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얼마전 학위과정생 인건비 설문조사 나왔던게 진짜 어이없던 점.

조용한 노엄 촘스키*

2021.11.11

19

4271

박사가 현재 법적으로(?) 맥시멈 250
석사가 180 인걸로 저도 알고있는데,

문제는 이 설문조사를 읽다보니까
맥시멈기준을 올려야하냐고 보냐?라는 질문들 천지임.

근본적인 문제는 저 250, 180을 못받는 곳도 터무니 없이 많다는 점임.

여긴 MRC까지 되서 연구비 꽤나 받음에도 불구하고, MRC 되기전에도 몇억짜리 연구비 지속적으로
받은 곳이었고..

제 케이스 같은 경우
저는 입학 후 1년 80받다가 2년차부터 BK21 무슨 임금지급 오류가나서 일괄지급 420인가 받고
그 다음부터는 3년차까지 2년간 60받고 살았습니다.
4년차부터 재작년까지 100받고 6년차인 작년부터 120씩 받는 중.
사실상 2년간 20만원씩 인상된 셈.

궁금해서 주변 다른학생에게 물어보니 일부 실험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다 똑같은 금액을 지급받고있다는걸 알게됬죠...;;
현재는 어떤지는 모릅니다.

근데 실상을 보니 이게 통합 관리 시스템 같은걸로
제가 잘 이해는 못했는데 산학에서 연구비를 통합관리하면서 어떤때는 가~끔 다른 교수님 연구비로
내 월급이 들어온적도 있는데 암튼 그 시스템을 이용해서 산학에서 학생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데

암튼 저 시스템으로 인해 최소한의 인건비는 정해져있고 맥시멈은 연구실에 따라 케바케로 주는거라고 보는데 맞나요?

근데 현실은 미니멈을 올려야지 맥시멈을 올려야하냐는 질문은 뭔가싶었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모르는 것 같다는 설문조사라고 생각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청승맞은 마리 퀴리*

2021.11.11

전 380 (통합5년차 공대) 받고 있는데 과나 랩마다 차이가 많네요.

대댓글 4개

2021.11.11

혹시 나머지 130 과기원 지원금인가요 아니면 용역과제 비용인가요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공대생들의 경우 일단 대부분은 제 주변 친구나 동생도 그렇고 석사조차도 미니멈 120~140은 받는거같습니다. 자연계와 다르게 기업과 콜라보도 많아서 넉넉한거같은데 바이오쪽은 디게 짭니다

2021.11.12

바이오인데 월 360 받습니다. 과제에서 250 저희 산단은 맥스가 290임), bk로 110. 주변 바이오 랩들도 비슷해요.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이게 좀 보니까 주변랩따라 좀 월급을 지급한다는 느낌이 있네요ㅎㅎ;;
바이오인데 360 디게 부럽습니다... 저희학교는 만약 과제 맥스면 과제만 주거나
BK만 주는 괴상한 곳인데...

IF : 5

2021.11.11

동의. 미니멈을 올리는게 대학원생 복지에 더 크게 기여함.

물론 그마저도 과제 참여학생이 인건비 100% 안받아도 괜찮습니다 하는 각서 쓰면 예외적으로 줄일 수 있음. 우리가 그렇게 해서 과제 오지게 끊겼던 때 최소 이하로 받은 적이 있거든. 이런 각서를 학생이 자발적으로 쓸까? 쓰기 싫다고 안쓸 수 있을까? 아직 한참 멀었다고 봅니다

대댓글 4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저도 그 각서를 받긴받았는데 그래도 미니멈아래로 준적은 단 한번도 없긴하고 연구비자체는 꾸준히 받아오셔서 그런적은 없는데 솔직히 다들 그지같은거 알면서도 쓰는거죠... 일종의 이런 서약서 쓰라는것도 갑질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거의 3년전까지는 매년 썻던거같네요

IF : 5

2021.11.12

당연히 갑질이죠 ㅋㅋ
청승맞은 마리 퀴리*

2021.11.12

P인데 우리는 최저 급여 20~30씩인가 올렸음.. 석사 140 QE보연 160 박사 180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P여서 그런건지 부럽네요..저는 SKP도 아니고 수도권 사립쪽이라 그런가...가끔은 현타 디게 옵니다

2021.11.11

정확히는 (학교에서 정하는) 맥시멈의 (정부에서 정하는) 미니멈이예요. 학교마다 따로 계상률 100%의 기준을 따로 세우는데 그 최저값이 180, 250으로 돼 있어요. 그래서 일부 학교는 그것보다 높기도 해요. 학교에서 정하는 미니멈은 인권센터나 대학원학생회 같은 곳에서 다자간 협의로 정한 가이드라인이 있는데요. 권고사항이라 안 지키는 곳도 많죠. 이건 보통 80, 100 이 정도..

대댓글 3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1

아, 100% 참여기준 최저가 180/250인거군요...
현실적으로 그렇지가 못한거같은데... 100%가 아니라
1%라도 최저는 얼마를 줘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이 솔직히
제대로 확립됬으면 하네요.. 예전에 BK21정도가 미니멈 석사80 박사100 이렇게 정해져있던걸 본적이 있고 그외에는 정해진 글은 못본거같습니다.

2021.11.12

연구개발법에 의해서 작년초부터 최소 40% 연구과제 의무 지급 "권장"입니다. 안지켰을땐 학교 산단이 경고를 받음.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40%여도 최저 250인걸 단순환산하면 100인 셈이니까 사실상 뭐... 40%로 집어넣고 지급한다는 느낌이네요 그럼..
겁먹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1.11.12

60, 100 받는 거 좀 이상한데. 미니멈이 석사과정 80, 박사과정 120아닌가? 미니멈 안 지키면 회계감사에서 문제되던데.

대댓글 2개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당시 BK21로만 월급을 지급받았꼬 정확히 말하면80을 받는게 맞는데, BK21이 되면서
뒤늦게 BK21로 연구비를 지급하면서 밀려있던 BK21 월급을 몰아받았습니다. 그래서 그 금액을 20만원씩 쪼개서
420만원이었으니까 21개월간 80만 받을걸 60만 받고 살았죠. 웃긴데 다른 실험실은 막 BK21 80 + 기존에 연구비주던 80도 받고 그랬는데 우리 학교의 우리 실험실만 그런진 모르겠으나 옆 실험실도 그랬던걸봐선, 이 학교는 그런식으로 줬던것같습니다.
조용한 노엄 촘스키작성자*

2021.11.14

혹은 밀려있던 BK21를 반납하고 계속 80으로 받던가.라는 식으로 얘기를 했었습니다.
뭐 좀 어느쪽이든 지금이나 당시에나 부당하다고 생각했는데 그걸 따질 권리도 힘도 없는 석사생이었을뿐이죠...
지금도 뭐 그런거에 대해 발언할 힘이 없는 실험실이고 시스템인 학교라고 생각합니다만은...
변함은 없네요...

2021.12.02

오.. 석사 80이 맥시멈이 아니라 미니멈이었군요......
난 미니멈이엇군..

2021.12.11

수도권 공대 박사과정. 연구실에 사람은 없는데 연구분야 인기가 많아져서 사정이 좋아진 뒤 100프로 받게됬어요. 최근에 풀링제 도입으로 다른교수님이 연구책임자로있는 과제에 본인이 연구원으로 등록되어있으면 그과제 이름으로 인건비가 지급되는것 같네요.
저는 오히려 예산이 남는데 인건비를 반납하냐며 일안하는 새x한테도 100프로를 채워주는걸 보고 상한선이 더 높아져야한다고 생각했었어요.. 일하는 사람 따로있고 놀면서 벌어가는 사람 따로있다는 생각에 현타왔었음 ㅜㅠ(풀링제 도입 전에는 학생인건비 남으면 무조건 반납이였음)
말씀하시는 설문조사 참여했었는데 하한선이 높아지는게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됬어요
저희과는 확실히 주변 랩에 맞춰 연구비를 책정하는 성향이 있는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네이버페이 포인트 증정]
📌 김박사넷 2026 대학원 합격후기 이벤트
📌 참여 대상
- 2026학년도 대학원 합격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