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배터리 박사진학생들 잘생각해라

2021.11.11

31

10985

디스플레이시장 중국이 치고 오니까 휘청거렸고

반도체시장도 초창기에 비해 살아남은 기업 몇몇없음. 나가리 많이됨.

지금 배터리시장 개나소나 다뛰어들어서 분명 십몇년뒤면 문닫는 회사 꽤 나올거다.(특히나 테슬라 폭스바겐 도요타 현대 등등에서 자급화 선언도 했고 중국도 장난없지)

지금 당장 취업 잘된다고 들어갔다가 나중에 희망버스 타지말고 잘 생각해라. 특히나 엘리트들 그쪽으로 엄청 몰려서 상대적 경재자들 실력이 ㅎㄷㄷ한건 알고있어라

+) sk이노베이션이 석유회사에서 순식간에 배터리 회사로 입지다진 속도보셈.
삼성이 배터리를 반도체와는 달리 문턱낮은 사업이라 분류한 이유가 있을거같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1개

2021.11.11

미안한데 사양산업 되려면 20년은 걸림

대댓글 2개

2021.11.11

석박따고 기업들어가서 40넘으면 그게 20년임

2021.11.11

Lg디플 휘청거렸던걸 생각해보셈

2021.11.11

방구나 드셈

대댓글 2개

2021.11.11

삼성이 왜 배터리가 반도체만큼 문턱높은 사업이 아니라고 판단했는지 생각해보면됨. 지금 다 뛰어들었음

2021.11.11

설마 지금 뛰어들은 수 많은 기업이 다 살아남을거라 생각하는건 아니겠지??? 완성차 업체들 자급화 성공하면 수요 좀 많이 떨어짐

2021.11.11

나도 인정함. 그래서 배터리랩 웬만하면 안가고 차라리 촉매연구쪽으로나 반도체연구로 정하는게 나쁘지않아보임. 특히 기업 현직자들은 배터리연구 이제 거의 다와간다보던데

대댓글 1개

2023.06.30

혹시 촉매연구 말씀하시는거면 어떤 산업분야의 촉매 말씀하시는걸까요? 대학원 진학하는데 관심 연구분야 좁히는 중이라 궁금합니다!

2021.11.11

작성자 분은 그래서 뭐함?? 궁금함
본인은 배터리로 학석 그리고 박사 중

대댓글 1개

2021.11.11

나도 배터리임 박사중

2021.11.11

배터리만 파는 것보다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등등 다양한 산업계에서 써먹을 수 있는 랩 고르는게 더 괜찮을 것 같음

2021.11.11

배터리박사로 학계로가는건 어떤가요?

대댓글 2개

2021.11.11

지금은 좋은시기인것 같은데 조금만 시간 흐르면 배터리 실력 좋은 박사들 넘쳐서 학계는 비교적 더 힘들지 않을까요? 물론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학계는 티오가 워낙 극악이니...

2021.11.11

이거 타이밍 중요함.
이제 슬슬 베이비붐 세대 퇴직으로 신임교원들을 핫한 분야로 쫙 뽑으면 그 이후엔 30년간 그 분야 자리 안남

2021.11.11

근데 그렇게 생각하면 어떤 산업도 다 마찬가지 아닌가요??

대댓글 1개

2021.11.11

배터리 만큼 몰렸을 까요?

Yksshist도 배터리랩은 자대생들 줄섰고 거의 신생랩정도 되야 답받는 수준이죠. 특히 유니스틑 워낙 유명하고

배터리는 지금 뜨고 있고 특히 전고체는 도요타 빼곤 다 신생급이라... 밀리면 문닫고 나가야죠.

지금 뜨고있다 이 말입니다. 예를들면 반도체가 지금 뜨고있는건 아니잖아요? 예전에 떴지. 그 결과 많은 경쟁자가 제거되었고

2021.11.11

내년부터 배터리랩 들어갈 예정인데 석박하고 나면 취업시장 포화일까요??

대댓글 1개

2021.11.11

취업은 괜찮을 수 있음

하고싶은 말은 취업후에 기업이 휘청거려서 퇴직권고 받고 그러는거.

엘디플이 좀 휘청거렸거든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50년 까지는 배터리 시대로 갈 것 같음
반도체도 호,불황기를 거치면서 발전했고 수소, 전기가 앞으로 그럴 수 있음,,,전고체는 2030년 정도에 상용화로 이어지고 그럴 것 같음

대댓글 1개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반도체, 배터리, 백신 +탄소중립(넷제로)이 신성장 동력 분야로 정부에서도 지원할 것으로 보임

2021.11.11

글이랑 관련 없는 댓이지만, 혹시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lg디플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업이 내년에도 채용을 많이 할까요?

대댓글 7개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올해 수요시장이 1~2% 증가세라니,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이라면 고용시장은 올해보다 줄지는 않을 듯 보임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반도체 공급부족 특수를 노린 LG디스플레이어 DDI
가격 폭등으로 DDI 매출이 98%인가 올란걸로 아는데..고화질 수요 증가도 있고, 고화질에서 LG따라잡을 회사가 삼성정도 아닌가 싶은데

2021.11.11

엘지 기술은 상당한데 가격 땜에 피해를 많이 봤죠. 중국의 저가공략에... 특히나 LCD는 완전 먹혔던 것 같아서...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경쟁시장에서 중국회사가 조금 유리한건 맞는데 LG하고 삼성에서 차세대 기술개발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어 기술력에서는 한국에게 안될 것 같음,,, 중국은 뻥도 쎈 나라고 방산무기도 카탈로그 하고 실제 성능이 다른무기를 팔다가 우사칠갑한 웃기는 사람들이라고 전세계적으로 소문나서 중국무기가 일부 친중국 몇개국 외는 안 팔리는 나라 임

2021.11.11

그래서 엘지가 올레드 가격만 낮추면 돌파구 마련하는건데 아직 가격이 비싼가봄...

삼성 qled(LCD지만 뻥카 오지게 친...) 한테도 밀리던데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얼마전 있었던 인도와 파키스탄 국지전에서 한국 K9으로 배치된 인도하고 중국산 자주포로 무장한 파키스탄이 붙었는데 파키스탄이 개박살 났다고 함...카탈로그와 중국제 자주포 성능이 딴판 임...러시아산 전투기를 수입, 역설계 해서 만든 전투기도 성능이 자기들이 자랑한 내용과 다르다고 소문나 있음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국회사에서 미니LED (LCD패널 일종)공장을 짓고 대량 생산해서 가격으로 밀어붙일 모양이든데 소비자 눈높이를 얼마나 맞출 수 있는지 의문이고, 경쟁사회니 붙어보면 알겠지, 그때문에 LG하고 삼성에서 차세대 기술개발에 박차를 기하고 있다고 함
답답한 카를 마르크스*

2021.11.12

그럼.. 중국어 공부 하는걸로

2021.11.13

어느 산업이나 성장기 과도기 포화 사양 이런 과정을 거쳐서 발전함. 그래서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공부가 필요한거 같음. 이전 고속성장시대 처럼 평생직장의 개념은 애초에 없어진지 꽤 되지 않았나? 그래서 직장에서 주는 캐쉬말고 다른 파이프 라인을 만드는게 중요한거 같음.

2021.12.14

혹시 배터리를 나노 스케일이나 마이크로 수준으로 들어간다면 차별성이 생길까요? 현재 진행중인 과제가 LIB이긴 하지만, 끝나면 전고체로 넘어갈 예정이긴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