단이 경고를 받음.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40%여도 최저 250인걸 단순환산하면 100인 셈이니까 사실상 뭐... 40%로 집어넣고 지급한다는 느낌이네요 그럼..
겁먹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1.11.12
60, 100 받는 거 좀 이상한데. 미니멈이 석사과정 80, 박사과정 120아닌가? 미니멈 안 지키면 회계감사에서 문제되던데.
대댓글 2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당시 BK21로만 월급을 지급받았꼬 정확히 말하면80을 받는게 맞는데, BK21이 되면서
뒤늦게 BK21로 연구비를 지급하면서 밀려있던 BK21 월급을 몰아받았습니다. 그래서 그 금액을 20만원씩 쪼개서
420만원이었으니까 21개월간 80만 받을걸 60만 받고 살았죠. 웃긴데 다른 실험실은 막 BK21 80 + 기존에 연구비주던 80도 받고 그랬는데 우리 학교의 우리 실험실만 그런진 모르겠으나 옆 실험실도 그랬던걸봐선, 이 학교는 그런식으로 줬던것같습니다.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혹은 밀려있던 BK21를 반납하고 계속 80으로 받던가.라는 식으로 얘기를 했었습니다.
뭐 좀 어느쪽이든 지금이나 당시에나 부당하다고 생각했는데 그걸 따질 권리도 힘도 없는 석사생이었을뿐이죠...
지금도 뭐 그런거에 대해 발언할 힘이 없는 실험실이고 시스템인 학교라고 생각합니다만은...
변함은 없네요...
2021.12.02
오.. 석사 80이 맥시멈이 아니라 미니멈이었군요......
난 미니멈이엇군..
2021.12.11
수도권 공대 박사과정. 연구실에 사람은 없는데 연구분야 인기가 많아져서 사정이 좋아진 뒤 100프로 받게됬어요. 최근에 풀링제 도입으로 다른교수님이 연구책임자로있는 과제에 본인이 연구원으로 등록되어있으면 그과제 이름으로 인건비가 지급되는것 같네요.
저는 오히려 예산이 남는데 인건비를 반납하냐며 일안하는 새x한테도 100프로를 채워주는걸 보고 상한선이 더 높아져야한다고 생각했었어요.. 일하는 사람 따로있고 놀면서 벌어가는 사람 따로있다는 생각에 현타왔었음 ㅜㅠ(풀링제 도입 전에는 학생인건비 남으면 무조건 반납이였음)
말씀하시는 설문조사 참여했었는데 하한선이 높아지는게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됬어요
저희과는 확실히 주변 랩에 맞춰 연구비를 책정하는 성향이 있는것 같아요
2021.11.11
대댓글 4개
2021.11.11
2021.11.11
2021.11.12
2021.11.14
2021.11.11
대댓글 4개
2021.11.11
2021.11.12
2021.11.12
2021.11.14
2021.11.11
대댓글 3개
2021.11.11
2021.11.12
2021.11.14
2021.11.12
대댓글 2개
2021.11.14
2021.11.14
2021.12.02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