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택을 마치고 원서 접수를 앞두고 고민이 되어 다른분들의 의견을 듣고자 글을 올립니다.
원래는 석사로 입학 후 겪어보고 박사도 할까 하는 생각이었는데(학부연구생은 해봐서 연구분야는 적성이 맞다는 생각을 가지고 입학예정입니다) 제가 입학 예정인 학교가 석박통합에서 석사 전환은 되는데 석사에서 석박통합 전환이 안된다고 합니다.
바이오 계열 2년 정도 된 신생랩 진학 예정이고 분야가 분야인지라 박사 생각도 없지는 않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석사를 하든 석박통합을 하든 너의 마음인데 둘 다 장단점이 있다 라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석,박 따로 하게되면 약 1300만원의 등록금 및 입학금을 더 내야한다는 것(1년 추가되니까)이 단점이고 장점은 논문 디펜스 경험이 한번 더 생기니 연구자로서는 장점이 될 수 있다 하셨습니다.
석박통합을 할 경우 경제적으로는 이득이 되겠지만, 졸논을 한번만 적으니 늘어지기 쉽다는 단점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들은 장단점을 생각해봤을땐 석박 통합 지원 후 연구분야가 안 맞으면 석사 전환 후 졸업을 하고 싶고 교수님께서도 자기는 상관없고 주변에 학생때든 교수때든 그렇게 졸업하는 사람 많이 봤다고 괜찮다고 하십니다.
하지만 주변 대학원생들은 교수님의 말을 무조건 믿어서는 안된다며, 너가 나중에 석박통합에서 석사 전환 한다고 하면 딴소리 하면서 안 놔줄수도 있다고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고 하다고 말리니 걱정이 되어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1. 바이오 분야면 연구직 취직 계획이 있는 경우 박사가 필수인지
2. 석박통합을 할 경우 정말 석사 탈출이 어려운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2.03.26
1은 분야가 달라서 모르겠고, 2는 석사 졸업 못하게 하거나 불이익 주는 교수는 사실 흔치 않습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주변에서 그런 얘길 하는 것이구요, 결국 본인이 교수가 어떤 사람인지 잘 판단하여 결정해야겠죠.
상관 없다고 해놓고 나중에 딴소리하는 경우는 사실 드물거라고 예상해봅니다.
물론 박사하자고 좀 꼬실 수는 있겠죠.
대댓글 3개
2022.03.26
추가로 디펜스 한 번 더 하는건 별로 좋은 점은 없을 것 같습니다.
IF : 5
2022.03.26
저도 디펜스 한번 더하는게 좋은 점인지 잘 모르겠음. 평소에 랩미팅에서 발표 빡세게 트레이닝하는 분위기면 뭐 얼추 괜찮아요. 석사때 진짜 열심히 했으면 박사가자마자 그걸로 논문 하나를 빨리 써볼 수는 있는데 안그런 경우가 더 많아서... 그리고 진짜 구질구질하게 구는 교수가 엄청 흔하진 않은데 없는건 아니예요. 기댓값은 괜찮지만 최악의 경우 힘들 수 있다는 점? 그 랩에서 통합들어가서 석졸하는 경우가 많은지 알아볼 수 있으면 한번 알아보세요.
2022.03.26
저와 동기 한명이 첫 제자가 될 예정이라 대학원생 입장에서 평을 알아보기는 힘들고...알아서 잘 교수님을 파악해서 결정해야겠네요...감사합니다.
기쁜 임마누엘 칸트*
2022.03.26
바이오 연구직 하려면 박사해야죠
석사는 시키는일 밖에 못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3.26
역시 박사는 필수인가 보네요. 감사합니다.
2022.03.27
의전 있을때는 바이오 전공자들은 죄다 의전 갔습니다.
바이오 박사해도 박봉이라서 그런 면도 있습니다.
2022.03.26
대댓글 3개
2022.03.26
2022.03.26
2022.03.26
2022.03.26
대댓글 1개
2022.03.26
2022.03.27