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대형랩은 더 넓은 분야를 보통 다루기때문에 타 분야를 연구하는 동료에게 그 분야 관련된 지식을 빠르고 쉽게 얻거나 디스커션을 할 수 있고, 또 연구를 콜라보 하기에도 훨씬 용이합니다
2022.02.23
고기도 먹어본사람이 먹는다 라는 말처럼 논문도 써본 경험이 있는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빅페이퍼 많이쓰는곳들은 다들 선배들처럼 좋은논문쓰려는 자신감이 있고, 논문작성에 노하우들도 있고, 교수이름값도 있어요.
20명이면서 잘 돌아가는 랩은 사수부사수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연구진행이 잘돼있을거에요
2022.02.23
대형랩 소형랩 다 있어봤는데 나는 소형랩이 더 맞더라. 소형랩은 교수랑 직접 일해서 논문 방향도 일찍 잡히고 빠르게 졸업가능. 대형랩은 알아서 잘해야하는데 이게 안되면 방출되거나 졸업이 한없이 뒤로 밀림.
2022.02.23
대형랩이 성과가 좋을 때는 1. 대부분의 학생들이 성과가 좋은지, 2. 특출난 몇명의 성과가 좋은지 확인해보세요. 1번이면 좋은 랩일테고, 2번 + 교수님이 잘되는 주제에만 관심을 갖고 지도를 몰빵하는 케이스면, 나머지 학생들은 고달프죠.. ㅎㅎ
2022.02.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혼자서도 잘하고 자기주도적이다 = 대형랩이 맞음
교수가 시켜야 하는 편이다 = 소형랩이 맞음
대댓글 2개
2022.02.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형랩이어도 포닥이 많으면 좋음
2022.02.24
오 이거 진짜 새로운 관점이네요 감사합니다.
혼자서 잘하는 건 아니지만 상당히 자기주도적인 스타일입니다 ㅋㅋㅋ
2022.02.23
2022.02.23
2022.02.23
2022.02.23
2022.02.24
대댓글 2개
2022.02.24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