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2025.11.21

34

6446

아무리 테뉴어 트랙 이고 뭐고 교수도 같은 교수 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함.

다음이 내가 생각 하는 레벨. (모두 테뉴어/테뉴어 트랙; 한국인 또는 한국인 피가 흐림 전제)

1. 지존급: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교수 --- 상위 0.001프로 (보통 미국 시민권자인 검머외 한국인 교수들임)
2. 신급: 미국 R1 대락 랭크 20위 내 ---상위 0.1프로 (정말 간혹 가다 한국인 출신 있음)
(보통 R1 랭크 20위 내는 미국 각 주의 flagship 대학 + 아이비)



3. 장군급: 미국 R1 대학 랭크 20위 ~ 30위 ---상위 1프로 (보통 이 정도 교수 되도 학회 발표 할 때 학교 이름 구려서
쪽팔일 일은 없음)

4. 부장군급: 한국 SKY + KAIST + 포항공대 교수 : 보통 여기서 교수 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미국에서 상위 랭크 40위 권 댈학 교수는 될수 있음. 한국 에서는 당연히 가장 잘 나가지만, 해외 학회 나가면, 아무리 안 알아줌. 즉, 반쪽 짜리 교수.


5. 나머지 1, 2, 3, 4에 해당 되지 않는 모든 교수 (사실 큰 의미 없음, 그냥 열심히 사는 사람 들, ChatGPT 로 인해서 점점 위상 하락, 그들은 또 그들만의 차별 및 다툼 이 있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5.11.21

혹시 미국 임용 도전해보셨나요? 단순히 한국이랑 비교하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영어도 어느정도 편해야하며, 실적이 많다고 되는것도 아니고(한국은 비교적 실적이 좋으면 임용이 쉽다고 생각해서) 핏 잘 맞춰서 statements 잘쓰고 또 추천서도 '강력한' 걸로 잘받아야합니다.
미국 아이비리그와 타학교랑 구분한것도 이해가 잘안되지만, 여튼 t30은 정말 똑같이 힘들고, t50까지도 쉽지 않습니다.
무슨 학부나 대학원 입시도 아니고 자로 잰것처럼 t20, t30, t40 구분해서 교수임용 실력 구분하는게 참 어이가 없네요.. 뭐 한국이든 미국이든 임용준비 한번도 안해보신 티가 난다고 할까요 아니면 방구석 전문가가 연예인 a급 b급 c급 나누는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대댓글 4개

2025.11.21

뭔 학생도 아니고 교수가 학회가서 20-30위일때 학교이름 쪽팔릴 필요없다는건 더더욱 코미디네요.. ㅎㅎ 뭐 여튼 인생 파이팅입니다.

2025.11.21

추천서로 교수가 되는데 도움이 되는 "학과"가 있고, 아닌 "학과" 도 있습니다.

제가 속한 학과는 추천서를 사실상 그리 중요시 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갖추었다면, 오로지 "논문" 으로 승부를 하는 곳 입니다.
그리고, 논문에서도, "탑저널" 이나 "탑학회" 아니면, CV 한줄 늘어나는 것으로 카운트 하는 곳 입니다.

2025.11.21

그냥 흔한 티어놀이 랭킹놀이 입니다
진짜로 교원이라면 뭐 더는 말 안하겠습니다 정말 한심하네요 한심해요

2025.11.22

무슨 학과인지, 어느정도 학교에 있는 두리뭉실하게라도 밝히시면 되겠죠?
데사/AI/ML쪽에 있는데 거기에 추천서가 의미없다고요? 웃기는 말이죠.
리플리증후군의 치료가 필요해보이긴 합니다.

2025.11.21

솔직히 말해서, 교수들 집단에서 지들 끼리, 암묵적인 레벨을 더 Strict 하게 나눕니다.

예를 들어서, 국제 학회 가면, 미국 R1 대학 에서 랭크20위 안에서 테뉴어 나 테뉴어 트랙 교수는, 한국 교수 들 거들떠도 안 봅니다. 왜냐하면, 학회에서, 다른 동레벨인 국제급에서 연구 하는 교수하고 연구 또 네트워크를 쌓아야지 계속 아웃풋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즉, 한국에서 연구 하면 한국 사람들 끼리 엮이게 되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연구의 레벨도 낮아지게 되는 거를 우려하는 거죠.

하물며, 사실 대부분 교수는 국제 학회에 초청을 받지도 못하고, 초청 을 우째 받았다고 해도, 국내와는 달리 아무도 안 알아줘서, 그냥 상처만 받고, 귀국 합니다.

같은 학과 교수들끼리 밥 먹을 때도 마차가지 입니다.

교수들 간의 레벨은 엄연히 존재 하고, 그 차이는, 학부생과 아이비 박사 학생 간의 차이보다 훨씬 큰, 지구와 안드로메다 은하 차이 라고 보면 됩니다.

대댓글 5개

2025.11.21

라고 소설을 쓰는거죠.
미국 r1 20위권이면 본인제자들이나 본인 예전 랩동료들중 한국에서 교수했던사람 수많이 있습니다. 협업도 많이 하기도 하고요.
국제학회에 초청을 받지못했다는건 뭔소린지 모르겠습니다. 뭐, 커미티로 참석했다는건지, 아니면 invited talk을 말하는건가요? 커미티로 참여하는 분들은 많고, invited talk은 애초에 꽤나 연차가쌓이지않는이상 어느나라에서 교수하든 동일하게 어렵습니다. 돈내고 참석하겠다는데 막겠다는 뜻인가요?
한국인 출신들중 영어가 부족한 사람들은 한국인끼리 많이 다니긴 합니다. 한국인의 밤 이런 행사들도 으레 있고요. 하지만 반대로 미국에서 교수하는사람들 입장에서는 한국교수들과 네트워킹 하기 엄청 좋은 기회입니다.
참고로 저도 uiuc/gatech에서 박사학위받고 탑스쿨에서 포닥하고, 미국에서 정착한 케이슨데 솔직히 공감되는게 전혀 없습니다.
뭐 이공계인가요 아니면 다른 학과신가요? 학생인가요 아니면 학위자인가요? 그경우 학계에는 계신가요? 유학경험은 있나요?
뭘 알고 말하시는건지 이해가 도통안되는데 아는척 하시는 백그라운드가 좀 궁금하네요. 동일한 글 하브넷에 올려보시면 점잖은척 하는 쌍욕들을 먹으실수있을겁니다. 아마 거기에서도 글쓴이분 백그라운드가 궁금할듯 하고요. ㅎㅎ

2025.11.21

그리고 네트워킹은 전세계 어디든지 꾸준히 해두는게 좋습니다. 예를들면 제가 박사과정때 가장많이 연구한게 소니와 TRI였습니다. 일본인들과 네트워킹 많이쌓을수있었고, 지금도 간혹 일본가면 초청받아서 투어하거나 세미나 하기도 합니다. 뭐 과제라고 전부 nsf nhi나 darpa하나요? 국가과제 따는게 얼마나 힘든데요. SRI든 아니면 한국 공동과제든 전세계 네트워킹해서 좋은게 얼마나 많은데요.
참고로 제가 포닥했던 t3교수는 혼자서 5박7일로 한국방문해서 카이스트/서울대/대전정출연 가서 초청세미나 한번 하고왔습니다. 제가 모교라서 카이스트는 연결해드리긴했는데, 서울대는 본인이 학회가서 잘하는 시니어교수만나서 네트워킹하려고 한국 일부로 갔던거고요.
뭐랄까, 그냥 아예 경험도 없으신분이 쓰신글에 제가 굳이 많은 말을 하나 싶기도합니다. 지금시간에 글다시는거보면 미국에 계신분같기도한데, 뭐 아이비인지 어딘지모르지만 그냥 본인주변에 한두케이스보고 "우와 이렇구나!"라고 쓰는걸수도 있겠네요.

2025.11.21

"뭐 이공계인가요 아니면 다른 학과신가요? 학생인가요 아니면 학위자인가요? 그경우 학계에는 계신가요? 유학경험은 있나요?"

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이공계며, 박사 학위자 이며, 현재 Top 의 위치에 있습니다. 그리고, Data Science/AI/ML 쪽에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국제 학회를 많이 갑니다.

엄연한 사실은 예기 하는 겁니다.
그걸 어떻게 받아 들이는 지는 본인의 마음 이구요. ㅎㅎㅎ

2025.11.21

저도 미국학교에 있는데 전혀 이해안된다는겁니다. 참고로 플레그십이고 이공계보다는 문과가 센곳이지만 이공계도 나쁜수준은 아닙니다.
근거도 없이 그냥 "카더라" 라고만 말하는데요 뭐, 탑이라는것도 "카더라"식으로 믿어드리겠습니다.
statements들도 써본 경험도 없으신분같은데 뭐 믿어드릴게요. 그냥 미국에서 박사하면 본인이 잘아는줄아는 박사초년생 수준의 글에 답해드리는건 여기까지로 할게요~ 유학뽕 없어지면서 본인 자존감 낮아질때 즈음 될때 본인 글 다시한번 읽어보시고 이불킥이나 좀 해보시길

2025.11.21

마지막으로 저또한 cs/ece쪽이라서 국제학회 매년 두곳씩은 가면서 PC는 수년간 계속 참여했고 근처지역에서 열리면 커미티지도 많이 합니다. 참고로 한국인 교수들중에서도 커미티 참여하는 꽤 많고요. 인문계라서 아무것도 모르는사람인줄알았는데, 데싸/ML한다는 사람이 국제학회에 초청을 받지도못하고 이딴소리 하시는것부터 거릅니다 ㅎㅎ 뭐 설마 워크샵 초청 말하는건 아니겠죠?

2025.11.21

이 글은 남긴 이유는,

1. 교수들의 레벨이 존재 한다.
2. 혹시라도 이글을 보시고 발끈 하신 교수가 계시다. 그럼 노력하셔서 올라오시라.

이게 제 결론 입니다. 대부분은 발끈 하고 올라오는 노력은 안하십니다. 발끈은 하고, 올라오시는 그 분이 참된 실력자이고,
국제에서 인정받을수 있는 씨앗을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1.21

어그로 화이팅 ㅋ

2025.11.21

노벨상도 없는 사람들끼리 서열질 깔보기는 세계 탑급인듯 ㅋㅋ

2025.11.21

이제는 교수도 급이 있네 ㅋㅋㅋ

2025.11.21

탑스쿨 교수시라면 정말 대단하시고, 또 쟁취해서 그 자리까지 가신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자존감을 본인의 소속에서 찾는 것은 좋지만, 그렇다고 권위에 기대기보다는 스스로의 연구 실적과 기여에서 찾을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미 충분히 빛나고 있습니다. 굳이 타인을 비하하고 깎아내려서 자신을 높이려고 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그건 자신을 도저히 개선시킬 수 없을 때 열등감을 해소하는 방법에 불과할 테니까요.

2025.11.21

동의. 1, 2는 진짜 논외이긴 함. 다만 3, 4사이에는 한국으로 복귀에 대한 취향차이 있을 수 있다고 봄. 5는 그냥 뭐 사실상 가장 시끄러울테지만 인정할건 인정해야지.

2025.1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칭 탑급이라는 사람이 겸손할 줄 모르네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5.1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놈들한테 인정받으려고 연구하는 것도 아니고 각자 자리에서 역할을 하고 있는거임 자존감 낮은거 보여서 안쓰럽다

2025.11.21

하여간 또 급 나눠서 이렇게 분석하는건 우리민족이 세게 최고다
피곤하게산다

2025.11.21

무식함과 낮은 자존감이 철철 넘치는 글이네요. 응원합니다.

2025.11.21

1. 마치 인생에 정답이 있는 것처럼 생각을 하는데, 교수쯤 되면, 사회가 정한 랭킹에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 하며 살 가능성이 높음. 그래서, 굳이 그 님이 알아야한다는 그 정보를 알 필요도 없고, 관심도 없음.
2. 그리고, 순위를 매기고 싶다면, 단순히 학교보다는 HCR 1프로 과학자, 스텐포드 2프로 과학자 이런식으로 과학자별로 연구의 영향력으로 구분을 하기도 함.
HCR 1프로 과학자들 우리나라에 올해 76명 있고, 스텐포드 2프로는 2~3천명 있던데, 개인적으로는 과학자로써 영향력 측면에서 본다면, 단순한 대학보다는 더 의미가 큰 듯 싶음.(예를 들어, HCR 1프로 과학자 중 탑대학이 아닌 대학에 있는 분들도 있지만, 최고의 과학자들로 저는 보였음.)

2025.11.21

어휴 뭘자꾸급을 나누면서 사는거지;; 본인은 뭐라도 되세요? 왜이렇게 급나누고 편가르기 좋아하는건지

2025.11.21

1은 단순 아이비는 아니고, 분야별 대충 탑 5 스쿨이라고 하죠. 여기 tenure는 다르긴 다릅니다. 보통 분야 rockstar들이죠.
2-3은 어느정도 동의가 되구요.

다만 한국대학과 단순비교는 어려운 것이, 2-3 tenure 받고 4로 옮기시는 경우도 있어서요. 개인 사정들이 있어 특히 SPK는 함부로 말할 것이 못됩니다.

제가 5에 속해있어서 좀 더 세분화해드리면, 5에는 다시 2-4로 올라갈 포텐셜과 의지가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뉩니다. 전자는 연구자고 후자는 교육자겠네요. 교육자가 꼭 나쁜거는 아닙니다.

2025.11.21

병먹금

2025.11.21

빈수레가 요란하다
생각하는 갈대가 되어보라

2025.11.21

박사는 무슨 어디 학석사나 하고있겠지

2025.11.21

원래 커뮤에서는 다들 키 187에 얼굴 차은우고 학석박 MIT에 연봉 10억씩은 받죠ㅋㅋ 화이팅 하세요!ㅋㅋ

2025.11.21

지존이랑 장군, 부장군급은 어디서 따온 표현인가요??

2025.11.21

이런 글 쓰기 전에 공부나 하세요, 여기 수준이 디시인사이드하고 차이가 없기에 하는 말입니다. 쓸데없는 거나 올리면서.

2025.11.22

그 어디 교수를 하던 자네에게 급을 평가 받을 만한 분들은 없으니, 방안에 있지말고 나와서 세상을 배우렴.

2025.11.22

진짜 개병신 같은 글이네 ㅋㅋㅋ 탑스쿨 교수도 거지같은 연구하면 까이고, R1스쿨 하위권도 꾸준히 좋은논문 내면 인정받는게 학계임. 한국 SPK+KY교수만 되도 학교 이름빨보다는 연구 능력이 학계에서 훨씬 중요함.

2025.11.22

어디든 임용지원은 해보고 글쓴건지?? 저 실적에 왜 저대학에?? 저분은 어떻게 저 학과에?? 이런 경우도 허다 함. 교수는 수능 점수대로 나래비 세워서 학교 임용되는게 아니라 그 시기에 가장 핏이 잘 맞는 사람이 됨.
이런 글 올리려면 어디든 교수나 되보고 글을 올리시길.

2025.11.22

밥은 먹고 다니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