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학과는 컴공계열에서 파생되서 주로 이미지나 자연어같은 실생활 밀접한 연구 퍼포먼스 향상쪽으로 많이 하고, 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통계계열에서 파생되서 인공지능도 모델의 하나일 뿐 다양한 모델을 바탕으로 온갖 데이터를 다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는 걸 목표로 하는게 좀 다른 거 같네요.
대댓글 6개
2022.01.28
객체지향,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 머신러닝, 컴퓨터비전, 강화학습, 인공지능베이지안, 수치해석, 딥러닝 등 이런 분야는 인공지능학과에 가까운 건가요?
2022.01.28
데사학과면 회귀, 확통, 시계열 등 수학 기반 과목들이 꽤 있을 거고, 베이지안 통계라고 하지 인공지능 베이지안이라고 하진 않겠죠. AI학과에서 컴퓨팅 위주라 굳이 인공지능 베이지안이라는 과목이 열릴까 싶은데요. AI특강 정도에서 짚고 넘어갈듯요. 수학통계를 깊이 안하면 베이지안 잘 건드리기 힘들어요. AI학과면 수치해석 같은 과목도 큰 학교 아님 안 열릴 거 같네요. 수치해석을 여는 이유가 최적화랑 연결을 하려는 시도인데 이게 수통쪽 깊게 안 건드리면 힘듭니다. AI학과면 객체지향, 알고리즘, 컴퓨터 비전이나 자연어처리 같은 과목이 중추적일듯요.
2022.01.28
재학중인 학교는 데이터사이언스 학부인데 이런 교과목위주인데 케바케인가요??
2022.01.28
수학은 이산수학, 공업수학, 선대, 확통 등등 배우네요
2022.01.28
이산수학, 공업수학이 들어가 있는걸 보니 컴공쪽에서 파생된 것 같아요. 아직 과도기라 데이터사이언스라는 이름이 컴공쪽 파생에도 쓰이고, 통계쪽 파생에도 쓰이는 뒤죽박죽인 시대인듯하지만, (개인적 의견) 데사는 인공지능학부랑 확실히 다르고 달라야한다고 봅니다. 제가 예언자도 아니니 미래가 제 말대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2022.01.28
감사합니다
2022.01.28
구글 트렌드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데이터사이언스만 영어로 쳐봐도, 이미 해외에서는 인공지능 트렌드보다 데사 트렌드로 넘어가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AI는 전분야를 포괄하기에 너무 분야가 좁아요. 지금 AI는 특정 공학 출신들의 연장선 뿐이라 봅니다. 기존 통계학처럼 경영, 예술, 농업, 인문,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지 못하죠.
다른학교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한양대는 데사과 교수들이전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들이고(지금도컴소과 교수이기도 하고, 컴소과 수업도 하심 일종의 겸직?) 과 자체가 급조(?)하듯이 급하게 만들어진거라 타학과에서 원래 열리는 과목들을 많이들어서 그런거긴 함 데사과 과목들 대부분이 원래 컴소과나 다른 전공(산공/융전 등) 에서 열리는 과목들
2022.01.29
네 ㅎㅎ 그러면 컴공에 더 가까운 건가요? 컴공 + 데이터과학..?
IF : 1
2022.01.29
아마 점점 본질적인 데이터사이언스에 가까워지겠죠 교수도 더 채용할거고.. 지금은 수업을 컴공과 교수님들이 하고 계시지만
2022.01.28
대댓글 6개
2022.01.28
2022.01.28
2022.01.28
2022.01.28
2022.01.28
2022.01.28
2022.01.28
대댓글 1개
2022.01.28
2022.01.28
2022.01.29
대댓글 3개
2022.01.29
2022.01.29
202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